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ic ganglia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2초

한의학적 임상 활용을 위한 흉추 교감신경절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Targeting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for Clinical Use of Korean Medicine: A Scoping Review)

  • 박상현;이지호;한시현;박서현;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1-69
    • /
    • 2024
  • Objectives This scoping review aimed to suggest a Korean medicine approach by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studies targeting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rksey and O'Malley's five steps and guided by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checklist and appendix. We searched seven electronic databases for studies on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reported untill August 23, 2023. The search terms used were 'thoracic sympathetic chain', 'thoracic paravertebral sympathetic ganglia', and 'thoracic paravertebral ganglion'. Results One hundred twenty-nine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90 papers were non-comparative studies (69.8%). The most common disease or symptom was hyperhidrosis (n=109, 66.9%), associated with the T1-7 levels of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n=107, 65.6%). There were 17 studies (13.2%) of percutaneous approaches targeting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five studies (3.1%) targeting the mid-low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Conclusions This study broadly analyzed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argeting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and attempted to propose a future Korean medicine approach. Further studies are needed.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2, 3번 교감신경절 교통가지 절제술의 효과 (Ramicotomy of T2, 3 Sympathetic Ganglia for Palmar Hyperhidrosis)

  • 조현민;백효채;김도형;함석진;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24-729
    • /
    • 2002
  • 지금까지 수부 다한증에 대한 다양한 교감신경 수술방법들은 확실하고 안전한 치료방법이기는 하지만 술후 보상성 발한의 발생과 더불어 수장부의 무한증을 유발시킴으로써 장기적인 환자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문제가 되어왔다. 대상 및 방법: 이에 본 교실에서는 손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절 교통가지를 선택적으로 절제함으로써 술후 보상성 발한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수장부의 무한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결과: 수술 결과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손에 적당히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보상성 발한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환자에서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의 경등도 이하로 나타났다. 결론: 교감신경절 교통가지 절제술은 수장부 다한증에 대한 보다 선택적이고 생리적인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Characteriz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in the Silkworm Thoracic Ganglia during Postembryonic Periods

  • Kim, Soon-Ok;Kim, Mi-Young;Song, Hwa-Young;Kim, Jin-Hee;Kang, Pil-Don;Lee, Bo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23-31
    • /
    • 2007
  • Programmed cell death was characterized in the silkworm thoracic ganglia TG1, TG2 and TG3 during postembryonic periods by TUNEL assay. Apoptotic cells were detected in the three TGs of all larval stages except for day-1, 2 1st instar larvae, in which no apoptotic cells were found. From day-7 5th larva, the numbers of apoptotic cell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nd peaked on day-1 pupa and day-2 pupa and then abruptly decreased. Apoptotic cells finally disappeared in day-1 adult. In-vivo injection of 20-hydroxyecdysone (20E) into day-8 5th larva resulted in a striking decrease of apoptotic cells. Actinomycin D (Act D) or cycloheximide (CHX), injected into hemolymph of day-8 5th larva, resulted in a decrease of apoptotic cells in the three TGs. Injection of caspase-8 and -3 inhibitors also blocked cellular apoptosis.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cellular changes in the three TGs during metamorphosis of the insect species.

Morphometric Study of the Upp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 Lee, Sang-Beom;Chang, Jae-Chil;Park, Sukh-Que;Cho, Sung-Jin;Choi, Soon-Kwan;Bae, Hack-G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1호
    • /
    • pp.30-35
    • /
    • 2011
  • Objective : Morphometric data for the sympathetic ganglia (SG) of the upper thoracic spine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SG in order to reduce normal tissue injury in the thoracic cavity during thoracoscopic sympathectomy. Methods : In 46 specimens from 23 formalin-fixed adult cadavers, the authors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T1, T2 and T3 SG to the most prominent point and medial margin of the corresponding rib heads, and to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st prominent point of the rib head and the lateral margin of longus colli muscle and the width of each SG were measured. Results :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prominent point of corresponding rib head was on average 1.9 mm on T1, 4.2 mm, and 4.1 mm on T2, T3. The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medial margin of the corresponding rib head was 4.2 mm on T1, 5.9 mm, and 6.3 mm on T2, T3. The mean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was 6.7 mm on T1, 8.8 mm, 9.9 and mm on T2, T3.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prominent point of the rib head and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was 4.8 mm on T1, 4.6 mm, and 5.9 mm on T2, T3. The mean width of SG was 6.1 mm on T1, 4.1 mm, and 3.1 mm on T2, T3. Conclusion : We present morphometric data to assist in surgical planning and the localization of the upper thoracic SG during thoracoscopic sympathectomy.

간섭전류자극이 말초 혈류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on the Peripheral Blood Velocity in Healthy Subjects)

  • 박장성;이재형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2호
    • /
    • pp.37-4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ercutaneous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on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with amplitude modulated frequency (AMF) $90\~100$ bps and subthreshold of muscle contraction for 10 minutes on peripheral blood flow velocity in healthy subjects. Thirty-seven healthy volunteer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5) and a control group (n=12).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with subthreshold of the muscle contraction of current at AMF $90\~100$ bps on $1st\~5th$ thoracic sympathetic ganglial region for 10 minutes. The control group received same handling and electode placement, but no current was applied. Using a Doppler blood flow meter, the radial arterial blood flow velocities and the pulse raters were determined for two-way analysis of variance for repeated measures on time and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arterial blood flow velocity and pulse rate over the four measurement times.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did not change in mean blood flow velocity and pulse rate. We conclude that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on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as used in this study, did not dilate peripheral artery. This results suggests that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dose not alter the activtiy of sympathetic nerve.

  • PDF

대장(大腸)과 관련(關聯)된 경혈(經穴)들의 신경해부학적(神經解剖學的) 연구(硏究) (Neuroanatomical Studies on the Acupoints Related to the Large Intestine)

  • 강창수;이상룡;이창현;남용재;이광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95-1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eridian, acupoints and viscera using neuroanatomical tracers. The common locations of the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were observed following injection of transganglionic tracer, WGA-HRP and transsynaptic neurotropic virus, pseudorabies virus(PRV), Bartha strain(Ba) and PRV-Ba-Gal (Galactosidase)) into the the large intestine(cecum, colon and rectum), ST37 and LI4. After survival times of 96 hours following injection into the thirty rats with WGA-HRP, PRV-Ba and PRV-Ba-Gal. They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were frozen sectioned($30{\mu}m$). These sections were stained by HRP and X-gal histochemical and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nd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the large intestine were observed bilaterally within the T13-L4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T9-11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ST37 were observed within the L3-5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L2-4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LI4 were observed in the middle cervical ganglion and stellate ganglion, and C5-8 spinal ganglia. 2. In spinal cord, PRV-Ba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found in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segments. Densely labeled areas of each spinal cord segment were founded in lamina N, V, VII(intermediolateral nucleus), Ⅸ, X and dorsal nucleus. 3. In medulla oblongata,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commonly found in the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nucleus tractus solitarius, raphe obscurus nucleus, raphe pallidus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and gigantocellular nucleus. 4. In pons,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locus coeruleus, Kolliker-Fuse nucieus and A5 cell group. 5. In midbrai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central gray matter. 6. In diencephalo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V-Ba and PRV-Ba-Gal labeled common area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ay be correlated to that of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ST37 and LI4. Especially, These morphological results provide that interrelationship of meridian-acupoints -viscera may be related to the central autonomic pathways.

  • PDF

표지방식을 이용한 흰 쥐 복강 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와 신경섬유의 표지부위 (Localization of Sensory Neurons Innervating the Rat Intestine Using the Cholera Toxin B Subunit(CTB) and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WGA-HRP))

  • 이동협;이창현;이무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5-96
    • /
    • 1998
  •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 및 신경섬유의 표지부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강내장을 부위별(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오름결장, 내림결장)로 나누어 2.5% WGA-HRP $30{\mu}l$와 0.5% CTB $20{\mu}l$를 장막과 근육층 사이의 4부위에 나누어 주입하였다. 그 후 48-96시간의 생존시간이 경과한 후 뇌줄기, 척수신경절과 미주신경절에서의 감각신경섬유와 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과 HRP 조직화학 기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GA-HRP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위와 맹장에서만 관찰되었으며, CTB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복강내장의 모든 장기에서 관찰되었다. 2.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는 뇌줄기내 좌우 고립로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에 국소적으로 강하게 표지되었다. 3. 척수신경절에서 위 (stomach)에 분포하는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관계없이 $T_2$에서 $L_1$까지 여러 신경절에 표지되었으며 이 중 좌우 $T_{8-9}$부위에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 4. 십이지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 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으나 다른 장기에 비하여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적었다. 5. 공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 $T_{12}$ 부위였으며, 우측은 $T_{13}$ 부위에 표지되었다. 6. 회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에서 $T_{11}$부위였고, 우측에서 $L_1$부위였다. 7. 맹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였으며 우측은 $T_6-L_1$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1}$이었으며, 우측은 $T_{11-12}$에 표지되었다. 8. 오름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9-L_4$부위에 표지되어 좌우측 표지부위의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9$이었으며, 우측은 $T_{11}$에 표지되었다. 9. 내림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9-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3}$이었으며, 우측은 $L_1$에 표지되었다. 10.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좌우 미주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위에서 가장 많이 표지되었으며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는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위에 표지된 수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의 뇌줄기내 표지영역은 좌우 고립로 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였으며,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영역은 미주신경절과 척수신경절 $T_2-L_4$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들에서는 $T_6-L_4$부위에 표지되었으나 소장에서 대장으로 갈수록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원위부 가슴신경절에서 근위부 허리신경절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안명부다한증에 대한 흉강경수술 -3례 보고- (Thoracoscop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Three Cases Report-)

  • 정진용;연성모;박건;곽문섭;윤석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36-338
    • /
    • 1998
  • 다한증은 감염이나 일부 종양 등에서 볼 수 있으나, 원인질환이 없이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원발성 다한증의 경우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주로 손바닥이며 안면부에서 땀이 과다하게 나는 경우도 있다. 최근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이 다한증의 외과적 치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안면부다한증의 경우에는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절제하기 때문에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다한증 3례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이용하여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포함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모두에서 증상호전이 있었으며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 PDF

본태성 수부 다한증에 관련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Rami of the Upp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Related to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 조현민;김길동;이삭;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82-188
    • /
    • 2003
  • 배경: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은 해당 교감신경 분포부위만 차단하는 수술이므로 기존의 교감신경수술에 비해 선택적(selective)이고 생리적(physiologic)인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수술결과에 있어서 환자에 따라 혹은 동일한 환자에서도 양쪽 사이에 발한 감소의 차이가 있고 재발률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결과의 차이와 술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서 개인간 혹은 동일인의 양쪽간 수술결과의 차이를 줄임과 동시에 수술 후 재발률을 떨어뜨릴 수 있는 새로운 수술방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해부학교실에서 흉부교감신경계의 손상이나 훼손이 없는 구의 한국인 사체 59구(남자 26구, 여자 16구)를 대상으로 총 118쪽의 흉부교감신경계를 해부하여 손에 분포하는 주된 교감신경인 제2, 3, 4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주행을 조사하였다. 59구의 사체 모두 양쪽에서 흉부교감신경줄기의 해부학적 형태를 비교하였고 본태성수부다한증과 관련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는 제2흉부교감신경절에서 가장 심했으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변이가 점점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59구의 사체에서 양쪽 흉부교감신경줄기를 비교한 결과 양쪽의 해부학적 형태가 유사한 경우는 전체의 15.3% (9/59)에 불과하였고 나머지 84.7% (50/59)에서 양쪽의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총 118쪽의 흉부교감신경줄기를 해부한 결과 본태성 수부다한증과 관련이 있는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로 쿤츠씨 신경이 55.9% (66/118)에서 관찰되었고 제2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연결되는 교통가지 및 제3흉부교감신경절로부터 제4늑간신경에 연결되는 하행교통가지가 각각 49.2% (58/118)와 28.0% (33/118)로 나타났으며 제3흉부효감신경절에서 제2늑간신경으로, 제4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각각 연결되는 상행교통가지도 6.8% (8/118), 3.4% (4/118)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로 인해 동일한 방법으로 수술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심지어는 동일인의 양쪽에서도 수술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흉부교감신경줄기를 거치지 않는 쿤츠씨 신경 및 하행 혹은 상행 교통가지를 차단하지 못할 경우 재발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 시 수술결과의 차이를 줄이고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3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연결되는 교통가지들을 절제함과 동시에 제2늑골 위에서 쿤츠씨 신경을 절단하고 제3, 4늑골 위에서 제2, 3, 4흉부교감신경절로부터 제3, 4늑간신경으로 각각 연결되는 상행 및 하행 교통가지들을 모두 절단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합곡과 대장의 중추신경로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Central Neural Pathways to the Hapgok(LI4) and Large Intestine)

  • 이창현;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7-226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entral neural pathway of neurons following the projection to the large intestine and Hapgok(LI4) which is Won acupoint of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of hand-yangmyeong. In this experiment, Bartha's strain of pseudorabies virus was used to trace central localization of neurons related with large intestine and acupoint(LI4) which has been known to be able to regulate intestinal function.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injected into the large intestine; group 2, injected into the acupoint(LI4); group 3, injected into the acupoint(LI4) after severing the radial, ulnar, median nerve. After four days survival of rats, PRV labeled neurons were identified in the spinal cord and brain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First-order PRV labeled neurons following the projection to large intestine, acupoint(LI4) and acupoint(LI4) after cutting nerve were found in the cervical,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cord. Commonly labeled neurons were labeled in the lumbosacral spinal cord and thoracic spinal cord. They were found in lamina V- X, intermediomedial nucleus and dorsal column area. The area of sensory neurons projecting was L5-S2 spinal ganglia and T12-L1 spinal ganglia, respectively. In the brainstem, the neurons were labeled most evidently and consistently in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area postrema,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reticular nucleus, raphe nuclei(obscurus, magnus and pallidus), C3 adrenalin cells, parapyramidal area(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locus coeruleus, subcoeruleus nucleus, A5 cell group, periaqueductal gray matter. In the diencephalon, PRV labeled neurons were marked mostly in the arcuate nucleus and median emin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lapped CNS locations are related with autonomic nuclei which regulate the functions of large intestine-related organs and it was revealed by tracing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large intestine and related acupoint(LI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