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rd-level digital divid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265초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정보화 격차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us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 김미영;최영찬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63-7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at individual level and regional level in Korea, considering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the regional variables.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individual level digital devide in the 16 different regions has been found in terms of Internet use, implying the needs for further analysis on impact of the regional factor in individual Internet use. Second, the result finds the impact of level-l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jobs" on digital divide, significantly at level 10% level. Third, the regional variables influencing the individual digital divide were not found at state level. However, regional factors might affect digital devide at county level. Study suggest some plans to reduce digital divide. First, the digital devide at individual level should be remedied by focusing on neglected class of people. Second, we need to approach the digital divide by analyzing in more detail, reflecting interactions of the regional variables and individual variables. Third, we should come up with a policy for mending the digital divide at regional level.

디지털기기 이용동기와 이용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 김반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29-136
    • /
    • 2022
  • 이 연구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예측요인으로서 디지털기기 이용동기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연령, 성별, 소득, 교육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기기 이용동기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더불어, 디지털기기 이용동기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 차이, 즉 3차 정보격차를 예측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3차 정보격차 관련 정책 및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 김반야;권종실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91-105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여성의 정보화촉진을 위한 인터넷 사용행동 연구 (Digital divide among women: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Internet use)

  • 이성림;박명희;서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7-193
    • /
    • 2004
  • Using data from the 2001 Computer and Internet Use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study investigated digital divide among women aged between 20 and 55. Following were the major findings. first, two-thirds of women did not use Internet even though many of these had Internet access at home. Second, those who did not have Internet access at home, those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those with blue color or service occupations, and those with higher age were less likely to use Internet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se socio-economic variables. Third, expanding Internet infrastructure would not improve Internet use of the Elderly. Forth, the majority of those who did not use Internet did not recognize the Internet itself. Based on the resul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digital divide were suggested.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여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Low Income)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9-36
    • /
    • 2018
  • 디지털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는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소외계층 중 하나인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화 역량과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여가 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계층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여가 활동 만족도간에는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여가활동 만족도 수준도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 활용 등의 수준도 역시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저소득계층과 일반 국민들 간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고령층 정보화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 김재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7-69
    • /
    • 2017
  • The ability to use and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shows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 elderly suffer difficulties in acquiring information technology due to their aging characteristics, so they can not easily adapt to rapidly changing societies. Therefore,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educate the elderly who are trying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researchers related to the elderly informatization education and the report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igital divide of the government, and identifi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ways to activate the effective education for the ag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activate information education. First,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promotion and professional counseling on the need for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learners.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um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Third, development of customized learning materials. etc. Fourth, Obtain a professional lecturer for the elderly. It is limited to lecturers who have comple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ifth, the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the elderly learners. Sixth, building e-learn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Seventh, to establish a new organization dedicated solely to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hen these parts are realized, it will help elderly peopl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alleviation of solitude and alienation.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정책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Policy Activity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Persons)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28
    • /
    • 2018
  • 정치 활동이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 있어서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활동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정책 활동이 정보화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들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소득수준도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활용 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도 정(+)의 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에 대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인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about the Response to the COVID-19)

  • 노영희;장로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3-220
    • /
    • 2020
  •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도시판자촌지역 주민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및 비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서울 개미마을, 녹천마을, 백사마을 중심으로 - (Use and non-use of ICTs: the case of three urban ghetto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최영훈;정진경
    • 정보화정책
    • /
    • 제19권2호
    • /
    • pp.39-56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판자촌지역의 정보통신구조로부터의 배제, 저소득층으로서 도시판자촌 주민들의 동질적인 정보통신 이용행태, 결핍요인에 의한 도시판자촌 주민들의 정보통신 비이용 원인 등 3가지 기본 가정 검증을 위해 결핍관점과 선택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지역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주민들의 정보통신기기 보유율 등을 보았을 때 도시판자촌이 근본적으로 정보통신구조에서의 배제되었다고 주장하기는 어려웠다. 둘째, 인터넷 이용여부 및 이용 용도 등 정보행태에서 보았을 때, 이들 지역주민의 인터넷 이용행태는 성별, 연령, 직업, 자녀유무, 판자촌의 관광지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이하며 따라서 동질적인 정보통신 이용행태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셋째, 도시판자촌지역 주민의 정보통신 비이용 원인으로 경제적인지적 결핍에 의한 요인들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삶과 생활에서의 의미, 대리인의 존재 등 각자 처한 상황에서의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학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