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국민연금의 지분투자가 기업의 재무보고 방식에 미치는 영향 : 보수주의 회계처리를 중심으로 (National Pension Service's Ownership and Accounting Conservatism)

  • 이보미;하봉곤;황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14-323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연금의 지분투자가 기업의 보수적 회계처리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0,117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이 주요주주로서 5%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보수적 회계처리 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국민연금 주요주주 투자와 보수적 회계처리간 음(-)의 관련성은 주요주주로서 존재하는 국민연금의 투자기간을 단기(1년 미만)와 장기(3년 이상)로 구분하여 분석한 경우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영업성과,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분석능력이 뛰어나고, 최근에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으로 국민연금의 적극적 주주활동 가능성이 증가하는 등 기업에 대해 유의미한 경영권 견제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자본시장에서 국민연금의 모니터링 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여 대리인 비용이 감소하고 기업의 보수적 회계처리에 대한 투자자들의 요구가 줄어들었기에 본 연구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국민연금의 지분율과 기업 배당성향 간의 관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Pension Service's Shareholding and Dividend Propensity: Focus on the Changes since the Stewardship Code.)

  • 원상희;전봉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329-342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vestment by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hich has a high share as a single fund, on the dividend payout ratio.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secured a share through DART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disclosure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e also used a fixed-effects model and 2SLS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of conflicting interests among shareholders concerning the company's dividend payment policy. Second, in the range of 3% to 4.9%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shareholding, an additional increase in the holding ratio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dividend rate. Thir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ewardship Code,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ownership of the fund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company's dividend payout ratio, regardless of the share ratio range.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 ownership and the dividend payout ratio showed a clear positive relationship when free cash flow was high along investment opportunities were low.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This study included less than 5% of the share in the analysis. Second, We used the recent changes in fund shareholder activities. Third, We tested an instrumental variabl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share and the dividend ratio.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 수급 대상자들의 은퇴 후 생활만족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 Comparison of Public Pension versus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9-211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between public pension and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fifth year data of 2013 from the raw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llect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done with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ver. 22.0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nsion recipients. Results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enditures and health care costs between public pension and special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Th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for public pension recipients were the level of spending, whether there were limitations in daily life and social activity, whether recipients had financial assets and health care costs while for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they were education level, level of spending and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 A health policy that maximizes life satisfaction and takes into account the type of pencion needs to be considered and implemented.

한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양태의 경험적 검토 (The Examination of Construction Status on Multi-pillar System for Old Age Income Security in Korea)

  • 한신실;주수정;신성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215-23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내실화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종단적인 차원에서 개인들의 다층체계 구축 양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다층체계는 분석대상 중 다층보장형(27.7%)과 공적연금중심형(12.8%), 그리고 미준비형(59.6%)으로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노동시장지위나 성별, 나이 등 어떠한 요인도 안전한 다층체계 구축을 보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 빈곤 위험집단인 미준비형을 공적연금의 테두리 안으로 포괄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다층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조건임을 제언하였다.

  • PDF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ational Pen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 age)

  • 권혁창;이은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61-85
    • /
    • 2012
  •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 및 3차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국민연금 수급 여부(혹은 수급액)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다양한 조작적 정의를 도입하여 두 변수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이중차이모델과 패널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 수급집단과 국민연금 비수급집단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 예를 들면 장애여부와 근로여부를 통제하고 국민연금 수급집단과 비수급집단을 비교하면,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정효과분석(fixed-effect model)의 분석결과, 고령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특성을 통제하면, 국민연금의 수급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민감도분석을 추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공적연금유형에 따른 은퇴자들의 보건의료비지출 결정요인 (Influence Factors on Health and Medical of Retirees Expense to Public Pension Recipients)

  • 최령;황병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0-89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nthly average medical expenses of public pension recipients,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otal health and medical expenses and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expenses, medical service expenses, and medical supplies expense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fifth year data of 2013 out of the raw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llect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linear regression to verify publicly the relevance between pension recip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and medical expenses status using IBM SPSS ver. 21.0 for data analysis.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ending of expenditure and health care costs according to public pension recipients. Medical expenses of the national pensioners was higher compared to the special corporate pensioners. The national pensioner is related expenditure size, education level,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residential areas, status of spouse, number of chronic illness, and status of limitation in daily life with psychological health status. Conclusion: Therefore, fairness does not occur fire to the medical use between the special corporate pensioners and national pensioners, aggressive of government such as health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retiree pension policy that reflects the reality intervention would be required.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국민연금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Facing Services of National Pens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민기채;이규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39-147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국민연금서비스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으로 출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해외의 공공 및 민간 기관의 비대면 서비스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국민연금공단의 비대면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국민연금공단의 비대면 서비스 현황과 본인인증 방식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공적연금기관 및 민간기관의 비대면 공적연금서비스 현황 및 본인인증 방식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한 시사점으로 4차 산업혁명의 국민연금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미래전략 도출, 업무별 비대면 신고 신청 방법의 채널 확대, 비대면 본인인증방식으로서 핀테크 도입, 연금서비스를 포함한 생활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인터넷통합포털 구축을 통한 서비스 채널 단일화를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민연금 비대면서비스의 장기적 과제로 정부민원 통합포털의 초연결성 확보, 인공지능로봇의 도입을 통한 지능화 및 자동화를 고려할 수 있다.

공적연금소득을 통한 가구형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ehold Type by Public Pension Income Level on Life Satisfaction)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3-13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n=1,919)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the 2015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llected by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χ2-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twee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 retirees.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Results: Public pension incom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life satisfaction, economic, health, and life in multi-person households. Conclusion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selective insurance benefit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type of household. Moreover a policy for expand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needed.

은퇴 후 농촌거주를 위한 주택연동형 연금보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잠재 수요자의 보험가입조건 및 서비스 요구도 분석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for Rural Living after Retirement -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service demand of potential consumers -)

  • 홍형옥;김정인;임상봉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37-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valid data about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was a part of national housing projects, which was an incentive for rural living of retired people, in order to relieve residential issues of elderly and revitalize rural communities by residents moving from cities. The insuring intent,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residential service demand degree of people preparing retirement were analyzed. Data was collected in October, 2007. 364 Sample Subjects liv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ly, more than 90% of respondents had intention to purchase a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and about 50% of them necessarily desired receiving premium for moving in. This indicated that it could be developed as an insurance which helped to meet housing expenses by housing-linked system, and in the mean time, it met the original purpose of pension insurance as the pension benefit could be guaranteed for all the insurance subscribers. Secondly, the respondents, whose income and private assets were higher, were able to pay more for insurance compared to averag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gulate monthly insurance bill and the payment period according to asset states of insurance subscribers after establishing certain amount of total insurance payment. Thirdly, by and large, it indicated the tendency that the less they prepare for older age the later they wanted to move into the pension insurance residence. It was inferred that in the case of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older age, people preferred preparing behind time by postponing move in to moving in early to enjoy retired life, due to uncertainties. lastly, the respondents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health, medical treatment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 and these two services were preferred as essential provided services. Because of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was found to be positive, further research to find the real cost, directives for ope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type of pension insurance might be needed.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stem and Practices of the Old Age Pension in North Korea)

  • 민기채;조성은;한경훈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0호
    • /
    • pp.133-17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체계의 핵심인 공적연금에 해당하는 북한 년로년금에 대해 공간(公刊) 문헌에 기초하여 제도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인터뷰를 통해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제도와실태 간 일치 및 괴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1945년부터 2013년까지 사회보장과 관련된 북한 법령과 북한 사전(정치사전, 경제사전, 재정금융사전, 조선대백과사전)을 활용한 문헌분석 및 눈덩이 표집방법을 활용한 25명의 북한이탈주민 면접자료의질적 분석이다. 연구결과,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는 일부에서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주의 국가체제에서 국가책임의 공적연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결국 가족의 역할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학술적 함의로는 다양한 북한 원자료에 기초한 연금제도 이해와 북한이탈주민 인터뷰를 통한 실태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통일시대 노후소득보장 체계 구축에서 가족, 시장, 국가 간의 균형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