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ational Pen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 age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1.31
  • Accepted : 2012.05.0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national pension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old age, using the first and third-wave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pens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several operational definitions of these two variables. This study utilizes the Difference-in-Difference(2D) models and panel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 First, the result of simple 2D shows that ther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pensioner and that of non-pensioner. Second, the result of 2D regression also shows that pension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ge. Lastly, the result of fixed-effect model confirms that the national pension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controling for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of the old age. This study also conducts sensitivity analysis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 및 3차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국민연금 수급 여부(혹은 수급액)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다양한 조작적 정의를 도입하여 두 변수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이중차이모델과 패널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 수급집단과 국민연금 비수급집단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 예를 들면 장애여부와 근로여부를 통제하고 국민연금 수급집단과 비수급집단을 비교하면,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정효과분석(fixed-effect model)의 분석결과, 고령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특성을 통제하면, 국민연금의 수급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민감도분석을 추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