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ptimum recip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피부 미용 개선을 위한 맥주 효모 및 두류 첨가 수유부용 쿠키 개발 (Development of Cookies with Brewer's Yeast and Beans to Improve Skin Health of Lactating Women)

  • 이연재;김다솔;정은경;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1호
    • /
    • pp.31-4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okies made with black soybeans, chick peas, lentils, oatmeal, and brewer's yeast and to establish the optimum formula for the development of low glycemic index (GI) cookies with high biotin content for lactating wom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of oatmeal cookies with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levels of bean powder (black soybeans, chick peas, lentils) and brewer's yeast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In addition, the mixing conditions of oatmeal cookies were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As a result,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e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and water content (P<0.05), whil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flavor, taste, crisp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The optimal sensory combination was suggested to be 3.73 g of bean powder and 1.59 g of brewer's yeast. Considering all outcomes ob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s, brewer's yeast, black soybeans, chick peas, lentils, and oatmeal are suitable ingredients for increasing functionality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okies.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ducing cookies of optimal qualit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nutritious foods, and improving the food industry for lactating women.

오디 농축액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 이정애;최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5-294
    • /
    • 2011
  • 본 연구는 뽕나무열매인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농축액을 첨가하여 일상생활에 쉽게 접하는 머핀을 제조하였다. 오디머핀의 최적화를 찾아내고 품질특성과 신제품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H, 비중, 제품의 비체적,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과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오디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낮고 비중은 감소하였다. 색도는 L, a, b값이 감소하였고 탄력성은 증가하였다. 외관은 15% 첨가군이 6.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나머지 시료는 5.1-5.9사이의 값으로 비슷한 기호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20%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20% > 15% > 10% > 0% > 25%순 이었다. 오디농축액의 첨가로 품질의 저하가 있었지만 유지나 물량의 조절과 유화제의 첨가로 제품의 향상이 기대되며 15~20첨가로 기호도가 높아지리라 사료된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천년초 줄기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최적화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복미;김다솔;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and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by three different amoun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in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In regard to its antioxidant effects, Opuntia humifusa powder had a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64{\pm}0.54mg/g$ and $90.12{\pm}0.42%$, respective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obtain sixteen experimental points(including three replicates for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and Opuntia humifusa cookie formulation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produc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p<0.05), flavor (p<0.05), texture (p<0.05), sweetness (p<0.05), appearance (p<0.05), overall quality (p<0.05), an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sweetness (p<0.001), hardness (p<0.001), lightness (p<0.001), redness (p<0.001), yellowness (p<0.01). As a results, the optimum formulations obtain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found to be 3.11 g of Opuntia humifusa powder, 35.00 g of sugar and 50.54 g of butter.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호박분말 첨가 즉석 호박죽의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Instant Pumpkin Gruel with Pumpkin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신동선;박보람;유선미;황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1-300
    • /
    • 2013
  • 본 연구는 호박분말을 이용하여 간편식 형태의 즉석 호박죽을 제조하기 위하여 호박분말의 첨가량, 볶음 대두분말의 첨가량, 알파미분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반응분석법의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하였다. 최적화를 위해 호박분말($X_1$), 볶음 대두분말($X_2$), 알파미분($X_3$)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고 색도(L, a, b), pH, 점도, 관능평가 항목(외관, 색, 향, 맛, 점도, 전반적인 기호도)을 종속변수로 각각 선정하였다. 그 결과 즉석 호박죽의 색도는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p<0.001). pH와 점도는 호박분말과 볶은 대두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관능검사의 전반적 기호도에서 호박분말 5.25 g, 볶은 대두분말 3.00 g 알파미분 4.50 g일 때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박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즉석 호박죽의 최적값은 호박분말 5.72 g, 볶은 대두분말 4.30 g 알파미분 3.00 g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 관비재배 시 토성에 따른 적정 배양액 조성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According to Soil Texture in Fertigation Culture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한석교;은종선;김호철;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2-169
    • /
    • 2008
  • 오이 관비재배에서 토성에 따른 적정 관비액 조성을 구명하고자 양토와 사양토를 대상으로 Yamasaki 오이배양액 농도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변화, 생육 및 과실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EC는 모두 재배 중기부터 상승하였고, pH는 양토에서는 적정수준이었으나 사양토는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광합성속도는 양토 1/2배액, 증산율은 사양토 1배액에서 가장 낮았다. 그리고 확산저항성과 엽록소함량은 사양토 1배액에서 높았다. 배액량은 사양토 1/2배 액에서 가장 많았고 양토 1배액에서 가장 적었고, 수분 흡수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토양 무기양분은 두 토양 모두에서 칼슘을 제외하고 1배액에서 높았다. 잎의 질소 함량은 사양토 1배액, 인산은 양토 1/2배액, 가리는 모두 1배액, 칼슘은 양토 1/2배액과 사양토 1배액, 마그네슘은 양토 1/2 배액에서 높았다. 생육과 수량은 사양토보다 양토에서 높았고 1배액에서 가장 좋았다. 따라서 오이 관비재배 시 양토에서는 $NO_3$-N 12.3, $NH_4$-N 1.0, P 3.0, K 5.9, Ca 5.7, Mg $3.5\;me\;L^{-1}$, 사양토에서는 $NO_3$-N 11.7, $NH_4$-N 1.0, P 3.0, K 5.9, Ca 4.9, g $3.2\;me\;L^{-1}$으로 조성된 배양액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근대 이후 죽의 조리과정 변화 연구 -팥죽, 잣죽, 타락죽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Gruel in Cook Books Written during Last 100 Years)

  • 조미숙;이경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89-60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Pat-juk$(red beans porridge), $Jat-juk$(pine-nut porridge) and $Tarak-juk$(milk porridge) in cooking books published after Korean modern era, approximately from lat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We analyzed 11 historical cook books were analyzed. It is found that the amount of red beans used for $Pat-juk$ was the same or more than that of rice but never less than rice. Only one cook book suggested sugar as seasoning for final taste, but all the other cook books mentioned salt for final taste. $Hangukeumat$(1987) suggested the method for obtaining optimum color for $Pat-juk$. After smashing and passing through the cooked red beans, collecting the red bean water to boil first and then adding the passed through red beans to boil together, in which rice will be added the last to be boiled. For $Jat-juk$, the ratio of the amount of pine-nut and rice were varied among cook books that the amount of pine-nut can be more, same or less than rice. $Jat-juk$ can have salty or sweet, so sugar, honey or salt were used for final seasoning. Pine-nut and rice were cooked together or cooked successively depending on cook books. The changes in cooking procedures of $Tarak-juk$ were the portion of milk used and the method of preparing rice before making the porridge. Firstly, the portion of milk increased over time. $Tarak-juk$ can be also tasting both sweet or salty, so sugar or salt was used for final seasoning. Secondly, two method of preparing rice were found; one is that rice was ground after soaking in water and the other is that rice was ground and toasted before putting into the porridge. When the ground rice was toasted, the milk was added with wate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cooking time of the porridge with toasted rice was shortened so that the milk could be added earlier than the other method without the risk of sticking on the bottom of the pot. In further studies, the cooking procedures used in the previous period of the late 19th century should be examined. Also after restoring all the cooking methods suggested in cook books, the comparison of the sensorial and nutritional value needs to be carried out for applying or reinventing new recipe for food industry.

Microwave oven을 이용한 엿 제조방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ipe and the Characteristic of Yeots by Microwave Oven)

  • 김태홍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5-61
    • /
    • 1985
  • 엿의 간편하고 과학적인 제조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옛 문헌을 참고로 하고 예비실험을 통하여 엿 제조가 가능한 곡류, 엿 재료의 배합비 및 전자렌지를 이용한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을 결정하였다.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으로 제조된 각종 엿의 특성을 관능검사와 Rheometer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 의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자렌지를 이용한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은 곡류 380g에 물 320ml를 넣고 1시간 30분동안 보온밥통내에서($60^{\circ}C$) 당화시켜 걸른 후 전자렌지내에서 찹쌀엿, 쌀엿, 조엿은 $120^{\circ}C$까지 가열하였다. 2. 당도계로 측정한 각 재료의 당화전의 당도는 11%로 모두 같았고 당화후의 당도는 각 재료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P<0.05) 찹쌀, 쌀당화액의 당도가 각각 28.8%, 28.2%로 가장 높았고 옥수수 당화액이 17.7%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각 당화액을 가열, 농축시킨 후 각 엿의 당도는 각 엿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찹쌀엿이 86%로 가장 높고 옥수수엿이 82.7%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pH meter로 측정한 각 재료의 당화전의 pH는 4.4로 모두 같았고 당화후의 pH는 각 재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수수당화액이 4.7로 가장 높고 옥수수당화액이 4.3으로 가장 낮았다. 4. 관능검사에 의한 엿의 특성에 대한 평가에서 가장 바람직한 엿으로 평가를 받은 것은 찹쌀엿이었고 다음은 쌀엿,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 순이었으며 찹쌀엿과 쌀엿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또한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들은 찹쌀엿, 쌀엿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Rheometer에 의한 Texture 측정 결과 거의 같은 정도의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므로 찹쌀엿은 쌀엿으로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은 엿제조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엿의 품질에 있어서는 찹쌀엿, 쌀엿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찹쌀엿, 수수엿 및 쌀엿이 주로 제조 , 이용되고 있는 경향인데 비용이 적게 들며 우수한 엿으로 평가된 쌀엿을 제조, 이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with Added Spinach Powder)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7-7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였고, Design Expert7(State-easy co., Minneapolis)을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화하였다.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최대 및 최소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시금치 가루는 1~5 g, 설탕은 20~50 g, 버터는 40~60 g으로 하여 발아현미쿠키를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는 시금치 가루 1 g과 설탕 20 g, 버터 60 g에서 가장 높았고,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퍼짐성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첨가량이 많을수록 퍼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퍼짐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루 첨가가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경도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색,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금치 가루의 양이 많아질수록 기호도는 일정수준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의 관능은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 향은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 조직감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의 교호작용,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이 더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의 모든 항목에서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 g, 버터 50 g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실험을 중 발아현미와 통밀가루를 이용한 쿠키베이스에 시금치를 첨가한 것이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아현미 쿠키베이스를 이용한 시금치첨가 쿠키의 결과에서는 최적 배합비를 예측한 최적값은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5 g, 버터 54.4 g이었으며, 본 시금치를 첨가한 발아현미 쿠키는 기능성 및 품질과 기도적 측면에서 상품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서로 다른 보조제에 의한 acetamiprid 액제의 살충활성 증진효과 (Enhancement of insecticidal efficacy of acetamiprid soluble concentrates using different adjuvants)

  • 김형민;이원기;김종관;이창혁;유용만;황인천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5-331
    • /
    • 2004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보조제를 이용하여 살충제인 acetamipid 4% 액제(SL)의 제조처방을 확립하고 생물활성 검정을 통하여 보조제에 의한 살충활성의 증가효과를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보조제는 SS(Sodium alkylcarboxylate)와 PE(Polyoxyethylene alkyl ether) 두가지 였으며, 기초적인 제제시험을 통하여 안정적인 액제 제조처방을 확립하고 선발된 보조제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4가지 제조처방을 가진 시제품을 제조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제품은 보조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물리성을 측정하였고 오이를 대상으로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및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에 대한 살충 활성을 비교하였다. 보조제가 첨가되지 않은 SL1의 경우, 보조제를 첨가하면서 표면장력이 44 dyne/cm에서 34 dyne/cm으로 감소하였고 접촉각은 SS와 PE의 혼합 보조제를 사용한 SL4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오이 총채벌레 및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활성은 보조제를 첨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단독 보조제를 사용한 SL2와 SL3보다는 SS와 PE의 혼합 보조제를 사용한 SL4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보조제의 선발에 의하여 살충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살충제의 처리량을 줄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의 새로운 균사배양기의 조성 (Composition of a New Medium for Mycelial Growth of Hericium erinaceus)

  • 고한규;김동명;박원목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369-376
    • /
    • 1997
  • 본 실험은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isolate KU-1)의 균사생장에 관한 영양원 실험으로 대량의 균사체 수확을 위한 배양기 조성을 밝히기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최적온도는 $25^{\circ}C$이며 pH4에서 160.5 mg으로 가장 건물중이 높았고 탄소원 중 glucose, sucrose, galactose, mannose 순으로 균사생장 및 균사밀도가 우수하였다. 무기태질소원으로는 ammonium acetate 30 mM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아미노산 중 arginine 15 mM에서 우수하였다. C/N율 200에서 35.9 mm로 균사생장의 최대치를 보였다. 상술한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Table 1과 같은 새로운 합성배지를 조제할 수 있었고, 이를 Ko배지라 명명하였다. 이 Ko배지와 기존배지간의 한천배지상에서 균사생장 비교한 결과, Ko배지에 가장 우수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를 나타냈다. Ko배지의 조성은 glucose 18.02g, arginine 3.613g, ammonium acetate 2.313g, $CaCl_2\;0.33g$, $KH_2-PO_4\;8.5g$, $MgSO_4{\cdot}7H_2O\;2.0g$, $FeSO_4{\cdot}7H_2O\;0.02g$, $ZnSO_4{cdot}7H_2O\;0.02g$, $MnSO_4{\cdot}7H_2O\;0.02g$, water 1 liter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