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arrative Inquiry on Korea Science Academy Physical Education Teachers's Assessment Experiences

한국과학영재학교 체육교사의 체육평가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Received : 2016.03.29
  • Accepted : 2016.05.24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narrative study aim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P.E. assessment that was conducted by P.E. teachers of 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was found in the proc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P.E.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decisive cas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official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and through researcher's field notes, informal interviews, various minutes, students' evaluation of teaching, and emails between the researcher and study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and to gain veracity of the study, there were integration of diverse materials, advice and suggestions of fellow researchers, continuous confirmation of study texts by study participants. Study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P.E. assessment in 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 experienced effectiveness of evaluation such as qualitative development of P,E. classes in accordance with the simplified assessment, freedom from the chores of handling assessment results, students' improved perceptions of P.E. class, realization of safe classes without excessive competition, and the possibility of giving alternative evaluations to pass/fail system but at the same time experienced limitations such as concerns over gain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 evaluation, the students' attitude who take lightly of P.E. class, and the reality that teachers cannot fail students. The evaluation experiences of the two P.E teachers were educationally interpreted as encounter with good P.E. classes, invitation to P.E. class criticism, and the start of school P.E. culture that is led by students.

이 내러티브 연구는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체육교사가 실행했던 체육평가의 경험을 기술하고 그 과정에서 탐색되는 교육적 의미들을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결정적 사례표집법에 의해서 선정된 두 체육교사이다. 자료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공식적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필드노트, 비공식적 인터뷰, 각 종 회의록, 학생의 강의평가,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이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귀납적인 범주화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화된 자료의 통합, 동료 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 연구텍스트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지속적인 확인과정을 거쳤다. 연구참여자들은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체육평가를 실행하면서 간소화된 평가에 따른 체육수업의 질적 발전, 평가결과 정리에 따른 잡무로부터의 해방, 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개선, 과도한 경쟁이 없는 안전한 수업의 실현, Pass/Fail 평가의 전이가능성 확인과 같은 평가의 효과성을 경험함과 동시에 체육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에 대한 고민, 체육수업을 하찮게 생각하는 학생의 등장, Fail을 부여할 수 없는 현실과 같은 평가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두 체육교사의 체육평가 경험은 좋은 체육수업과의 조우, 체육수업 비평으로의 초대, 학생이 주도하는 학교체육문화의 시작이라는 3가지 교육적 의미로 해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