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igital library

검색결과 1,227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도서관 연구 동향(2) (Digital Library Research : Major Issues and Trends)

  • 안현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12-42
    • /
    • 2000
  • 대부분의 선진국 및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디지털도서관 연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많은 디지털도서관 연구 프로젝트들이 정부 기관과 국가 및 국제 기관들에 의해 재정적인 지원을 받고있는 반면, 몇몇 프로젝트는 특정 대학과 연구기관 그리고 도서관들에 의해 단독 형태 혹은 협력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ELINOR 프로젝트, 영국 eLib(Electronic Li-braries) 프로그램의 첫 번째 두 단계, 미국 DLI(Digital Library Initiative)의 첫 번째 단계 등과 같은 몇몇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는 현재 종료되었지만 몇몇 다른 프로젝트들은 전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이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연구자들이 제시한 디지털도서관의정의 및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이거나 막 종료된 몇몇 주요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16개의 주요 항목으로 구분하여 리뷰하였다. 본 리뷰를 위한 문헌은 LISA CD-ROM 데이터베이스의 탐색과 DIALOG의 문헌정보학 데이터베이스 탐색을 통해 확보하였으며 탐색 결과는 D-Lib Magazine과 Ariadne의 다양한 호들의 탐색과 디지털도서관 연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관들의 웹사이트의 탐색으로 보완되었다. 짧은 기간동안의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는 사실을 본 리뷰를 통해 알게되었다. 그러나 많은 이슈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고는 디지털도서관을 연구 단계로부터 실제 환경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가까운 장래에 해결해야 할 연구 이슈들을 언급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 PDF

디지털도서관 연구 동향(1) (Digital Library Research : Major Issues and Trends)

  • 안현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4호
    • /
    • pp.39-60
    • /
    • 1999
  • 대부분의 선진국 및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디지털도서관 연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많은 디지털도서관 연구 프로젝트들이 정부 기관과 국가 및 국제 기관들에 의해 재정적인 지원을 받고있는 반면, 몇몇 프로젝트는 특정 대학과 연구기관 그리고 도서관들에 의해 단독 형태 혹은 협력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ELINOR 프로젝트, 영국 eLib(Electronic Li-braries) 프로그램의 첫 번째 두 단계, 미국 DLI(Digital Library Initiative)의 첫 번째 단계등과 같은 몇몇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는 현재 종료되었지만 몇몇 다른 프로젝트들은 전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이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연구자들이 제시한 디지털도서관의 정의 및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이거나 막 종료된 몇몇 주요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16개의 주요 항목으로 구분하여 리뷰하였다. 본 리뷰를 위한 문헌은 LISA CD-ROM 데이터베이스의 탐색과 DIALOG의 문헌정보학 데이터베이스 탐색을 통해 확보하였으며 탐색 걸과는 D-Lib Magazine과 Ariadne의 다양한 호들의 탐색과 디지털도서관 연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관들의 웹사이트의 탐색으로 보완되었다. 짧은 기간동안의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는 사실을 본 리뷰를 통해 알게되었다. 그러나 많은 이슈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고는 디지털도서관을 연구 단계로부터 실제 환경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가까운 장래에 해결해야 할 연구 이슈들을 언급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 PDF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 박주범;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3-371
    • /
    • 2010
  • 도서관 불안은 문헌정보학에서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에 관한 대표적 연구로 인정 받아왔으며, 많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정보이용 과정에서 도서관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도서관 불안이 정보 활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져 왔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은 전통적 도서관의 그것과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LAS)를 개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개념과 하위영역 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DLAS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 문제, 자원, 이용지식, 보안, 언어, 기술적 문제, 과제 등 7개의 하위영역과 39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7개의 영역은 전체 디지털도서관불안의 51.165%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이용 특성 변수를 사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변인과 영향요인을 예측하였다.

어린이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사례분석 연구 - 노원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Digital Materials in Children Library - Based on Nowon Children Library -)

  • 이경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9-364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은 어린이의 개성과 창의성 개발을 중시하고 학생의 자발적인 활동과 디지털 자료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조되고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어린이도서관에서도 디지털 자료실의 이용현황과 이용자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분석함으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 운영 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2월에 개관한 노원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및 이용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효과적인 이용을 통한 운영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고 보다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의 개념과 어린이도서관 내 디지털자료실의 개념적 모델을 정립하고3장에서는 노원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디지털자료실 이용자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이용현황 및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분석을 통해 나타난 이용현황 및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어린이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결론을 맺고자 한다.

  • PDF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담론 및 쟁점의 분석과 형상화 (Analysis of discussion and dispute on the future library model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61-9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a recent dispute of the library of the 21st century in Korea and to suggest a desirable model of the future library. There are two visions of the future of library. The first is an access based library model(digital library) emphasizing the digital resources that are networked and browsable electronically. The second is an ownership-based library model(paper library) which emphasize the use of traditional print collections stored locally and physically browsable. A points of dispute between the paper library as storehouse and the digital library as gateway are an electronic informations versus printed materials, access versus ownership, information professional versus librarians. The idea that library as physical place and as cyberspace are diametrically o n.0, pposed is a fallacy and surrealistic opinion. Future library has to acquire, organize, preserve, and make accessible the collections that users want and need. In other words, future libraries need both ownership and access. Access to remote electronic resources must serve as a reasonable substitute for holdings of older material. Therefore, it is a balanced solution that the more heavily used or important materials be considered for ownership and selective information resources for access. No doubt, the traditional library and the digital library will be coexist in the 21 century.

  • PDF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배경재;박희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1-265
    • /
    • 2013
  •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환경 변화와 그 대응 연구 (A Study of the Changing Library Environment and its Preparation in Digital Age)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20
    • /
    • 1998
  • 이 논문은 현대 정보사회에서 그 기능과 역할에 부응하기 위해 디지털화하고 있는 도서관의 사회적 배경과, 이를 둘러싼 정보환경에 대해 이론적으로 그 의미를 되짚어 보기 위한 것이다. 뉴미디어의 대두, 디지털 정보처리기술의 발달, 정보기록매체의 급속한 발전, 전자출판과 같은 정보생산과 정보유통방법의 혁신은 도서관에 관련된 패러다임을 디지털 도서관 쪽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도서관의 또 하나의 기반이 인쇄자료형태로 축적된 정보자료라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디지털 도서관은 도서관의 새로운 본질이 아니라, 정보의 디지털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한 결과로서. 도서관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한 차원 높은 수단이다.

  • PDF

전자도서관의 개념 및 구축 사례 - 아주대학교 학술정보센터 운영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Library : A Case of Ajou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 박철균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6
    • /
    • 1999
  • 본고에서는 도서관의 변천과 전자도서관의 출현, 개념 정의 등을 통하여 전자도서관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자도서관을 구현한 실질적인 사례로서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학술정보 종합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개념과 서비스 내용에 대하여 이용자중심의 서비스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현황과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Digital Resources Room and ie Effect in School Librarie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1-414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은 학교도서관의 환경개선 및 정보화의 기반 구축, 정보자료 확충,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 원문정보 제공, 독서교육, 도서관 활용수업 등 다양한 정보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이 초$\cdot$중등학교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및 자기주도적 학습환경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가수준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을 제도화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활용수업을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문 사서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