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history of Chung dynas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청국장의 역사 (The History of Chongkukjang)

  • 정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47-655
    • /
    • 2018
  • 혹자는 청국장(淸麴醬)은 전시(戰時)에 단기숙성으로 단시일 내에 제조하여 먹을 수 있게 만든 장이라하여 전국장(戰國醬), 또는 청나라에서 배워온 것이라 하여 청국장(淸國醬)이라고도 하며 전시장(煎?醬)이라고도 하였다 하고, 청국장이 우리나라 문헌에 처음 보인 것은 1760년(영조 36) 유중임(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부터라고들 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청국장과 메주를 뜻하는 '시(?)'가 삼국사기에 나오므로, 청국장은 삼국시대부터라고도 한다. 이처럼 청국장의 역사는 청나라(1600년대)부터인지 고구려, 신라시대부터인지 분명하게 전해지지 않아, 혼란스럽고 그 틈을 타서 과학적이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이 나돌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국장의 역사를 과학적으로 재조명하였다. 문헌기록을 통해 본 결과 고구려, 신라시대에 이미 청국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젼국, 쳔국, ?국으로 불리었으며, 한자로 '시(?)'로 썼고, 어느 시기부터 청국장도 된장, 간장, 고추장과 같이 장(醬)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쓰다가 지금은 청국장(淸麴醬)으로 통일되었다. 시(?)의 의미도 1500년대까지 청국장을 의미했고, 1600년대 이후에는 청국장이 한자로 장(醬)이 붙은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굳어지니까 시(?)의 의미도 메주, 된장을 국한지어 의미하게 되어 가는 경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전쟁과 관련이 있거나 청나라와 관련이 있는 음식이 전혀 아니며, 청국장은 문헌 기록상으로 보아 2200여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으나, 기록 이전에 사물이 먼저 있었을 것이므로, 이보다 훨씬 이전인 수 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시대 반가의 식사.취사생활과 공간사용 (The Eating and Cooking Spaces of Yang-ban Houses in the Cho-sun Dynasty)

  • 박선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39-51
    • /
    • 1992
  • Eating was done on a respective one-man dining table, which reflect the esteem for the individual. The family eating place was generally An-bang of the house, The eating space of Yang-ban housing with its hierarchical, spatial method of tabling and eating around the head of the family served as a synchronically meaningful space which wa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patriarchy beyond the mere funtioning place of eating. That meaning seems to reveal itself more conspicuously when we consider that the eating place is An-bang, the center of the main house. The basic space for cooking was Bu-oak (Chung-ji). Thre was no water-supply system or drainage in the kitchen, so all the water needed for cooking was drawn from outdoor well with a bucket. The traditional eating habits, the entertainment for the bustling guests, and the frequent sacrificial rites required many store rooms for the subasidiary food and wide space for putting food into order.

  • PDF

간도의 우리문화와 중국의 왜곡에 관한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Indigenous Culture of Gando and Countermeasure against China's Distorting Action)

  • 신용우;오원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25-44
    • /
    • 2014
  • 1909년 우리나라가 외교권을 잃은 상황에서 맺어진 일본과 중국의 간도 협약에 의해 간도가 불법으로 중국 영토에 편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렇다 할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인 사실이나 간도에 산재해 있는 여러 가지 문화적인 측면에서 보면 간도가 우리 영토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중국은 동북공정을 비롯한 영토공정을 앞세워 간도가 우리 영토라는 사실을 왜곡하여 자신들의 영토로 만들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이미 의미가 없는 조약에 대해 왈가불가하는 것보다는 역사와 문화를 왜곡해서 자신들의 영토로 만들려는 속셈이다. 그런 중국의 속셈을 아는 이상 우리는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간도에 산재한 문화가 과연 누구의 문화인가 하는 근원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주권 역시 영토에 관한 주권을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영토의 진짜 주인은 그 영토에 존재하는 문화를 향유한 민족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간도에 있는 문화의 주인은, 고조선 이래 형성되어 현재까지 맥을 이어온 북방문화권의 주인인 우리 민족이라는 것을 밝힌다. 고대는 물론 근대의 봉금지역해제 이후 간도에 문화를 정착한 것이 바로 우리 민족이기 때문이다. 또한 간도 문화의 주인이 우리라는 것을 알기에 그 문화에 대해 왜곡을 일삼는 중국의 왜곡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지나간 역사는 조작될 수 있지만 인간의 내면에 내재하면서 성숙하고, 밖으로 표출되어 형성된 문화는 왜곡할 수 없다. 아울러 중국이 자신들의 역사라고 하는 청나라 역사가 과연 중국의 역사인가를 재검토할 정책적 제안을 한다.

한글 종가 조리서로 추측되는 「봉접요람」의 의미와 내용 (Significance and Content of 「Bongjeopyoram」 Based on the Cookbook of Jongga in Hangeul)

  • 한복려;정혜경;정라나;이소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8-51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foods recorded in "Bongjeopyoram", a cookbook, of which the date of production and author are unknown. This was described in an old document belonging to the Hansan Lee family clan from Chungcheongnam-do and revealed its content and significance in the food culture history of Korea to academia for the first time, A close examination of "Bongjeopyoram" showed that, as with other cookbooks from the Joseon Dynasty, it started with methods of making alcoholic beverages. This was followed by recipes for different types of food in the following order: rice cakes and confectioneries, jeol-sik (seasonal foods), daily meals, foods made for jesa (ancestral rites) or a feast, food for weddings, and food for sijeol-jesa (seasonal ancestral rites). The book contained a total of 18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11 types of rice cakes and confectioneries, 20 types of daily meals, 28 types of jeol-sik and food for sijeol-jesa, 12 types of food for jesa and feasts, and 37 types of food for weddings, for a total of 126 types of food and beverages. "Bongjeopyoram" was an ancient cookbook with detailed records on how to carry out jesa, which was an important event hosted by jonggas, or the head family of a family clan, and how to receive and serve guests in the Joseon period. This book is expected to play a valuable role as a guidance with significance as a cookbook of a jongga from the Joseon Dynasty, a time when bongjesajeopbingaek (hosting jesa for one's ancestors and serving one's guest) was considered important.

韓國産(한국산) 綠茶(녹다)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Korean Green Tea)

  • 유춘희;정재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3호
    • /
    • pp.109-125
    • /
    • 1972
  • According to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 Silla, Koguryo and Paeckje) tea was first brought into Korea by Kim Tae-ryeum, a diplomat, in 828 A.D. during the reign of king Hung-dot of Silla, and planted on the hill of Mt. Chi-ri. Afterwards, the tea trees were transplanted and cultivated by Buddists in many Buddist temples in southern provinces during the Silla and Koryo dynasties. People took much delight in drinking green tea, and specially the kings, buddist monks and nobilities of Silla and Koryo enjoyed drinking green tea. And eventually, the green tea became an indispensable part in all important ceremonies during the Koryo dynasty. After the Yi dynasty came into being, the dualistic philosophy of China was introduced and respected while buddist temples declined as a result of strong oppression by the ruling class. While temples were declined, the practice of drinking green tea was also declined. Nowadays we find many tea plants grow wild, which are seemed to be planted around buddist temples during the Koryo dynasty. Today, Korean people do not drink home made green tea. Instead, they like to take coffee, black tea and other tea product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Aa a result, Korea had to pay $ 520 thousand in 1969 to import foreign made tea and coffee. The natural conditions of southern provinces of Korea are very suitable in cultivating tea plants. If we develope the skill in producing good quality tea in Korea, we would be able to save the foreign exchanges that are being spent for importing foreign made tea products, and at the same time, we would be able to export our green tea to overseas. The quality of Korean green tea is as good as that of Japanese green tea. Green tea contains vitamin C while coffee and black tea do not contain it.

  • PDF

조선(朝鮮) 산학자(算學者) 홍정하(洪正夏)의 계보(系譜) (Chosun Mathematician Hong Jung Ha's Genealogy)

  • 김창일;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0
    • /
    • 2010
  • 조선의 가장 위대한 산학자 홍정하(洪正夏)의 수학적 계보와 가계를 조사하여 중인 산원들의 관계를 조사한다. 중인으로 산서를 저술한 산학자 경선징(慶善徵), 이상혁(李尙爀)과 홍정하(洪正夏)는 결혼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들의 수학적 업적이 연결될 수 있었음을 보이고, 또 홍정하(洪正夏)의 가계와 인척으로 연결된 중인 산원들의 가계를 밝혀내어 홍정하(洪正夏)의 업적이 중인 산원들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을 보인다.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of the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 Area)

  • 이용삼;김상혁;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55-374
    • /
    • 2009
  •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선의 서운관에서는 1434년(세종 16)부터 국가 표준시계로 자격루를 운영하였고, 1438년에는 옥루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자동 시보시스템은 당시 시각제도에 따라 시보장치와 타종장치로 운영되었다. 이보다 앞서 제작한 중국의 수운의상대(1092)에서도 당시의 시각제도에 따른 시보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12시 100각법에 따른 동일한 시각제도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시보시스템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시보장치와 타종장치의 제작기술은 중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자격루와 옥루라는 독창적인 시보시스템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시계 기술로 이어졌다. 시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당시 시각제도에 대한 사례와 새롭게 복원할 천문유물의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남북한 학자의 국어 계통 연구의 제문제 (On the Problems of North and South Korean Scholars′ Studies on the Genealogy of Korean Language)

  • 정광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169-183
    • /
    • 2004
  • So far I have reviewed the two controversial opinions of the North Korean and the South Korean linguists concerning the position of the Koguryeo language in the formation of Korean. Many South Korean scholars in favor of the Altaic Language Family Hypothesis argue that the ancient Korean language consisted of two different languages, one of which was the northern dialect including four languages such as the Koguryeo language (the largest one within the area), the Puyo language, the Okche language, the Yemaek language, and the other was the southern dialect, the largest language of which is the Shinla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s of North Korea claim that in Koguryeo and Shinla the same language was spoken and that modern Korean is formed based on the Koguryeo language. Before evaluating which of these claims is correct I would like to turn to the scarcity of the linguistic data of the Koguryeo language. Compared with the pragmatic methodology of the South Korean linguists in the studies on the Altaic affinity of Korean, the North Korean scholars need to present still more evidences in order to support their argument. In Chung (1993) I argued that studies on the genealogy of the Korean language or history had to be performed regardless of tile political purpose or for the purposes. We should admit the historical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tribal states i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the ancient Korean stage, those of which had been emerged to become three kingdoms. Those kingdoms were unified by Shinla, which was connected to Koryeo Dynasty. We cannot disregard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developed hand in hand with these historical process with those steps related with each age. The first thing we should do right now is to collect the remaining data of the Koguryeo language recorded in the old written materials, which have been found in North Korea as many as possible. Also, 1 hope that the linguists of South Korea achieve more academic success i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Paekjae language, the Shinla language, and other adjacent Altaic languages.

  • PDF

조선시대 『노자(老子)』 주석서에서 '인의(仁義)'와 '사(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241-262
    • /
    • 2011
  • 조선시대 "노자" 주석의 특징은 '유학자의 노자 읽기(이유석노(以儒釋老))'로 대표된다. 그러나 조선사상사 안에서 "노자" 주석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는 좀 더 미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 대립되는 "노자"의 '인(仁)을 끊고 의(義)를 버린다(절인기의(絶仁棄義))', '성인은 어질지 않다(성인불인(聖人不仁))' 등의 사유가 5종의 "노자" 주석서에서 어떻게 해석되는가를 살피고, 나아가 시대에 따른 해석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인의(仁義)'는 당대 사회의 윤리적 표지이며, 모두가 따라야 할 공동체의 선이었다. 이이 박세당 홍석주가 "노자" 텍스트 상의 '인의(仁義)' 부정에 대해 유자(儒者)의 입장에서 비판하거나, '인의(仁義)'를 적극 변호한다면, 서명응과 이충익에 이르면 '인의(仁義)'는 '공공선'의 위상에서 벗어나, 판단 주체의 도덕적 자각이 요구되는 도덕률로 언급된다. 또한 율곡과 홍석주가 '천리(天理)의 공(公)'으로서의 '인의(仁義)'의 추구가 '무사(無私)'라고 본다면, 이충익에게서 '무사(無私)'란 개체의 이익을 위해 인의(仁義)를 따르는 것을 반성해야 되는 상태이다. 이 때 반성의 주체는 사회공동체가 아닌 개인이다. 요컨대 조선시대 "노자(老子)" 주석사 안에서 '도덕률'에 대한 인식변화는, 천리(天理)의 당위성이 강조되는 중세시기에서 근대로 넘어가면서, '공동체의 선(善)'이 해체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이 안에서 개인은 도덕률의 순종자에서 도덕률의 판단 주체로 변모하였다. 서명응 이충익의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는 18세기 정치 이데올로기화 된 정주학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과정이 투영되어 있다.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模塼石塔) 설(說)'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Inquiry about 'The Theory of Brick-Copy' of the Stone Pagoda at Bunhuangsa Temple)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2011
  • The Bunhuangsa stone pagoda, constructed in AD. 634, National Treasure no. 30, has been named as 'brick-copied pagoda'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by scholars. It is said that the Chinese brick pagoda was its precedent model, however the Bunhuangsa Pagoda is the oldest of all the Chinese-style brick pagodas except one, the Sungaksa Pagoda. The Chinese pagoda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due to its complex detail of wood vestige, as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e form without ornament. Domestic brick pagodas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as well, because all the domestic brick pagodas are younger than the Bunhuangsa Pagoda. Therefore, the terminology 'brick-copied pagoda' is a fallacy; it is rather that later brick pagoda copied the precedent the Bunhuangsa stone pagoda.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y a piled-up pagoda of thick or thin, big or small slates of stone, facing only one smooth side and therefore needing nothing to relate to brick. The originality of the pagoda is more related to simple piled-up Indian stone stupa rather than Chinese brick pagoda. The roof form of its gradually stepped projection comes from the harmika of the summit of Indian stupa. Contrary to general history, old Silla Dynasty imported Buddhism directly from India by sea. From written national history and by temple foundation history, the Indian Buddhism evangelist possibly made influence to the erecting of temple and pagoda. The original wrong terminology has made a harmful effect gradually to the naming of mass-styled stone pagoda of only carved stepped-roof form after brick-copied pagoda. The false term 'brick-copied pagoda' should be discarded, which comes with superficial observation based on toadyism to China and colonialism to Japan. Instead of the fallacious term, this paper suggests multi-storied 'piled-up pagoda with slate s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