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earning of regional geograph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6초

地域地理 敎育의 內容 構成과 學習 理論의 照應 (Regional Geography in Education and the Learning Theories)

  • 권정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1-52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학습 과정을 고려하여 지역지리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원리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학습 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들은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이 누적되는 과정을 강조하는 입장과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사고들에 따라 조직되는 과정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견해들은 학습 과정을 靜態的인 것으로 가정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습한 지식과 새롭게 학습하는 지식 간의 순환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학생들은 態動的인 構成的 過程을 통하여 知識을 지니게 된다는 견해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견해를 지역지리 교육에 적용하면 학생들의 私的 地理와 公的 地理 간의 循環을 강조하게 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生活世界에 대한 私的 地理로부터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PDF

지역지리 학습에 있어서 음악작품의 활용 (The Application of Music to Learning Regional Geography)

  • 황홍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3-116
    • /
    • 1995
  • 본 연구는 지구화 시대에 지역지리가 중요하계 등장한 시점에서 지역지리 학습시 음악작품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의 음악작품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 경향과 의의를 살펴보고 지리적 기본개념에 의해 음악작품을 분석하고 교수방법으로서 실제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GIS를 활용한 고등학교 지역지리 학습지도안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Lesson Plann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High School Regional Geography Teaching and Its Application)

  • 정인철;박현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2-15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지역지리학습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스트랜드를 적용한 부산의 지역지리주제를 개발하고 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다. 둘째, 6차시에 걸쳐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수업 후의 설문조사와 소감문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의 효과와 앞으로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넷째, 추후의 GIS 활용 지역지리 학습을 위한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S 활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는 매우 높았으며, 적극적으로 교수 학습과정에 참여하였다. 둘째, GIS 및 지도와 관련된 학습내용 수준이 향상되었다. 셋째, 부산의 지역성 탐구에 도움이 되었으며, 지역성 탐구에 대한 흥미도 역시 증가하였다. 넷째, 수업형태로는 협력학습을 선호하였다. 마지막으로 GIS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는데, 이는 하드웨어의 문제와 학습 부담에 의해 기인한 것이다.

  • PDF

평생학습도시의 지역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구리시의 지리 탐방대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Learning Program in the lifelong Learning City - Based on an Empirical Case Study of the Geography Exploration Group in Guri, Gyeonggi Province -)

  • 서정훈;주경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72-589
    • /
    • 2010
  •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국내의 많은 도시들이 평생학습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지리 지식을 중심으로 지역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것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밝히려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지역학습 프로그램의 구성은 학습자, 교수자, 지역의 특징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상황학습론적 접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동아리 구성과 같은 지역인적자원의 적극적인 양성과 이들의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봉사학습(SERVICE-LEARNING)이 교수법으로 효과적이다. 둘째, 연구자가 직접 구성하고 참여한 지역학습 프로그램인 '지리 탐방대'를 통한 현장중심 체험학습의 결과, 대부분 참가자들이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일어났다. 셋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지리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지리교사를 비롯하여 지역전문가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었다. 현실적으로 지역을 종합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역전문가들의 역할이 긴요하였다. 이후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생활에 적용이 이어진다면 지리교육은 평생학습사회에서 안정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지역화시대의 지역지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연구 - 화천지역을 사례로 - (The Study of Plans to Construct the Content of Regional Geography for Regionalization - Centered on Hwacheon Area as a Studying Case -)

  • 최홍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95-40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지역화의 조류도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지리교육에 반영하고자 국가 교육과정의 운영과 편성의 자율화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국가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지리교육의 지역화에 따른 새로운 지리교육 학습내용 선정과 구성 및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사례지역으로서 화천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지리적인 사실을 단순히 학습내용으로 구성하기보다는 지리교육적인 관점에서 학령수준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여 현재 초 중학교에서 제작 운영하고 있는 지역교과서의 차원에서 지역학습을 해야만 한다. 학습 내용도 일상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되어야만 하겠다. 아울러 학습 지역의 규모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도 고려되어야 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 범위내의 일상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지역을 학습 내용으로 하였기에 야외조사 학습방법을 중심으로 하였다.

  • PDF

중등학교 지역학습의 구성원리와 내용 선정 (The Construction Principle and the Content Selection of the Regional Learning in the Secondary School)

  • 이희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52-766
    • /
    • 2008
  • 지리학습의 기본단위인 지역에 대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은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지리적 기본개념까지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지역학습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학습을 위한 자료개발의 선행단계로서 지역학습의 구성원리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지역학습의 내용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즉 인간-환경, 입지, 지역, 상호작용, 변화, 스케일에 의거하여 지역학습의 구성원리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역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지리학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자연환경과 주민생활, 자원과 산업활동. 생활공간의 형성과 변화, 변화하는 세계와 지역 등 5개 대주제를 선정한 후, 대주제별로 학습자의 필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지리학의 연구성과와 학습자의 일상생활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주제와 소주제를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들 주제들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최상의 지역학습이 되도록 교수자 또는 학습자가 주제 계층의 한 부분 또는 일부분들을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 PDF

학습스타일과 지리교과 내용특성 (A Study on Learning Style and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2-152
    • /
    • 2004
  • The critical point in this research is that the research on the phenomenon "teaching geography" should include how various elements consisting of the phenomenon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diverse angles, not deal with only teaching method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components of teaching geography :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learner; and scaffolding.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were analyzed. Geographical knowledg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way of perception. And then the selected geographic contents for this study were done didactic transposition into materials for geography education. These can be presented in a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 from a context of geography education. Secondly, four categories of learning styles were divided by the way learners per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 Diverger; Assimilator; Converger; Accommodator. Each was connected with learner′s preferred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The correlation between divergers and typical CulturalㆍHistorical Geography and Environmental Geography was high. So was between assimilators and typical Physical Geography and UrbanㆍEconomic Geography. Learners of Converger style tend to prefer GIS and Cartography. Finally,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ccommodators.

What Does the Learning Region Mean for Economic Geography\ulcorner

  • Hassink, Robert
    • 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6
    • /
    • 1999
  • Recently the concept of learning has become very fashionable among academics from different economic disciplines. Economic geographers and spatial planners joined this fashion by increasingly speaking about the 'learning region'. This paper makes clear that this learning region'. This paper makes clear that this learning region concept has been launched from three angles; as spatial outcome of grand societal changes, as spatial concentration of entrepreneurial learning for innovation and as regional development concept. Despite the deficits and flaws such a young concept is faced with, such as vague definitions,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and an insufficiently clear separation from existing concepts, the learning region concept might provide economic geography with more insight in agglomeration effects, stronger links with policy-making and more knowledge on path dependency and thus on unravelling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bad' industrial agglomerations.

  • PDF

WebGIS을 이용한 고등학교 지리학습교재 개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using WebGIS in the High School Geography Study)

  • 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81-290
    • /
    • 2006
  • 지도는 지표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점 선 면의 그래픽 언어를 사용한다. 지도는 지리교육에서 지역학습과 도해력 향상을 위한 학습도구로서 이용되어 왔다. GIS와 인터넷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지도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본 논문은 WebGIS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적인 지리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기반 학습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학습도구로서, 충청북도 행정구역도, 1:25,000 조치원 수치지형도, 통계 자료 및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도와 주제도를 위한 WebGIS가 구축되었다. WebGIS의 기능은 지역에 대한 정보 수집과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공간현상의 지역적 차이를 파악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학습은 학습자중심 학습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청사진으로서 교육을 위한 한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High School's National Travel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 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7-28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여행이라는 주제와 형식으로 교실 수업에서 지리교과의 유용성, 흥미,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양국의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을 토대로 여행지리와 관광지리 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비교, 분석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 여행지리 교과서의 편찬과 성공적인 교실 수업 실행에 구체적인 시사점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