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ord of Heave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 중·후기 종교적 천관(天觀)의 전개양상 - 퇴계, 다산, 수운, 증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Higher Power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Periods and in the Ideas of Daesoon: Focusing on Toegye, Dasan, Suwun, and Jeungsan)

  • 안유경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79-116
    • /
    • 2020
  • 본 논문은 퇴계의 리,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를 중심으로 이들 속을 관통하여 흐르는 고대 종교적 천관의 초월적·절대적이며 인격적 주재자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의 리·상제·천주·상제라는 외형상의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실제로 서로 다르지 않음을 확인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고대 종교적 천관의 성격은 퇴계의 리,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로 이어지고 있다. 퇴계가 리의 초월적·절대적이며 인격적 주재자의 성격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퇴계의 종교적 성격은 다산의 상제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수운의 천주나 증산의 상제로 이어진다. 다시 말하면, 비록 다산이 리를 비판하고 인격적 주재자인 상제를 상정하지만, 이것은 퇴계의 리가 가지는 성격과 그 역할이 다르지 않으며, 또한 수운의 천주나 증산의 상제가 가지는 성격과도 그 역할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것은 퇴계의 리에 대한 종교적 전통의 기반이 없었다면,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로 이어지는 이론체계를 세우는 작업 또한 어려웠을 것이라는 말이다. 물론 천지공사를 실제로 행사하는 증산의 상제는 퇴계·다산·수운의 상제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퇴계의 리가 갖는 종교적 성격을 보다 분명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성막건축의 건축적 의미와 신학적 상징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logical Symbol and The Architectural Meaning in Tabernacles)

  • 오태주;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58-165
    • /
    • 2006
  • God, existing in the Tabernacle was designed not by man but was designed by Him Personally. The LORD said to Moses..... 'Then have them make a sanctuary for me, and I will dwell among them. Make this tabernacle and all its furnishings exactly like the pattern I will show you(Exodus25:1-9). These words represent the Godly Origin of the Tabernacle. He referred to it as'A copy and shadow of what is in heaven' (Hebrews8:5) , Furthermore, The Tabernacle, a copy and shadow of what is in heaven, used in the Old Times, was his body(John2:21). Therefore The Lord is the true designer of the Tabernacle(Exodus25:8-9), and is where He dwells(Exodus29:46), and is where the sinful man meets the Lord(Exodus30:6). It is where the Lord dwells(Exodus29:46) and where Forgiving takes place(Leviticus4:20,26,31). Because of this, The Tabernacle is the most important out of any piece of architecture designed by man.

『난경(難經)』의 용어 '원기(原氣)'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소고(小考) (Discussion for the periodical basis of 'Wongi(原氣)' described in 『Nanjing(難經)』)

  • 김진호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60
    • /
    • 2014
  • Objectives : Actually Wongi did not exist in "Neijing(內經)" as a word. Wongi is one of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Nanjing" from "Neijing". I have researched for the foundation of history and thought. Methods : I have looked into cognitive variation for Heaven (天), that is from Chinese ancient times through the period of the Han (漢) Dynasty. Results : 1. Before the period of the Yin (殷) Dynasty : There was some worship. 2. The period of the Yin Dynasty : The Lord (上帝) was respected and idolized. 3. The period of the Zhou (周) Dynasty : That the origin of existence is also in human was recognized through Doctrine of Heaven (天命思想). 4. The period of the Han Dynasty : Doctrine of Heaven was transfigured as ideological instrument for politics. The spiritual and physical human's independence was flowed into even though it was not separated from Heaven. Conclusions : As concerned above, the variation shows that consideration for the origin of existence flowed from the outside of human being, like the progenitor of human race, nature, and Heaven, through inside gradually. In the other words, the origin of existence was come to inquire inside of human being. As an aspect of medical science, it can be showed that the term of Wongi was influenced of these process.

천인상응(天人相應)의 관점에서 바라본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인체관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in "Huangdineijing"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 임채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55-863
    • /
    • 2012
  • The organic and holistic recognition method about nature in east asian philosophy is also applied to the study of the human body in Korean medicine. In Korean medicine, the human body is being understood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rather than a mechanical or reductive one. The main east asian philosophies are the heavens thought and the Yin-yang/Five Phase Theor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nfluence the general flow of heavens thought has on explaining the human body in Korean medicine and the formation of how the human body is perceived in "Huangdineijing"(黃帝內經). First, the primitive meaning of heaven was developed to include the natural heaven of Xia (夏), the lord heaven of Shang(商) and the moral heaven of Zhou(周) dynasties. Among these, the natural heaven notion of the Xia(夏) dynasty which recognized heaven as the one with the power to create everything. This was followed by Taoism which established the contrasting system of heaven and earth. Based on this, "Huangdineijing"(黃帝 內經) developed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taking into account, heaven as the original substance to generate the human body through the mutual sympathy between heavenly energy and earthly form. The perspectiv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in "Huainantzu"(淮南子) and "L$\breve{u}$shichunqiu"(呂氏春秋) was succeeded by Tung Chung-Shu(董仲舒). Based on this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in "Huangdineijing"(黃帝內經) is related to the seasonal cycle and the notion of night and day to balance the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It recognizes that its structure, shape, emotional state and physiological actions are correlated with heaven.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 신격 연구 - '보화천존'과 '구천대원조화주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vinity of 'the Supreme God and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Qualities of Being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and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 박용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29집
    • /
    • pp.71-100
    • /
    • 2017
  •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인 강증산의 신격명으로 언급되는 것이 두 가지이다. 증산의 강세 전 신격은 '구천대원조화주신'이고, 그의 화천 후 신격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이다. 중국 도교에서 최고신으로 변증되지 않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이 강증산의 화천 후 신격에 동일한 용어가 등장한다는 것은 대순진리회 신앙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즉 대순진리회만의 신앙체계에서 중국 도교와는 다른 위치에 있는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최고신 위치에 대한 변증문제와 구천대원조화주신으로부터 변화한 신격에 대한 합리적이고 개연성 있는 설명이 대순사상연구를 통해 제시되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는다면 결국 중국 도교와 대순진리회에서 '상제'라는 단어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나타나는 두 신격 간에 대한 교학적 논쟁이 혼란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대순사상 내에서 이와 관련한 교리적 설명이나 담론이 거의 없으므로 향후 이 문제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도교 문화권 사람에게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라는 명칭의 신격을 어떻게 표명할 것인가에 대한 것과 이와 연관되어 증산의 강세 전 신격인 '구천대원조화주신'에서 또 다른 명칭인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라는 화천 후의 신격변화를 교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해 가설적 수준까지 논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이 이 문제의식에 대한 초석연구로써 그 기반이 되게 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구의 범위가 담론적 가설에 그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 주제와 관련하여 타당한 학문적 근거를 찾으려면 논문 한편이 아닌 심도 있는 수많은 비교연구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주제에 대한 담론을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뉘어 보았는데, 첫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는 칭호가 같은 부분이 있으나 서로 관계가 전혀 없는 별도의 신격이다.'라는 가설이다. 둘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두 신격은 같은 신격이다.'라는 가설이다. 셋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겠으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은 어떠한 일을 하기 위한 직위로써 '구천대원조화주신'인 증산이 화천 후 뇌부(雷府), 즉 그 특정직위에 임어하여 새로운 신격인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라는 또 하나의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첫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대순진리회의 중요 신앙체계의 성립이 피상적 혼합주의로 비판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서 신격 차용에 대한 교학적 설명이 반드시 전개되어야 한다. 두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중국 도교 신앙체계와 모순됨이 없이 교학을 전개할 수 있는 이론적 치밀함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순교학에 있어서 도교적 관점의 도입이 비판 될 수 있음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최고신 변증과 신격 변화에 대한 설명이 수월한 점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그 논거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 지금은 시론에 불과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의문점으로부터 향후 수많은 후속 연구를 기대해본다.

다산의 인간관과 효(孝)·제(弟)·자(慈)의 실천 (Tasan's Viewpoint of Human Being and Practice of Xiao (孝)·Ti(弟)·Ci(慈))

  • 정상봉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107-139
    • /
    • 2014
  • 이 논문은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형이상학적 설명을 한 주자의 관점을 비판하였던 다산이 어떻게 인간을 이해했는가, 그리고 인간의 윤리실천에 대하여 어떤 주장을 하였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다산에 따르면, 신체와 정신의 결합체인 인간은 신체적 성향과 도덕적 성향을 타고난다. 특히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향은 인간 존재의 본질이다. 이것은 상제로서의 하늘이 인간에게만 부여해 준 것이다. 또한 인간은 자율적 판단능력과 주체적 실천의지인 자주지권(自主之權)을 갖추고 있다. 향선(向善)의 경향성이 있지만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의 행실은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다. 이에 상제(上帝)는 인간의 동기와 행위의 선악 여부를 언제 어느 때고 감찰한다. 상제의 목소리는 인간의 도심(道心)을 통해 울려나온다. 이것이 윤리실천의 외적 동인(動因)이요, 내적 동인이다. 인간의 제반 실천윤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을 표상한 개념어가 바로 인(仁)이다. 즉 인간은 부모와 자식 형과 동생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 친구 등의 관계에서 자신의 위상에 합당한 도리의 실천을 통하여 인(仁)의 덕을 쌓아간다. 인(仁)의 덕(德)을 이루는 데는 효(孝) 제(弟) 자(慈)가 기본이다. 이 천륜에 관한 윤리에는 유가윤리의 쌍무적 정신에 대한 존중이 담겨 있다. 효(孝)를 바탕으로 임금을 섬기고, 제(弟)를 바탕으로 어른을 섬기며, 자(慈)를 바탕으로 백성을 부려야 하는 것이다. 이 효(孝) 제(弟) 자(慈)를 토대로 한 윤리실천의 방법이 바로 '서(恕)'다. 서(恕)는 나의 마음을 미루어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는 추서(推恕)로서 신체적 성향에 관한 것과 도덕적 성향에 관한 것을 두루 포괄한다. 전자의 경우, 자기 욕구의 절제나 양보가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는 공동체 사회내의 당위의 구현을 목표로 삼는다. 결론적으로 다산의 윤리학은 도덕적 성향과 자주지권을 갖고 타고난 인간은 상제의 뜻이 투영된 도심(道心), 즉 도덕적 양심에 귀 기울여 효(孝) 제(弟) 자(慈)의 윤리를 서(恕)의 방법에 따라 실천해 나감으로써 인(仁)의 덕(德)을 쌓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것이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요, 또한 상제인 하늘을 섬기는 길인 것이다. 이에 다산은 수사지학(洙泗之學), 즉 공맹철학의 핵심사상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았다.

고전기에서 후기고전기로의 마야 사회의 변화: 돋을새김의 분석 (A Study of Social Change from Classic to Postclassic)

  • 정혜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22권
    • /
    • pp.177-201
    • /
    • 2011
  • The Lord of Mayan society was a person who was thought to be able to understand phenomena in the universe. And also the Lord could realize these activities of heaven on Earth through ritual. But the manifested ritual function of lordship was very different depends on Classic and Postclassic period. The Classic Mayan rituals were closely related to personal dignity, specially royal blood tradition meanwhile the Postclassic Mayans focused on public function of ritual. The ritual sacrifices of blood letting from their own body, manifested in Yaxchilan Lintel 24, 25 and 17, were focused on royal family's activity, showing the dignity of royal blood. The same ritual about the birth of family successor was observed at the Structure 5C4 from Postclassic ruin of Chichen Itza. However, this scene in focus, was two representative men and the answer of ancestor, not a special person. Also at the Lintel 1 of Temple of Four Lintels it was observed names of four Lords of Chichen Itza, their relationship, their action of firing to dedicate temple instead of writing long history of great royal family. All above shows that during Postclassic period the lords preferred a public function of their lordship than to dignify some royal persons through ritual.

현대교회건축에서 표현되는 성막건축의 신학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logical Symbolism on the Tabernacle's Expressed in Modern Church Architecture)

  • 오태주;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85-192
    • /
    • 2005
  • The Tabernacle was Personally designed by God and was ordered from God to Moses to build it as the first Piece of church architecture that accurately showed God's love and will of salvation towards humankind. Tabernacles, through the architecture of tabernacles teaches the Lord being among us. His Holiness and man's sins, and also reflects the path of eternity as well as the good news and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And the Tabernacle is talking of the Glory of New Jerusalem that is provided Kingdom of Heaven for us at the same time being a completion of a final and ultimate church constructed long predicted through the Bible being already designed by God. The external expression of modern architecture may follow the uniqueness of that age but the special quali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symbolism of church architecture will have to consist the standards of God for He is the first, sincere designer.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 그리고 기하원본의 번역 (Matteo Ricci, Xu Guangqi and the Translation of Euclid's Elements)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20
  • In 1607, Matteo Ricci and Xu Guangqi translated Euclid's 《Elements》 and published 《Jihe yuanben, 幾何原本》. Though 《Elements》 consists of 13 volumes (or 15 volumes according to its editions), they translated only the first 6 volumes on the plane geometry. Why did they do so?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three questions which naturally arise: What might be the motive of the translation of the 《Elements》? What method did they adopt for the translation? And why did they translate the 6 volumes, especially, the first 6 volumes, not completing the whole?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 -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ohoe (I) - Focusing on Descriptions for Highest Ruling Entity and It's Meanings -)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1권
    • /
    • pp.99-156
    • /
    • 2013
  • This paper is to indicate research tendencies of faith in Daesoonjinrihoe and controversial points of those, and to consider the outlook on Sangje after defining it as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for Gu-Cheon-Sang-Je (High-est ruling Entity that is the object of devotion in Daesoon-jinrihoe). As the first introduction to the work, various descriptions for Sangje are arranged and the meanings of those are analyzed. In brief, first, the name of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expresses the fact that the authority of Sangje (the Supreme Entity) is exposed by spatial concept Sangje dwells in Ninth Heaven. This fact can be compared with the doctrines Allah in Islam and Jehovah in Christianity each are dwelled in Seventh Heaven. And the name shows Sangje is the ruler who reigns over the universe by using yin and yang. Second, the name,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s imported from China Taoism because it has been in Ok-Chu-Gyeong (the Gaoshang shenlei yushu). But in fact it's root is in Korea because Buyeo and Goguryeo, the ancient Korean nations, have the source of the name. While the name is not the Supreme Entity in China Taoism, it is the Supreme Entity in Daesoonjinrihoe. This fact is a important difference. Third, arbitrarily or not, the name,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s put on the image of 'resolution of grievances'. The reason is that many peoples in Korea and China has called the name for about 1,000 years ago to help their fortunes and escape predicaments. Forth, not only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but also the name, Three Pure Ones and Ok-Cheon-Jin-Wang (Yuqingzhenwang) in China Taoism used as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But the relations between three Pure Ones and Ok-Cheon-Jin-Wang and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n Dae-soonjinrihoe are different from that in China Taoism. Fifth, Sangje is associated with the Polaris divinity of Tae-Eul, view on God in Oriental Cosmology. The description Tae-Eul as well as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s indicated Sangje is linked to the faith of Buyeo and Goguryeo. Sixth, Sangje is not only Mugeuk-Sin (The God of The Endless) who supervise the Endless but also Taegeuk-Ji-Cheon-Jon (The God of The Ultimate Reality) who supervise the Ultimate Reality. These descriptions directly display the fact Sangje is a creator. Seventh, in case explaining Sangje, the point of view is necessary that grasps the whole viewpoints Sangje 'was' Hidden God(deus otiosus) and 'is' Unhidden God after Incarnation. Eighth, Sangje is Cheon-Ju in Donghak, but different from that. Cheon-Ju in Donghak has bo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n tightrope tension, but Cheon-Ju in Daesoonjinrihoe emphasize transcendence than immanence. That difference is the result of the fact Cheon-Ju in Donghak was a being having revealed a man and Cheon-Ju in Daesoonjinrihoe was a being having incarnated after revealing a man. Ninth, Sangje is Gae-Byeok-Jang who is the manager of the transforming and ordering the Three Realms of the World by the Great Do which is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nd Hae-Won-Sin who is the God of resolution of griev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