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osulfinat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마늘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Garlic Oleoresin)

  • 조길석;김현구;권동진;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6-851
    • /
    • 1990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마늘로부터 oleoresin을 제조하고, 아울러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 인산, 마늘 extract 및 poly sorbate를 혼합하고 antifoam agent인 KM-72을 가하여 거품의 생성을 방지한다. 여기에 lecithin을 첨가한 후 온도를 $50{\sim}55^{\circ}C$에서 7분간 유지한 다음, 다시 온도를 $25^{\circ}C$ 이하로 냉각하고, 최종적으로 TBHQ 및 마늘 정유물을 혼합하여 마늘 oleoresin을 제조하였다. 마늘 oleoresin 제조를 위한 적정 조성은 정유물 1.0%, extract 10.5%, poly sorbate 10.0%, KM-72 0.01%, lecithin 18.0%, TBHQ 0.05%, 인산용액 0.15% 및 물 60.0% 였다. 저장 60일 동안 thiosulfinate과 pyruvate 함량 및 관능검사를 기준으로 마늘 oleoresin의 품질을 판정할 때 $55^{\circ}C$ 저장 처리구의 품질저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25^{\circ}C$ 저장의 경우는 크게 일어났다.

  • PDF

국내산 및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rozen Chopped Garlic)

  • 이슬;김석영;황인국;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1-117
    • /
    • 2015
  • 시판되는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냉동 다진 마늘 국내산 4종과 중국산 2종을 수집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냉동 다진 마늘의 수분 함량은 국내산이 $64.95{\pm}0.09{\sim}72.06{\pm}0.11%$, 중국산이 $83.80{\pm}0.10{\sim}90.93{\pm}0.23%$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중국산 제품의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동 감량은 국내산 냉동 다진 마늘이 $0.33{\pm}0.07{\sim}0.70{\pm}0.22%$,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은 $8.89{\pm}0.66{\sim}10.26{\pm}0.77%$로 측정되어 국내산에 비해 약 10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으며, 해동 감량은 각 시료의 수분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918,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 다진 마늘의 total pyruvate 함량은 국내산의 경우 $118.69{\pm}5.97{\sim}224.81{\pm}9.92{\mu}mol/g$으로 중국산이 $75.27{\pm}5.91{\sim}79.35{\pm}1.79{\mu}mol/g$인데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licin 함량은 국내산이 $8.91{\pm}0.34{\sim}13.09{\pm}0.35mg/g$으로 중국산 $5.91{\pm}0.08{\sim}6.05{\pm}0.27mg/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0.60{\pm}0.07{\sim}1.33{\pm}0.12$ O.D./g으로 측정되었다. Allicin 함량과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r=0.892, P<0.01)를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냉동 다진 마늘의 향기 패턴 분석은 국내산과 중국산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fter Different Thermal Processing Steps

  • Kang, Ok-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348-35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BG) after different thermal processing steps. Compared with fresh garlic (FG), the moisture content and pH in BG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ash content and browning intensity increased during thermal processing. The total mineral and the free sugar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G2 and BG4 samples, respectively. The free sugar content increased by 16-fold in the BG cloves compared with that of FG, while th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first stage of thermal processing,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thiosulfinate content in all samples decreased to during thermal processing. The pyruvic acid content initi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during thermal processing. These result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rmal processing in the quality formation of BG.

스마트팜 생산 새싹마늘의 부위별 및 생육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arlic sprouts produced by smart farms during growth)

  • 최유리;김수환;이채미;이동훈;이채윤;조형우;정재희;오임경;하호경;김정실;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2-2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마늘의 부위별과 생육기간별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과 조회분의 경우 생육기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구에서 주요 유리당은 fructose로 나타났으며, 주요 유기산은 oxail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새싹마늘의 총유리당과 유기산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은 모든 시료구에서 K와 P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새싹마늘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새싹마늘의 유리아미노산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새싹마늘의 어린잎(SL)을 제외한 다른 시료구들의 argine은 감소하였으며, glutamic acid는 새싹마늘의 뿌리(SR) 시료구를 제외한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lliin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는 일반 마늘 89.24 mmol g-1, 새싹마늘 71.16-82.36 mmol g-1으로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생육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플라보노이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싹마늘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및 SOD 유사 활성은 각각 37.45-65.47%, 59.12-89.81% 및 89.52-98.59%로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새싹마늘은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이 향상되었으며, 최적 생육기간은 20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및 식품 가공 소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마늘 열수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Garlic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진만;차태양;김성호;권택규;권중호;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5-393
    • /
    • 2007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 및 농산물의 생리적 활성에 대하여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마늘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열수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용매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lin allicin 및 total thiosulfinate는 추출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출시간 및 용매비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변수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과 항산화적 특성에 대한 추출조건을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으로 최적조건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조건 $80^{\circ}C$, 추출시간 3.5 hr 및 용매비 8.5 v/w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감은 실제 유효성분 및 항산화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사한 감을 보였다.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와 생리활성 성분의 안정성 (Cold Pasteurization of Frozen Crushed Garlics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 Stability of Bioactive Components)

  • 이현규;조윤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14
    • /
    • 2016
  • 시판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를 알아보고, 유효성분 및 항균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및 중국산 시료에 대해 실험하였다. 냉동다진마늘은 4 kGy 이상의 조사처리에서 ND 이하의 미생물 수준을 나타내어 살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수분은 국산에 비해 중국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나, 조사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반적 색차는 4 kGy 이상의 선량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total thiosulfinate 및 total pyruvate 함량은 살균을 목적으로 한 7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늘의 alliin 및 allicin 함량은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7 kGy 선량에서는 특히 중국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마늘의 에탄올 추출액은 Y. enterocolitica 균주를 포함한 7종의 병원성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clear zone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는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정 선량으로 확인되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최적화를 위한 추출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Black Garlic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재란;이수정;권효진;권민혜;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5
    • /
    • 2012
  • 반응표면 분석에 의해 흑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조건은 중심합성계획(온도: 50~$90^{\circ}C$; 시간: 3~15 hrs; 용매의 에탄올 농도비: 0~100%)에 따라 15가지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thiosulfinate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J 조건($90^{\circ}C$, 9 hrs, 50%의 에탄올 농도비)에서 가장 높았다. 이때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66.10%,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5.02%,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375.4 ${\mu}M/mL$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평균적으로 $89.68^{\circ}C$, 9.79 hrs 및 55.72% 에탄올 농도비에서 최적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실측값은 예상값의 96.4~114.8%였다.

마늘의 약물대사효소 CYP3A4 저해 활성 (Inhibiting Activity of Garlic on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 이은희;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37권2호통권145호
    • /
    • pp.97-102
    • /
    • 2006
  • Garlic(Allium sativum Linn) is widely used as a common condiment for a variety of foods and beverages.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resh garlic and garlic supplement of commercial preparations have various therapeutic propertie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antiplatelet aggregation, antihypertension,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which contribute to its increasing uses for an alternative medicine. Allicin(diallyl thiosulfinate), the major bioactive components of garlic, is formed by alliinase cleavage of the naturally occurring alliin upon crushing or mincing of garlic, and is the progenitor of a number of other products, such as diallyl disulfide. CYP3A4, heme-containing monooxygenase, is a key enzyme responsible for drug metabolism. Therefor,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and examined the compounds with CYP3A4-inhibiting activities from garlic. Among EtOAc extracts of garlic, we found that N-p-coumaroyltyramine and N-feruloyltyramine showed remarkable CYP3A4-inhibiting activities, compared to diallyl disulfide. Structures of the isolated activ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ans.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Artesunate Combined with Allicin in Osteosarcoma Cell Line in Vitro and in Vivo

  • Jiang, Wei;Huang, Yong;Wang, Jing-Peng;Yu, Xiao-Yun;Zhang, Lin-Y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615-4619
    • /
    • 2013
  • Background: Artesunate, extracted from Artemisia annua, has been proven to have anti-cancer potential. Allicin, diallyl thiosulfinate, the main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derived from garlic, is also of interest in cancer treatment research. This object of this report was to document synergistic effects of artesunate combined with allicin on osteosarcoma cell lines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After treatment with artesunate and allicin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viability of osteosarcoma cells was analyzed by MTT method, with assessment of invasion and motility, colony formation and apoptosis.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caspase-3/9, and activity was also detected after drug treatment. Moreover, in a nude mouse model established with orthotopic xenograft tumors, tumor weight and volume were monitored after drug administration via the intraperitoneal (i.p.) route. Results: The viability of osteosarcoma cells in the combin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and time dependent manner; moreover, invasion, motility and colony forma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and the apoptotic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caspase-3/9 expression and activity enhancement in the combination group. Furthermore, suppression of tumor growth was evident in vivo.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artesunate and allicin in combination exert synergistic effects on osteosarcoma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흑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활성

  • 성낙주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7권1호
    • /
    • pp.45-53
    • /
    • 2008
  • 흑마늘의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흑마늘의 색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L, a 및 b값이 모두 감소하였는데 내부색의 경우 가공 초기에 크게 감소하였다. 수분은 가공 중 계속해서 감소하였고, pH도 점차 산성화되어 가공이 끝난 시료에서 pH $4.22{\pm}0.02$였다. 총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는 1단계시료에 비해 최종단계에서 각각 약 1.9배, 2.6배 증가하였다. Total pyruvate와 thiosulfinate도 비슷한 패턴으로 각각 약 1.6배, 5.8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fructose는 1단계에서는 $1,403.03{\pm}6.24\;mg/100\;g$ 였던 것이 4단계에서는 $2,454.45{\pm}4.20\;mg/100\;g$으로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이당류인 sucrose와 maltose는 흑마늘의 숙성과 더불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다. 흑마늘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roline과 aspartic acid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homocysteine 및 $\delta$-hydroxylysine은 1단계 혹은 2단계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2단계 혹은 3단계 이후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흑마늘 가공중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추출물의 첨가 농도를 높일수록 점차 증가하여 4단계 시료의 $1,000\;{\mu}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45.63{\pm}0.43%$, 물추출물은 $67.40{\pm}0.21%$로 시험된 시료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100 및 $500\;{\mu}g/mL$ 농도에서 1, 2단계 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