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harvest period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28초

시금치 포장 및 보관온도가 품질보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ropylene Film Packag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 최동진;이숙희;윤재탁;심용구;오석귀;전하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7-251
    • /
    • 2007
  • 신선 엽채류인 시금치의 수확 후 포장, 저장유통온도별 품질보존 및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중량의 변화에서 포장 후 저장 시는 중량감소가 거의 없었으나, 무포장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율이 현저하였다. 비타민 C함량은 저장 초기에 감소가 컸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감소가 적었고, 비닐포장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시금치에서 Hunter's value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b값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시금치 저장 중 외관 신선도에서 polypropylene 비닐포장 후 저온$(1{\sim}3^{\circ}C)$ 저장은 최고 34일, 상온$(10{\sim}15^{\circ}C)$ 저장은 8일까지 상품성이 유지되었으나, 무포장 상온보관은 3일 밖에 유지되지 않았다.

포장(圍場)과 수확후(收穫後)에 채소부패병(菜置腐敗病)을 일으키는 병원세균(病原細菌)의 동정(同定) -3. 무우의 세균성(細菌性) 부패병(腐敗病) (Identification of Bacteria Causing Rot Diseases of Vegetables in Fields and Post-harvest Period in Korea -3. Bacterial Rot Diseases of Radish)

  • 최재을;한광섭;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8-142
    • /
    • 1988
  • 무우 재배(栽培)에 중대(重大)한 장해(障害)로 되어 있는 무우 부패병(鷹敗病)의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전국(全國)의 주요시장(主要市場) 및 생산지(生産地)로부터 수집(蒐集)한 리병질(罹病秩) 58점(點)으로부터 분리(分離)한 34균(菌株)의 병원세균(病原細菌)에 대(對)한 세균학적(細菌學的) 성질(性質)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와 Pes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가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판명(判明)되었다. 이 중에서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가 무우 부패(腐敗)의 주(主) 원인(原因)으로 생각되며, P.marginalis pv. marginalis는 무우 부패병(腐敗病)의 병원세균(病原細菌)으로는 국내(國內) 최초(最初)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었다.

  • PDF

토양수분 조건에 따른 블랙쵸크베리 'Nero' 과실의 품질 및 세포 발달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nd Cell Enlargement of 'Nero' Black Chokeberry Fruits According to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 원정연;신현석;오영재;한현대;김금선;오세원;김대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5
    • /
    • 2017
  • 토양수분의 변화가 블랙쵸크베리 'Nero'의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품질 블랙쵸크베리 재배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감소로 인한 건조스트레스는 수확기 동안 블랙쵸크베리의 과실의 과중, 당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품질을 저하시켰다. 또한 건조기간이 길수록 이후 토양수분 공급시, 과실 표피 세포 크기는 감소하는 반면 아표피, 과육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열과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관수시설을 통한 일정 주기의 관수가 블랙쵸크베리 과실 생산량 및 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름 질소 시비량에 따른 '부유' 감나무의 생장과 노화 중 잎의 양분 변화 (Tree Growth and Nutritional Changes in Senescing Leaves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Different Nitrogen Rates during Summer)

  • 최성태;박두상;안광환;김성철;최태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06-713
    • /
    • 2013
  • 본 연구는 여름 N 시비가 4년생 용기재배 유목의 과실특성, 수확 후 잎의 양분 변화, 저장양분의 축적 및 이듬해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비는 요소를 사용하여 N을 주당 0g(무시비구), 6월 36g 또는 6-7월 72g씩 관주하여 처리하였다. 11월 3일에 모든 과실을 수확하였는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시비구의 과실이 큰 경향이었다. 무시비구의 과실은 N 농도가 낮았으며, 과육이 무르고 색도와 당도는 높아 성숙이 빨랐음을 나타내었다. 잎의 SPAD 값은 11월 3일에 무시비구에서 19.2로 가장 낮고 72g 시비구는 54.9로 가장 높았으며, 11월 14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직선적으로 감소하여 이 기간에 잎의 노화속도가 빨랐음을 알 수 있었다. 비엽중은 무시비구에서 가장 낮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수확 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11월 3일에 채취한 잎의 N은 무시비구에서 0.87%였으나 36g 시비구는 1.18%, 72g 시비구는 1.52% 증가하여 시비량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잎의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농도는 무시비구보다 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수확 후 11일 동안 잎의 단위면적당 N, P, K,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량은 무시비구에서 가장 적었다. 그러나 잎의 Ca와 Mg, 단백질 함량은 일관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1월 14일에 채취한 휴면가지의 N농도는 무시비구보다 시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고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단백질 농도도 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량이 많을수록 처리 당년의 주간단면적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처리 이듬해 1년생 가지당 착뢰수는 무시비구에 비해 시비구에서 5배 이상 많았으며, 72g 시비구의 총신초장은 무시비구의 1.9배에 달하였으나 시비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여름 N 시비량은 과실의 성숙, 잎의 양분 이동 및 저장양분 축적 변화 등 고려하여 조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체벼사일리지 급여가 Holstein 착유우의 산유성적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he Whole Crop Rice Silage on the Milking Performance of Holstein and Profitability)

  • 김지융;윤병구;김병완;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3-248
    • /
    • 2022
  • 홀스타인 착유우에 수입건초 대신 WCRS로 조사료 일부를 대체 급여하였을 때 산유성적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구(C)는 농가 관행 급여방법으로 자가 혼합건초(13kg)와 농후사료(2.6~9.6kg), 오차드그라스 및 버뮤다그라스 건초(1.8kg)를 급여 하였고, 처리구(T)는 자가 혼합건초(9.6kg)와 농후사료(2.6~9.6kg) 및 WCRS (2.2kg)를 급여하였다. 건물수량(DMI)을 기준으로 C에 대한 T의 조사료 대체비율은 20% 였다. CP함량은 오차드그라스 및 버뮤다그라스 건초가 각각 11.3 및 8.4%였고, WCRS는 4.6%로, WCRS에서 낮았다. 이는 벼를 수확적기보다 약 30일정도 늦게 수확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 DMI는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에서 각각 T가 C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유량은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 모두 처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실험 기간 중 평균유량도 C 및 T가 각각 26.9 및 26.3kg으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유지율, 유단백 및 총고형물에서 각 비유기 공히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두당 조수입은 C가 21,141원, T가 21,915원으로 T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사비는 T가 22.9%로 C의 27.8%보다 낮았다. 이상에서 수입산 건초 대신 WCRS로 20% 대체 급여하여도 산유량 및 유성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수익은 높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Melatonin Protects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from Oxidative Stress and Cell Death

  • Tan, Shaun S.;Han, Xiaolian;Sivakumaran, Priyadharshini;Lim, Shiang Y.;Morrison, Wayne 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37-241
    • /
    • 2016
  • Background Adipose-derived stem cells (ASCs) have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based on their therapeutic potential to repair and regenerate diseased and damaged tissue. They are commonly subject to oxidative stress during harvest and transplantation, which has detrimental effects on their subsequent viability. By functioning as an antioxidant against free radicals, melatonin may exert cytoprotective effects on ASCs. Methods We cultured human ASCs in the presence of varying dosages of hydrogen peroxide and/or melatonin for a period of 3 hours.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determined with propidium iodide and Hoechst 33342 staining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Results Hydrogen peroxide (1-2.5 mM) treatment resulted in an incremental increase in cell death. 2 mM hydrogen peroxide was thereafter selected as the dose for co-treatment with melatonin. Melatonin alone had no adverse effects on ASCs. Co-treatment of ASCs with melatonin in the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protected ASCs from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fforded maximal protection at $100{\mu}M$ (n=4,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0.001). Melatonin co-treated ASCs displayed significantly fewer apoptotic cells, as demonstrated by condensed and fragmented nuclei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Conclusions Melatonin possesses cyto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uman ASCs and might be a useful adjunct in fat grafting and cell-assisted lipotransfer.

Influence of Feeding Enzymatically Hydrolyzed Yeast Cell Wall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ve Function of Feedlot Cattle during Periods of Elevated Ambient Temperature

  • Salinas-Chavira, J.;Arzola, C.;Gonzalez-Vizcarra, V.;Manriquez-Nunez, O.M.;Montano-Gomez, M.F.;Navarrete-Reyes, J.D.;Raymundo, C.;Zinn,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9호
    • /
    • pp.1288-1295
    • /
    • 2015
  • In experiment 1, eighty crossbred steers ($239{\pm}15kg$) were used in a 229-d experiment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creasing levels of enzymatically hydrolyzed yeast (EHY) cell wall 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feedlot cattle during periods of elevated ambient temperature. Treatments consisted of steam-flaked corn-based diets supplemented to provide 0, 1, 2, or 3 g EHY/hd/d. There were no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initial 139-d period. However, from d 139 to harvest, when 24-h temperature humidity index averaged 80, EHY increased dry matter intake (DMI) (linear effect, p<0.01) and average daily gain (ADG) (linear effect, p = 0.01).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p>0.10) on carcass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 2, four Holstein steers ($292{\pm}5kg$) with cannulas in the rumen and proximal duodenum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xperiment to evaluate treatments effects on characteristics of ruminal and total tract digestion in steers.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p>0.10) on ruminal pH, total volatile fatty acid, molar proportions of acetate, butyrate, or estimated methane production. Supplemental EHY decreased ruminal molar proportion of acetate (p = 0.08), increased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p = 0.09), and decreased acetate:propionate molar ratio (p = 0.07) and estimated ruminal methane production (p = 0.09).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al EHY may enhance DMI and ADG of feedlot steers during periods of high ambient temperature. Supplemental EHY may also enhance ruminal fiber digestion and decrease ruminal acetate:propionate molar ratios in feedlot steers fed steam-flaked corn-based finishing diets.

딸기 '설향'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자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ing of Nutrient Starvation during Transplant Production on the Growth of Runner Plants and Yield of Strawberry 'Seolhyang')

  • 김대영;채원병;곽정호;박수형;정승룡;최종명;윤무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1-426
    • /
    • 2013
  •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양분 공급 중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검토하였다.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양분을 EC $0.8dS{\cdot}m^{-1}$ 수준으로 공급하다가 7월 25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약 10일 간격으로 양분 공급을 각각 중단하고 이후 수분만 공급하였다. 그 결과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7월 25일로 빠른 경우에 엽면적등 지상부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근중은 증가하여 T/R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화아 분화가 촉진되어 정식 후의 출뢰, 개화 및 수확기가 앞당겨졌으나 8월 중순 이후까지 양분 공급이 지속될 경우에 수확 시기가 2주 이상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7월 25일에 양분 공급을 중단한 처리구에서 1월 하순 및 2월 하순까지의 1주당 누적 상품과 수량은 각각 169 및 266g으로 나타났으며 9월 5일 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71 및 12% 수준의 유의한 수량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육묘 후기 자묘의 적절한 양분 공급 중단으로 체내 질소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딸기의 화아 분화를 촉진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딸기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동절기 수량 및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패류의 가공적성 1. 바지락의 가공적성 (SUITABILITY OF SHELLFISHES FOR PROCESSING 1. Suitability of Baby Clam for Processing)

  • 이응호;변재형;김수현;정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30
    • /
    • 1975
  • 사용만 대포리산 바지락의 가공적성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바지락의 각내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무게 또는 각내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부피의 측정값으로써 비만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2. 서식지의 입도조성과 비만도와의 관계를 보면 자갈이 많은 곳이 비만도가 약간 떨어졌다. 3. 화학성분의 년중변화를 보면 수분과 지방은 대체로 역상관계가 있고, 단백질은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8$월에 한때 약간 감소하지만, $9\~10$월에 증가하고, 11월에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3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글리코겐은 3월이 $6.3\~6.8\%$로서 최고값을 나타내고, 이 때부터 계속 감소하여 10월에는 $0.1\~0.2\%$로서 최저값을 나타내고 11월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3월에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pH와 회분은 년중 큰 변화가 없었다. 4. 비만도 및 화학성분 분석 결과로써 가공적성을 판정한다면 $2\~6$월 및 $9\~10$월이 가공원료 채취 적기라고 볼 수 있다. 5. 토사를 배출시킨 바지락을 원료로써 보일드 통조림을 제조할 때, 참치 2호 C-enamel 관을 사용할 경우 주입액은 $0.15\%$ 구연산을 첨가한 $2\%$ 식염수 또는 $0.5\%$ $Na_2EDTA$를 첨가한 $2\%$ 식염수를 사용하고 , $112^{\circ}C$에서 60분간 살균하면 품질도 우수하고, 저장중 품질이 안전하다고 결론을 얻었다.

  • PDF

답전윤환 포장 내 옥수수 및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발생 특성 (Characterization of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Occurrence Against Maize and Sorghum Varietie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 김민준;윤성탁;이희권;조형찬;김순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29-336
    • /
    • 2016
  • 답전윤환 옥수수 8품종 및 수수 7품종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 발생 및 수확 특성을 조사하였다. 매주 이뤄진 성충 트랩 조사에서 조명나방 밀도는 정식 2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6월 중순에 최성기에 도달 후 감소하다 9월 초 소폭 증가 후 감소하였다.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수와 침입공수를 매주 옥수수 미백2호와 대학찰 그리고 수수 남풍찰과 동안메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찰과 미백2호에서 피해주가 각 20주당 19주와 18주였고, 주당 침입공수도 6월말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수확기인 7월말에 대학찰은 주당 평균 1.8개, 미백2호는 1.4개로 나타났다. 수확기에 옥수수 8품종에 대한 피해율과 침입공수를 조사한 결과, 대학찰 94%, 미백2호 92%, 일미찰 71%, 얼룩찰1호 64%, 찰옥4호 54%, 미흑찰 52%, 흑점2호 45%이었다. 주당 침입공수는 일미찰이 1.21개였고 나머지 품종들에서는 1개 미만이었다. 또한 옥수수 각 품종별로 이삭 10개씩 3반복으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일미찰 50%, 흑진주찰 40%, 대학찰 37%, 미흑찰과 흑점2호 13%, 얼룩찰 7% 그리고 미백2호 3% 등이었다. 수수 주요 재배품종들인 남풍찰 및 동안메는 정식 후 2개월까지 20주 평균 4주 미만으로 피해를 입다가 8월 초에 피해가 급증하여 평균 피해주는 남풍찰이 13주, 동안메는 9.2주였고 주 당 침입공수도 8월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남풍찰은 주당 평균 1.06개, 동안메는 주당 평균 0.46개였다. 수확기 수수 품종별 조명나방에 의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DS-202 95%, 목탁수수 76%, 소담찰 75%, 남풍찰 67%, 앉은뱅이수수 57%, 동안메 46% 그리고 황금찰 34%로 7품종 모두 조명나방에 의해 높은 피해를 입었다. 침입공수 또한 피해율에 비례해서 DS-202(1.7개), 목탁수수(1.4개), 소담찰(1.3개), 남풍찰(1.1개), 앉은뱅이수수(1개), 동안메(0.5개) 그리고 황금찰(0.4개)로 관찰되었다. 한편,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포장에서 조명나방 피해와 수확 특성은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의 관리대책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