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eaching methodFreedo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가상교육에서의 맞춤 컨텐츠 제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of a Novel Software to Facilitate Customized Cyber-Education)

  • 이자희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95
    • /
    • 2005
  • With recent advancement in informational sciences, educational systems are undergoing a revolutionary facelift on how students attain their education. These developments have diminished the traditiona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have improved the overall qualit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have also ignited the birth of cyber-education in which students have the flexibility and responsibility on what and when to study, thus providing a greater freedom to control one's education. Cyber-educational environment not only requires physical hardware but also an organizational structural component and most importantly, a software component that drives and gives the student management power to tailor their studies based upon their educational requirements. Due to the fact that individuals learn and develop at different rate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a cyber-educational program will be its ability to adjust and customized to individual needs and requirements. In this thesis, a novel software which encompasses these ideas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is program allows the individual more flexibility and management of courses based on their ability and needs. Because the software customizes to one's ability and it allows the student to advance at a more comfortable pace, it boosts the student's confidence and desire to learn. In the future, new and improved programs similar to the one developed here will further enhance the cyber-educational environment and will undoubtedly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student's education.

두 모집단 모평균 비교의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Two-Sample Test for Population Mean Difference)

  • 김용태;이장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145-154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partures from normality and equal variance on the two-sample test when the variances are unknown. We have found that type I error brought about a little bit change which is ignorable in relation to kurtosis. But the change of type I error was mainly based on the skewness of the parent population. In introductory statistics classes where data analysis includes techniques for detecting skewness of two populations, we recommend the two-sample t-test when maximal skewness of two populations is smalter than the value 4 when the variances seem equal. Furthermore, our simulations reveal that the two-sample t-test appears somewhat more robust than that of z-test if the assumption of equal variance is satisfied. In the case of unequal variance, the two-sample t-test appears somewhat more robust provided the t-statistic using Satterthwaite's approximate degrees of freedom.

  • PDF

유아의 자유놀이시간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nd the Roles of Teachers : Focusing on Photovoice)

  • 박진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41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roles regard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Methods: The study utilized the photovoice method and involved 2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ressed interest in participating.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an infants teaching methodology class in B city. The study involved four virtual meetings conducted via untact teams, and the automatic recordings of these meeting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period to enjoy full freedom, develop as the main agent of their lives, and express their imagination. Furtherm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s dur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specialist infant observer, a connector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a versatile support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systematic curriculum to provi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lanced perspective and awareness of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eacher rol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pre-practice courses for observation of play and field-oriented curriculum for incumbent teachers.

원주율에 대한 심화학습을 위한 조선산학의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ing of Chosun-Sanhak for the Enriched Learning about Pi)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811-8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주율과 관련되는 조선산학의 내용을 교수학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며,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원주율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돕는 교수 학습활동을 조직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수략>, <구일집>에 대한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선에서 사용한 고법, 휘율, 밀률을 비롯한 다양한 원주율의 근삿값이 지름과 원주의 비라는 원주율의 의미가 잘 드러나는 형태로 제시되었다는 것과 문제의 상황에 맞게 원주율을 적절히 선택하게 함으로써 계산의 정확도를 조정할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원주율에 대한 심화학습 자료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활동으로 조직화하였다. 교수 학습활동은 원주율의 뜻과 원주율의 근삿값 설명하기, 원주 또는 원의 넓이 계산 방법에 대해서 교과서 방법과 비교 설명하기, 원의 넓이와 정사각형의 넓이의 비의 관계 설명하기 등 총 4가지 활동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의생활 영역 가정과수업 개발(제1보)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For Teenager's Empowerment Improving(I))

  • 오경선;하지수;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5-177
    • /
    • 2019
  • 본 연구는 의생활 교육내용을 임파워먼트 향상을 목표로 하는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으로 구성하여 청소년들이 직면하는 의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새로운 의생활 문화를 창조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oo와 Lee(2010)가 구체적으로 해석한 Laster(1986)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적용하여 개념화한 후, Brown(1979)의 실질적 내용구성과 미국 위스콘신 주에서 개발한 교사용 지도서 "A Teacher's guide : Family, Food and Society"(Staaland & Storm, 1996)에서 제시된 실천적 추론의 개념적 틀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의생활과 관련된 지속적인 관심사로는 '사회 내의 가족을 위하여 의생활과 관련하여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추구하는 가치목표는 자유가 많고 책임이 큰 상태인 복합적인 위치로 정의하여, 상호의존성, 감정적 성숙, 지적발달, 의사소통 능력 등을 학습의 목표로 삼았다. 교육내용과 활동 구조를 위해 교육내용의 개념적 틀로 실천적 추론 과정을 사용하였으며, 하위 관심사, 광의의 개념, 하위 개념과 지적·사회적 기술을 포함시켰다. 둘째, 실천적 추론 단계를 토대로 의생활 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총 5개 모듈의 12차시 과정안을 개발하였으며, 읽기 자료, 그림 자료, 모둠활동 자료, 동영상 자료 등을 포함하여 총 31개의 학습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천적 추론과정을 수업에 새로이 시도해 보고자 하는 교사들이나, 실천적 추론 과정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은 교사들에게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등과학교사의 유튜버 경험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YouTuber Experience and Identity: Focusing on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 신세인;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79-595
    • /
    • 2022
  • 이 연구는 유튜브라는 공간에서 새롭게 교육활동을 하는 중등과학교사들에 대한 질적사례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생활세계 혹은 현실공간의 규범과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상향이 반영되어 사적 자유나 일탈을 가능케 해주는 공간을 의미하는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 사례를 해석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최근 자발적으로 유튜브 플랫폼에 개인 채널을 개설하고, 과학 학습 관련 영상을 활발하게 올리는 현직 중등과학교사 5인이 참여했다. 5인의 중등과학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개별적으로 반구조적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한 해석을 위하여 참여자들이 제작한 영상 콘텐츠, 이들이 직접 제작한 교사연수자료 및 교수학습자료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만의 고유한 교육활동에 대한 갈망', '확장된 교실 공간으로서의 유튜브', '교실의 장벽 너머로 확장된 관계망', '인정욕구의 충족과 유튜버로서의 정체성 경험', '전통적 교육공간과 유튜브 공간 사이의 긴장' '장인으로 거듭나기', '교사-유튜버로서 자신만의 방향 찾기'라는 크게 일곱 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중등학교와 교실 안에서 한정되던 중등과학교사의 정체성과 욕구가 유튜브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확장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튜브는 과학교사들이 자신들만의 이상을 실현하고 즐거움을 느껴 볼 수 있는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서의 행동을 일상 공간 속의 규범과 잣대로만 규제하는 것은 오히려 이들의 건전한 정체성 형성과 성장을 가로막는 일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체육교사의 체육평가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Korea Science Academy Physical Education Teachers's Assessment Experiences)

  • 이종민;이근모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43-57
    • /
    • 2016
  • 이 내러티브 연구는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체육교사가 실행했던 체육평가의 경험을 기술하고 그 과정에서 탐색되는 교육적 의미들을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결정적 사례표집법에 의해서 선정된 두 체육교사이다. 자료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공식적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필드노트, 비공식적 인터뷰, 각 종 회의록, 학생의 강의평가,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이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귀납적인 범주화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화된 자료의 통합, 동료 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 연구텍스트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지속적인 확인과정을 거쳤다. 연구참여자들은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체육평가를 실행하면서 간소화된 평가에 따른 체육수업의 질적 발전, 평가결과 정리에 따른 잡무로부터의 해방, 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개선, 과도한 경쟁이 없는 안전한 수업의 실현, Pass/Fail 평가의 전이가능성 확인과 같은 평가의 효과성을 경험함과 동시에 체육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에 대한 고민, 체육수업을 하찮게 생각하는 학생의 등장, Fail을 부여할 수 없는 현실과 같은 평가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두 체육교사의 체육평가 경험은 좋은 체육수업과의 조우, 체육수업 비평으로의 초대, 학생이 주도하는 학교체육문화의 시작이라는 3가지 교육적 의미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