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unity of narrativ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자아 통합성의 윤리 (The ethics of integrity)

  • 이혜정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319-338
    • /
    • 2017
  • 오늘날 자아에 대한 높은 관심과 덕 윤리의 부활로 윤리학계에서는 자연스럽게 integrity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런데 integrity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층위에서 이해되고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번역 용어 또한 다양하다. 필자는 integrity를 자아 통합성으로 번역한다. 그 이유는 첫째, integrity의 라틴어 어원을 살리기 위해서이다. 그 어원의 의미는 전체가 분리되거나 변질되지 않는 흠 없이 잘 돌아가는 통합된 상태를 말한다. 둘째, 그것이 도덕적으로 좋은 삶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합성이라는 말은 의식의 흐름으로서의 통합성이 아니며, 더욱이 고대 그리스로부터 전제되어진 실체적 자아 동일성으로서의 통합성도 아니다. 필자는 자아통일성을 매킨타이어의 이야기의 통일성을 통해서 논의를 풀어나간다. 매킨타이어의 핵심적 주장은 자아는 성격에 깃들어 있기 때문에 자아 통합성을 성격의 통일성과 연결되며, 성격의 통일성은 자아 동일성을 전제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이야기의 통합성은 그 성격의 통일성을 요구한다. 그런데 그는 자아의 개념은 이야기의 시작과 중반과 종말과 같이, 탄생과 삶과 죽음을 결합시키는 이야기의 통일성 속에 자신의 통일성의 기반을 두고 있다고 말한다. 자아는 탄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 속에 침전된 시간의 지속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이 그의 역사가 되고 이야기가 되는 삶의 과정 속에 있다. 자아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주체로서 존재한다는 것은 이 이야기들을 구성하는 경험과 행위에 책임을 진다는 것과 책임을 묻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이야기와 시간성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의 자아는 과거의 자아를 이야기하고 또한 미래의 자아로 앞서 달려가 이야기함으로써 책임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시간성 안에서만 삶의 통일성, 설화적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책임을 질수 있고 물을 수 있는 존재가 된다. 그런데 그러한 자아 통합성의 삶을 사는 사람은 누구인가?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통해서 자아 통합성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 할머니들은 이야기를 통해서 역사의 주체가 되며, 그럼으로써 자신의 자아 통합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대체현실게임의 형태와 유용성 (The Form and Usefulness of Alternate Reality Games)

  • 최두열;박진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51-160
    • /
    • 2021
  • Alternate reality games (ARGs) are a game genre with characteristics that can lead to changes in current integrated media environments. While technical combinations are being pursued as diverse media are utilized based on formative aspects, the representative, narrative combination of the real and the virtual is a convergent factor in narrative structures. Through perspectives that perceive transmedia storytelling-which has brought convergence to communication among gamers-as having a structure and utility that can outclass previous game forms, this study focuses on ARGs, which have features that converge reality and virtual reality. Further, the study reveals the structure and utility of that system. This study sheds light convergent storytelling, which is in demand in the transmedia age, and which will serve as a significant investigation with regard to social perceptions of future games and changes in game form.

개인, 인종, 그리고 역사의 불협화음 -필립 로스의 『미국에 대한 음모』를 중심으로 (A Discord among Individual, Race, and History: Focused on Philip Roth's The Plot Against America)

  • 장정훈
    • 영어영문학
    • /
    • 제58권5호
    • /
    • pp.809-837
    • /
    • 2012
  • Philip Roth rejects the narrative unity and singularity of the traditional novel and creates instead a multi-levelled, fragmentary, and repetitive narrative.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fact from fiction in The Plot Against America. As an entertaining and creative work of the postmodern historiographic metafiction, Philip Roth's The Plot Against America interrogates the existence of historically verifiable facts, the validity of authentic and official version of history, and reexamines the narrative conventions of history writing.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oth's narrative experiment or 'thought experiment' and to explore the intention of creating alternative history in The Plot Against America. Roth does a 'thought experiment' in The Plot Against America. In this cautionary "what if" political fable, Roth hypothesizes that in 1940 aviation hero Charles Lindbergh, an ardent isolationist who was sympathetic to Hiltler, won the presidency. Jewish communities are stunned and terrified as America flirts with fascism and anti-semitism. Reimagining his children-with considerable fact mixed in with the fiction-Roth narrates an alternative history that has an unsettling plausibility. Roth has constructed a brilliantly telling and disturbing historical prism by which to refract the American psyche as it pertain to the discord of individual, race, history in The Plot Against America. Roth analyzes the life of individual in a historic space, the situation of anti-semitism in world of invisible order, racial conflict between black and white in world of visible order, and the darkest side of national power in this work. Roth's stories argue for the equality of various cultures grounded on the common notion of humanity, for an ethic of mutual respect, and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인도네시아의 메타내러티브와 동티모르의 로칼내러티브의 서술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the Metanarrative and East Timor's Local Narrative in Indonesia under the Suharto's Regime)

  • 송승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5-180
    • /
    • 2011
  •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의 국민국가적 메타내러티브와 동티모르의 로칼내러티브의 서술 구조를 비교·분석한다. 이 두 내러티브는 모두 민족을 초역사한 민족주의적 역사서술 방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와의 통합과 분리라는 각기 다른 정치적 지향점 속에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내리고 있다. 우선 메타내러티브에서는 로칼의 다양성을 민족의 도식 속에 흡수해서 바라본다. 이 내러티브에서는 원형민족의 상을 자바와 수마트라의 일부 왕국에서 찾는다. 마자빠힛과 스리위자야를 중심으로 한 이 왕국들은 힌두-불교문화를 중심으로 찬란한 과거 문명을 꽃피우고 영토적 통일성을 이룬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영광스러운 과거는 곧 식민시대의 도래와 함께 사라진다. 메타내러티브에서는 식민시기의 암울한 현실에서 종족들이 어떻게 일치단결하여 식민의 착취와 압제에 항거했는지를 부각시킨다. 그럼으로써 다양한 종족들은 "항쟁"이라는 공통의 목표로 가진 민족이라는 이름의 단일 정체성으로 규정된다. 이 과정에서 식민세력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한 로칼의 역사는 메타내러티브에서 누락되었고, 초국가적 역사서술 양상 속에서 로칼의 역사는 후진적인 것으로 은밀히 묘사되었다. 또한 다양한 분리주의 운동은 공산주의 등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반통합적 소요로만 그려졌다. 한편, 동티모르의 자주적 역사관 속에서 역사서술의 목표는 동티모르의 민족을 창출하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으로, 그 궁극적 목표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분리독립이었다. 이 역사에서는 영광스러운 과거의 흔적을 찾아낼 수 없는 한계점을 "가상의 영광스러움"에 대한 인식의 환기로 극복하고, 포르투갈 식민기억을 의도적으로 과장하여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와의 단절을 강조한다. 또한 식민세력의 450년간의 수탈과 착취를 강조하고, 그 고통 속에서 동티모르 민족이 노예화되었음을 보여주며, 이와 같은 노예화가 인도네시아라는 또 다른 식민국에 의해 연속되고 있음을 상기시켜 이를 독립운동의 모티브로 삼고 있다.

Heresiological Labeling in Ecumenical Networking from the Ninth to Thirteenth Centuries : The Byzantine Oikoumene Reconsidered

  • KUSABU, Hisatsugu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4권2호
    • /
    • pp.207-229
    • /
    • 2016
  • Apart from its Greco-Roman and Christian connotations, considering its continuous influence in the Byzantine world, the oikoumene should be seen as a geo-political as well as socio-religious concept of networking and unity in popular thought and local narratives. This paper argues that "ecumenical" thought survived after Late Antiquity and through the Byzantine era in the Orthodox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f people and information. It also provides a review of the circulation of heresiological "labels" in the middle to late Byzantine eras. In the Mediterranean, routes, transportation vehicles, and any media supported intelligent networking in the oikoumene. People in the oikoumene could access foreign teachings or stories from outsiders or "barbarians" of different faiths. Constantinopolitan intellectuals coined and issued labels for heretics, such as the Bogomils, Paulicians, and Massalians, and constructed a narrative of the heretical contamination from the center of the oikoumene. Heresiologists collected the information used in creating these heresy titles from far-flung places in all directions from Constantinople, and then exported the labels, which were spread using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the Byzantine oikoumene.

역사적 인간과 소설적 인간의 사이 -선택, 변형, 배제의 논리로 읽는 『칼의 노래』 (Between a Historical Subject and a Novel Subject -Reading The Song of sword based on the Logic of Choice, Transformation, and Exclusion)

  • 김원규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103-141
    • /
    • 2019
  • 이 글은 역사 기록을 상호 텍스트로 하여 『칼의 노래』에 나타나는 선택, 변형, 배제의 논리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소설 텍스트가 어떤 방식으로 '생산'되는지를 밝혔다. 또한 이렇게 소설이 생산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칼의 노래』가 소설적(근대적) 인물의 '세계에 대한 환멸의 서사'로 변화하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선택의 논리에서는 소설에서 어떤 시간과 공간이 선택되고, 어떤 인물이 선택됨으로써 소설의 내용·형식적 틀이 갖추어지는가를 보았다. 변형의 논리에서는 적대적 인물을 변형하고 전쟁의 의미를 변형함으로써 역사 기록과 달리 소설에서 '개인' 혹은 '주관성'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제의 논리에서는 특정한 시공간에 존재하는 역사적 인간의 특성이 배제되면서 소설에서 근대적(소설적) 인물의 특성이 부각되는 모습을 보았다. 이 글은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칼의 노래』를 역사 기록과 상호텍스트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 편의 소설이 생산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설이라는 형식 속에 역사적 실재, 작가의 이데올로기와 상상력, 동시대의 욕망 등 여러 이질적인 요소들이 결합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완결된 형식으로 봉합될 수 없는 텍스트의 요소들을 살핌으로써 안정되지 않은 체계로서 소설텍스트가 갖는 의미를 알 수 있다.

음악극적 특성이 강조된 고전영화 분석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Classical Hollywood Cinema with Music Theatre Features - in Reference to "Gone with the Wind" -)

  • 오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7-95
    • /
    • 2013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년, 빅터 플레밍 감독)는 고전영화의 관습적 틀 안에서 제작되었으며 음악사용 역시 후기 낭만적 음악 스타일, 내러티브에의 종속, 감정적 지시, 연속성과 통일성 부여 등의 고전적 장르 영화의 규범을 상당 부분 준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가시성, 불가청성 등으로 표현되는, 음악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극에 맞추어 재단되어 숨겨져야 한다는 고전적 이론의 명제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음악 사용을 완전히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오히려 음악이 전면에 드러나거나 음악적 볼거리를 위해 이미지의 시간을 재단하는 등, 기존의 장르적 언더스코어의 관행보다는 음악을 우위에 두는 음악극적 특성을 두드러지게 발견할 수 있다. 서곡과 간주곡의 사용, 뮤지컬 영화들과의 유사성, 바그너 음악극의 영향, 노래를 통한 정보의 전달 등 음악극에서 볼 수 있는 음악적 장치들을 차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장치들을 통해 숨어있는 언더스코어로서의 영화 음악이 아니라 음악적 볼거리를 풍부하게 하고 극의 전개를 견인하도록 음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고전영화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중국 고대예술의 도상서사와 시각문화 연구 -회화의 이시동도법과 만화의 칸의 상호 해석- (Textuality and Vision : Visual Narrative of Ancient Chinese Literature Art Focused on Narratology's Viewpoint)

  • 조정래;황국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779-790
    • /
    • 2016
  • 본 연구는 중국 고대예술의 이미지 서사와 시각문화에 관한 연구로, 문학과 회화형식이 결합된 복합적인 텍스트와 시각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고대예술의 시각적 사유방식과 이시동도(異時同圖)적 표현, 고대의 도상 서사방식과 만화예술의 칸의 상호 해석을 통한 매체적 합일성 그리고 도상서사의 만화적 연원과 현대적 수용방식이다. 중국 고대의 시각에 대한 인식은 전통적인 양식적 형상과 의미적 상징을 포괄한다. 예술의 서사적 이미지로서 도상의 형상적 사유와 시각적 표상은 예술 창작활동 가운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예술적 사유 또한 시각적 표상과 분리되어 질 수 없다. 시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는 도상적 서사방식은 일종의 이성적 사고를 지닌 창의적 언어표현이다. 고대예술의 이미지 사유방식과 이시동도적 시공간표현 특징은 일종의 예술적 공간의 시간화로 현대 만화예술의 사유공간으로서 또 다른 조형적 수용방식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서사방식은 새로운 조형미와 매체형식 그리고 문화가치가 결합된 현대인의 대중적 미적욕구와 소통을 필요로 한다.

<레드 데드 리뎀션 2>의 서사 형식과 서사 부조화 (Narrative Structure and Ludonarrative Dissonance in the Video Game, "Red Dead Redemption 2")

  • 전범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9-72
    • /
    • 2020
  • 2018년에 출시된 게임 <레드 데드 리뎀션 2>는 영화적인 스타일로 연출된 스토리에 오픈 월드 스타일의 자유도를 결합해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은 게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게임 속 서사의 주제와 게임 메카닉의 이해관계가 충돌을 일으켜 "서사 부조화 (ludonarrative dissonance)"가 일어나는 것을 밝히고, 게임 속 서사가 영화와 같은 전통적인 스토리텔링 매체와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는 서사의 "통일성"을 결여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클린트 호킹의 "서사 부조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시>에서 강조한 플롯과 행위의 "통일성"(unitary plot, action), 그리고 로버트 맥키의 이론을 기반으로 <레드 데드 리뎀션 2>의 서사를 분석하여 주인공 아서모건의 '구원'이라는 주제와 그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키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구, 즉 이야기의 "척추"를 밝혀낸다. 아울러, 게임 속 "명예"라는 게임 메카닉을 분석하여 게임 속 주인공의 도덕적 선택이 "명예"의 수치를 결정짓고, 이는 서사의 진행 방향을 다양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인다. 그러나, 다양한 서사적 갈래에도 불구하고 이는 게임 스토리의 핵심인 주인공 아서 모건의 '구원'이라는 주제, 즉 서사의 큰 줄기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다. 본 연구는 게임 속에서 주인공이 서사의 주제에 극단적으로 반하는 도덕적 선택을 할 경우일지라도, 이에 상응하는 서사적 변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결국 서사 부조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게임 속 다양한 예를 분석하여 밝혀낸다. 또한, 단순한 수치로 계산되는 "명예" 시스템이 추상적인 도덕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오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게임 후반부에서 드러나는 "명예"를 이중잣대로 판단하는 시스템의 결점을 알아내어, 이것이 서사 부조화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것을 밝힌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레드 데드 리뎀션 2> 속 서사 부조화가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는 플롯의 통일성을 해치고, 나아가서 게임이 온전한 스토리텔링의 매체로서의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T. S. Eliot의 "The Waste Land"에 나타난 주제와 형식 (Theme and Form in T. S. Elopt's "The Waste Land")

  • 양현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4호
    • /
    • pp.249-267
    • /
    • 1998
  • "The Waste Land" is Eliot's best known poem. It was first published in 1922 and became a famous poem in modem poetry by the 1940's. The poem is a statement of his personal experience with spiritual crisis, this simple outline is complicated and universalized by being se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isher King legend'. The fisher King legend was studied by Miss Weston in From Ritual to Romance and Sir James Frazer in The Goldon Bough which traced the vegetation myths. It explained the cycle of the seasons in relation to the death and rebirth of a god. The god died in the winter with the death of the vegetation and was reborn in the spring with the rebirth of the vegetation. Sir James Frazer reaced these ancient rituals within the Christian world. He indicated that the death and rebirth of Christ falls within the pattern of this ancient ritual. Also Miss Weston transformed that ancient ritual into Christian terms, and connected it with the Quest for the Holy Grail. Eliot used not only the title, but the plan and a good of the important symbolism of the poem from these two books. "The Waste Land" is a difficult one because of the numerous interruptions in the narrative. On the superficial level, the story covers a 12-hour period in a day. It is also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t might be called the internal monologue; that is, "the free association of ideas in the mind of the narrator," Eliot experiments with both the idea of time and with the stream of consciousness, He employs a number of quotations and allus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So, his technique in "The Waste Land" consists of the juxtaposition of the present with mythcism and religious symbolism derived from the past.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built out of the contrasts in time. The poem illustrates his conception of the past as an active part of the present. "The Waste Land" has "a symphonic structure" composed of five parts, which are linked by the repeated themes. The theme is the death and salvation of the Waste Land. It is drawn from the Fisher King myths. Moreover, he has absorbed into the structure of this poem the language, phrases, and associations of other writers. It gave the poem the universality both of theme and of pattern. Also, his intricate and fine techniques added the universality to the poet's personal material. At last, the verse pattern of the poem follow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thematic patterns. Again in symphonic style, the vers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The interruption of real time is associated with the flow of consciousness. Though the poem is a complex structure, there are the interweavings of a great deal of ideas into a simple, brief statement. By these poetic techniques the poem manages to have good harmony and unity between the thematic pattern and narrative structure. "The Waste Land" therefore, became the greatest poem in the 20th century modern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