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293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in Gwangju·Jeonnam were analyzed fo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health behavior index using composi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21.0.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significant in age,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type,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was significant in education level.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related indicators was significant i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prosthesis repair, and discomfort chewing,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was significant i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oral examination, discomfort chew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ere age and prosthetic repair,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iabetes were age, prosthetic repair, discomfort chewing, and annual drinking fre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and health behavior indicator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to help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are and oral health care improvement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and obesity in Koreans aged over 50 years based on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by average household income with reference to the minimum monthly living expenses (MLE): low (n = 319, < 100% MLE), middle (n = 222, < 200% MLE), high (n = 411, ${\geq}$ 200% MLE) and each group was compared by BMI index. With increasing income level, the prevalence of systolic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was increased. In the low income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fasting glucose were higher in the obese compared with the normal. In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s,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and diastolic hypertension were higher in the obese. Subjects had nutritional imbalance, such as inadequate intake of calcium and potassium. With increasing income level, the percentages of protein and fat to total calorie were increased in addition to the intakes and density of nutrients. The obese in the low income group had higher intakes of energy, protein, phosphorus and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cereals and potatoes compared with the normal. It was shown that the obese of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s tended to have lower consumption frequency of Korean cabbage and higher frequency of fruits. The obese of high income group also had binge drinking habi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fic approaches based on economic statu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middle-aged salary workers' to make silver town their future care typ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837 middle-aged salary workers living in Seoul, Daejeon, Jeonju, Daegu, Gyonggi-do, and Jeju-do. Statistic values that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and log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91.5% of the middle-aged salary workers needed silver town as their future care type and 63.2% of all workers wanted to live in the silver town. Seco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choosing silver town as their care type was the convenience of their daily life. For the most part, salary worker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moving to a silver town when they have some problems with mobility. Also, they wanted to pay for a deposit of 54,620,000 won and a monthly payment of 870,000 won.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lary workers' preference to silver town were the respondent's sex and job, possession of a first child or not, real estate asse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recognition for their economic status, having savings for their futur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universaliz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and text mining in order to explore a futur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HEE) development in the one-person household era. From 2010 to 2018, texts from newspaper articles and book content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through R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competency to live a happy life in the one-person household era, it is necessary to: (1) expand the preemp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of HEE, (2) develop and operate a curriculum to raise the living competency to live alone, (3) expand opportunit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off-campus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students, and (4) develop various HEE's elective curriculum focusing on the ability to live as one-person household. Also, (5) in order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poverty and isol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HEE should strengthen the learner's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through self-esteem, care of others, community lif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conclusion, HEE's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y, and prac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re all necessary competencies to live in one-person household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HEE and to use new research methods such as word cloud techniques in the absence of HEE's previous research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idential preferences, the type of house, the size of living space, and the region for later life and contributing factors to their housing plan.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572 aged couple living in Korea. Statistics employ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X2test, logi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y preferred 31.2 pyung as living space, the single detacted house(81.1%) and living in middle-small cities or rural area. The present living space, present living area, satisfaction of economic statu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ving space in later life. Those who had a plan to live in the single detached house were affected by husband's educational attaintment, the type of present house, present and future living reg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furture living region were present living region, household income, household expenditure, total asset and preferred housing type. The affecting factors were different from future residential preferences by occupation and health status.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준비가 현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주변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결측치가 많은 8부를 제외한 442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서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가 정서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신체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력, 기술/노무직, 정서적 노후준비, 신체적 노후준비가 신체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제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계소득, 정서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가 경제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정서적 노후준비가 사회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는 노년기의 수준에서 향상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중장년층 시절부터 노후준비가 잘되어 있어야 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ur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y of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to improve healthy ea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355 adult household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2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ge groups compris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the elderly in their 60s and above. The eating behavior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y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were then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members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as found to be higher.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also found to have a lower marriage rate and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cross the age groups of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P < 0.05). Among each of the age group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alon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P < 0.05).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d lower average scores on healthy dietary competency than multi-person households (P = 0.032). When adjusted for age, gender, marriage, education,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risk of delivery/take-out, eating out, or skipping meal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P < 0.05). In multi-person households, the risk of skipping meals, eating alone, eating out, or delivery/take-out decreased as healthy dietary competency improved (P < 0.05). On the other hand, in single-person households, as healthy dietary competency increased, the risk of delivery/take-out or eating alone decreased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y dietary competency and eating practices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customized dietary education by age group for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health policies for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that may occur among the elderly depending on whether they liv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or not. Methodolog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and excluded cases with missing values in variables for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 participants of 15,469. Finally, 2,850 subjects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unmet medical needs, attempting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nmet medical needs through subgroup analysis considering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odds ratio (OR) for unmet medical need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60 times (95% CI: 1.16-2.21). Upon conducting subgroup analyses for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quintiles, the OR was significantly higher at 2.24 times (95% CI: 1.14-4.41) for males and 1.48 times (95% CI: 1.02-2.14) for fem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cases. For individuals aged 65-69, the OR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90 times (95% CI: 1.04-3.47), but for those aged 70-74 and over 75,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households with 'low' income, the OR was higher at 1.62 times (95% CI: 1.16-2.26), and for 'middle' incom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3.21 times (95% CI: 1.08-9.5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care is high among men who make up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ow-income seni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to expand medical services and support welfar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established to resolve these problems, showing that health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to improve medical accessibility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needs of caring between care-givers and non care-givers, and to suggest the way of lessening vigorous task of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nationwide respondents intentionally divided into two groups; care-givers and non care-givers in the middle aged with middle and upper incom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using SPSS package. Since the result of survey, unexpectedl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t could be explained as that these two groups commonly had same needs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Most Koreans stiff thought family should be the main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prior to nation or society. 2)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ould be better to be shared with children instead of focusing to a child. 3) They thought ideal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small-scale professional dementia facility(group home) rather than home or general elderly housing. 4) Professional dementia care hospital was one of the most needed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llowed by short-stay and dar-care center. 5) It was revealed care-giving task was vigorous showing that most care-givers spent 1-5 hours a day for caring, while 13% of respondents spent 11-24 hours a duty. 6) 90% of care-givers took the responsibility of main care-giver because of duty of offsprings or spouses, and wanted to be free from their current circumstances.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researchers would like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facilities for professional dementia care to lessen the caring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group home, chronic hospital, short-stay, day-care center.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e housing renovation of the caring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afterward. It is needed to give the opportunity to select proper paid dementia c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income and situation of household.
연구배경: 최근 국내 중고령층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며, 그 중 가장 임상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전반적인 건강 및 웰빙과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중고령층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과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II) 전체 응답자 22,559명 중 40세 이상 성인을 추출하여, 결측치가 없는 총 6,659명의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 여부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 비위험군에 비해 위험군인 경우 주관적 건강이 저하될 오즈비는 1.84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02점(β, -0.02; 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변수에 대해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수면시간, 우울증 여부,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라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과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더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이거나 6시간 이하인 경우 6-8시간인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더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높았다. 가구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원 수가 감소할수록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높아지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아졌다. 결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이 단순히 수면장애로만 직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건강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지원 및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여성, 낮은 가구소득, 1인 가구원, 우울증이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예방 및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주관적 건강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