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vinity of 'the Supreme God and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Qualities of Being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and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 신격 연구 - '보화천존'과 '구천대원조화주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10.14
  • Accepted : 2017.10.3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Supreme God and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which Daesoon Jinrihoe believes in as the highest divinity. The name of this divinity was first found in Chinese Daoist scriptures. This study starts by considering the global propagation of virtue and then research connected to this topic. There are two alternative names for this divinity in relation to his human avatar, Kang Jeungsan, the subject of faith in Daesoon Jinrihoe. One is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meaning the divinity before assuming a human avatar, and the other is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the same divinity after he discarded his human avatar and returned to his celestial post. To understand how the belief system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Daois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vinity's change from being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to becoming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If this distinction is not made clear, it brings about confusing arguments concerning the term 'Supreme God (Sangje)' as used in Daoism and Daesoon Jinrihoe. In order to offer a specific explan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possible direction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although these two names, 'the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rom Daoism and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rom Daesoon Jinrihoe, are similar, they actually have nothing to do with one another.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y are in fact the same divinity. Lastly,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they are closely connected, however, the former (the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is a position needed to fulfill the mission of Jeungsan, whereas the latter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is a name received after the human avatar passes and the deity returns to the Noebu, 'the department of lightning'. These hypotheses face certain problems such as arbitrary mixing, the need for the theoretical clarity, and argumental weakness. Therefore, by leaving some unresolved questions, this study encourages future follow-up studies.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인 강증산의 신격명으로 언급되는 것이 두 가지이다. 증산의 강세 전 신격은 '구천대원조화주신'이고, 그의 화천 후 신격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이다. 중국 도교에서 최고신으로 변증되지 않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이 강증산의 화천 후 신격에 동일한 용어가 등장한다는 것은 대순진리회 신앙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즉 대순진리회만의 신앙체계에서 중국 도교와는 다른 위치에 있는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최고신 위치에 대한 변증문제와 구천대원조화주신으로부터 변화한 신격에 대한 합리적이고 개연성 있는 설명이 대순사상연구를 통해 제시되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는다면 결국 중국 도교와 대순진리회에서 '상제'라는 단어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나타나는 두 신격 간에 대한 교학적 논쟁이 혼란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대순사상 내에서 이와 관련한 교리적 설명이나 담론이 거의 없으므로 향후 이 문제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도교 문화권 사람에게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라는 명칭의 신격을 어떻게 표명할 것인가에 대한 것과 이와 연관되어 증산의 강세 전 신격인 '구천대원조화주신'에서 또 다른 명칭인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라는 화천 후의 신격변화를 교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해 가설적 수준까지 논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이 이 문제의식에 대한 초석연구로써 그 기반이 되게 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구의 범위가 담론적 가설에 그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 주제와 관련하여 타당한 학문적 근거를 찾으려면 논문 한편이 아닌 심도 있는 수많은 비교연구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주제에 대한 담론을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뉘어 보았는데, 첫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는 칭호가 같은 부분이 있으나 서로 관계가 전혀 없는 별도의 신격이다.'라는 가설이다. 둘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두 신격은 같은 신격이다.'라는 가설이다. 셋째는 중국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과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겠으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은 어떠한 일을 하기 위한 직위로써 '구천대원조화주신'인 증산이 화천 후 뇌부(雷府), 즉 그 특정직위에 임어하여 새로운 신격인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라는 또 하나의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첫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대순진리회의 중요 신앙체계의 성립이 피상적 혼합주의로 비판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서 신격 차용에 대한 교학적 설명이 반드시 전개되어야 한다. 두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중국 도교 신앙체계와 모순됨이 없이 교학을 전개할 수 있는 이론적 치밀함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순교학에 있어서 도교적 관점의 도입이 비판 될 수 있음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관점으로 교학을 전개할 경우 최고신 변증과 신격 변화에 대한 설명이 수월한 점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그 논거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 지금은 시론에 불과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의문점으로부터 향후 수많은 후속 연구를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3. 『훈시』
  4. 『정통도장』
  5. 구중회, 『옥추보경연구』, 서울: 동문선, 2006.
  6. 리웬구어(李遠國),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앙 연구」,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29
  7.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유사종교』, 최길성. 장상언 옮김, 대구: 계명대학 출판부, 1991.
  8.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와 도교의 신앙체계에 관한 비교」, 『신종교연구』 24, 2011. http://doi.org/10.22245/jkanr.2011.24.24.129
  9.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 중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관한 비교」, 『동아시아 신종교의 흥기와 전파 그리고 현대사회』, 대만: 『전경』 번체본 출간기념 학술행사 발표집, 2012.
  10. 박용철, 「대원사 공부의 이해에 나타난 종통의 천부성에 대한 고찰」, 『대순회보』 68,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7.
  11. 박용철, 「關於韓國自生新宗敎未來成長發展與'三大重要事業'的關聯性試論考察」, 臺灣 國立政治大學宗敎硏究所, 東亞新宗敎國際硏討會 論文集(下), 2014.
  12. 위꿔칭(于国庆), 「대순진리회 구천상제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 신앙 비교」,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57
  13. 유사종교조사연구회, 『한국신흥및유사종교실태조사보고서, 실태조사기간 1969-1970年』, 서울: 문화공보부, 1970.
  14.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서울: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15. 이정립, 『증산교사』, 김제: 증산교본부, 1977.
  16.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17. 한국종교연구회, 『한국신종교조사연구보고서』, 한국종교연구회, 1996.
  18. 한국종교학회,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 한국종교학회, 1985.
  19. 허시성 편역, 『옥추보경』, 서울: 경서원, 2010.
  20. 홍범초, 『범증산교사』, 예산: 범증산교연구원, 1988.
  21. 홍범초, 『월간천지공사』 창간호, 예산: 범증산교연구원, 1988.
  22. 马书田, 『中国道教诸神』, 北京: 团结出版社,1996.
  23. 潘崇賢 主編, 『道敎與星斗信仰(下)』, 濟南: 齊魯書社, 2014.
  24. 張繼禹 主編, 『中華道藏』 1卷,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經』, 北京: 華夏出版社, 2010.
  25. 钟肇鹏 主编, 『道教小辞典』, 上海: 上海辞书出版社,2010.
  26. 李绿野 编著, 『道教图文百科 1000问』,西安: 陕西师范大学出版社, 2008.
  27. 张梦逍 编著, 『図解道敎』, 西安: 陕西师范大学出版社, 2007.
  28. 张梦逍 編著, 『圖解道敎』, 新北: 華威國際事業有限公司, 2014.
  29. 《Baidu百科》www.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