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강화 동검도 동부 갯벌의 퇴적 특성 변화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 장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 권수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Received : 2012.06.29
  • Accepted : 2012.07.18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sedimentary processes of the Ganghwa tidal flat has been changed over 20 years because of the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Donggum tidal flat,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Ganghwa tidal flat and in the lower reaches of Yeomha channel, was affected by changes the tidal current regime and estuarine circulation. These resulted an occurrence of rapid deposition in the tidal flat. The silt-clay laminated silt facies in the upper parts of two core sediments suggested that deposition had been relatively high in the tidal flat. The sedimentation rates from the cores using $^{210}Pb$ analysis were 3.25cm/year(st. 3) and 3.47cm/year(st. 5). However the short-term sediment accumulation rates from 2010 to 2012 were mostly less than 1cm/year,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deposited relatively low rates. As a result, the sediment in the Donggum tidal flat rapidly accumulated during 2000s due to constructions of man-made structures. Recently, the increase of elevation in the tidal flat resulted to show relatively low sedimentation rate with seasonal variations.

강화 갯벌의 퇴적작용은 주변의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지난 20여년 동안 변화되어 왔다. 강화 갯벌 동부와 염하수로 하류에 위치한 동검 갯벌의 퇴적환경은 조류와 하구 순환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동검 갯벌에 급격한 퇴적이 일어났다. 두 개의 코어 퇴적물 상부에 나타나는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퇴적상은 동검 갯벌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퇴적이 있었음을 나타냈다. $^{210}Pb$ 분석에 의한 두 개 코어 시료의 퇴적률은 정점3에서 3.25cm/year와 정점 5에서 3.47cm/year 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단기 퇴적률은 대부분 1cm/year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퇴적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검 갯벌의 퇴적물은 2000년대에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하여 급격히 퇴적되었다. 현재 동검 갯벌의 고도 증가는 계절 변화를 가진 상대적으로 낮은 퇴적률을 보여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백호, 이창희.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I-2 (하구의 가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70p.
  2.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바다 4(2): 127-135.
  3. 우한준, 박장준, 이연규, 제종길, 최재웅. 2004. 한국 서해 강화 갯벌의 퇴적물 특성. 한국습지학회지 6(1): 167-178.
  4.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4(4): 331-343. https://doi.org/10.4217/OPR.2002.24.4.331
  5. 이창희, 구도완, 노태호, 문현주, 전성우, 허경미. 2003. 하구역 환경보전 전략 및 통합환경관리 방안 수립 - 한강하구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35p.
  6. 한국해양연구원. 2001. 강화도 어업피해 및 경인 지역 공동보상관계 보상금 분담 조사용역(1차 중간보고서). 554p.
  7. 한국해양연구원. 2007. 강화도 피해보상 및 경인 지역 공동보상관계 보상금 분담 조사용역(어업피해조사 분야). BSPI29001-1931-3. 490p.
  8. 한국해양연구원. 2008. 하구역 관리 및 기능회복 기술개발 - 한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한 관리 및 복원관련 요소기술개발-. BSPE98101-2028-7. 711p.
  9. 한국해양연구원. 2010. 갯벌기능성 회복을 위한 퇴적/물리/생태학적 핵심 환경요소 연구. BSPE98462-2253-5. 245p.
  10. 해양수산부. 2003.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요약보고서). BSPM 221-00-1610-3. 87p.
  11. Alexander CR, Nittrouer CA, Demester DJ, Park YA, Park SC. 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n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61: 805-824.
  12. Folk RL, Ward W.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3. Kaufman A, Li YH, Turekian KK. 1981. The removal rates of 234Th and 228Th from waters of the New York Bight.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4: 385-392. https://doi.org/10.1016/0012-821X(81)90054-6
  14. Kent DM. 2001. Applied wetlands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Lewis Publishers, Boca Raton, Florida, USA.
  15. Lee YK, Ryu JH, Choi JK, Soh JG, Eom JA, Won JS. 2011. A study of decadal sedimentation trend changes by waterline comparisons within the Ganghwa tidal flats initiated by human activit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5): 857-869.
  16. Lee YK. 2012. A salt marsh monitoring method on tidal flats using optic and X-band SAR images in perspective of halophyt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0p.
  17. Mitsch WJ and Gossclink JG. 2000. Wetlan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8. Woo, HJ, Cho, JH, Jang, S, Choi, JK. 2011.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emi-enclosed Geunso bay, west coast of Korea. 21st Biennial Conference of the Coastal and Estuarine Research Federation Abstract Volume. pp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