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Higher Power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Periods and in the Ideas of Daesoon: Focusing on Toegye, Dasan, Suwun, and Jeungsan

조선 중·후기 종교적 천관(天觀)의 전개양상 - 퇴계, 다산, 수운, 증산을 중심으로 -

  • An, Yoo-kyoung (Youngnam Culture Institu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2.0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transcendent, absolute, and personal host of ancient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Higher Power (天觀 cheongwan, literally 'view of heaven'), which flows through Toegye's Principle of Reality (Li), Dasan's Supreme God (Sangje), Suwun's Lord of Heaven (Cheonju), and Jeungsan's Supreme God (Sangje). This confirms the sentiment that despite the conceptual differences relating to appearance, as represented by the Principle of Reality, the Dasanian Supreme God, the Suwunian Lord of Heaven, and the Jeungsanian Supreme God, the contents of these notions do not substantially differ from one another. Moreover, the nature of the ancient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Higher Power lead to Toegye's Principle of Reality, the Dasanian Supreme God, the Suwunian Lord of Heaven, and the Jeungsanian Supreme God. Toegye emphasized the nature of the Principle of Reality as transcendental and absolute, and also as a personal host. This led to Dasan's Supreme God, and furthermore, it also inspired the Suwunian Lord of Heaven and the Jeungsanian Supreme God. In other words, although Dasan criticizes the Principle of Reality and presupposes a Supreme God, a personal host, this is not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or role of Toegye's Principle of Reality. It likewise does not especially differ from the Suwunian Lord of Heaven or the Jeungsanian Supreme God. On the contrary, without the foundation of the religious tradition behind Toegye's Principle of Reality,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leading to the upper system of the Dasanian Supreme God, the Suwunian Lord of Heaven, or the Jeungsanian Supreme God. Of course, the construction of heaven and earth, which in Daesoon Thought is actually performed by the Jeungsanian Supreme God, is, in fact,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oegye, Dasan, and Suwun's previous notions of the Higher Power.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present more clearly the religious character of Toegye's Principle of Reality.

본 논문은 퇴계의 리,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를 중심으로 이들 속을 관통하여 흐르는 고대 종교적 천관의 초월적·절대적이며 인격적 주재자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의 리·상제·천주·상제라는 외형상의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실제로 서로 다르지 않음을 확인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고대 종교적 천관의 성격은 퇴계의 리,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로 이어지고 있다. 퇴계가 리의 초월적·절대적이며 인격적 주재자의 성격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퇴계의 종교적 성격은 다산의 상제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수운의 천주나 증산의 상제로 이어진다. 다시 말하면, 비록 다산이 리를 비판하고 인격적 주재자인 상제를 상정하지만, 이것은 퇴계의 리가 가지는 성격과 그 역할이 다르지 않으며, 또한 수운의 천주나 증산의 상제가 가지는 성격과도 그 역할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것은 퇴계의 리에 대한 종교적 전통의 기반이 없었다면, 다산의 상제, 수운의 천주, 증산의 상제로 이어지는 이론체계를 세우는 작업 또한 어려웠을 것이라는 말이다. 물론 천지공사를 실제로 행사하는 증산의 상제는 퇴계·다산·수운의 상제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퇴계의 리가 갖는 종교적 성격을 보다 분명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退溪集」, 「與猶堂全書」, 「東經大全」, 「說文解字」, 「書經」, 「詩經」, 「史記」, 「論語」, 「論語集註」, 「朱子語類「, 「通書」, 「李子粹語」, 「栗谷全書」, 「心經附註」, 「心經附註總攬」, 「龍潭遺詞」
  2.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5.
  3. 금장태, 「유학사상의 이해」, 서울: 집문당, 1996.
  4. 김용휘, 「최제우의 시천주에 나타난 천관」, 「한국사상사학」 20, 2003. http://uci.or.kr/G704-SER000002074.2003..20.004
  5. 김치완, 「다산의 상제관과 서학의 상제관」, 「교회사연구」 39, 2012. http://uci.or.kr/G704-001835.2012..39.001
  6. 라명재, 「천도교경전 공부하기」,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7.
  7. 柳生眞, 「大山 李象靖の의 活物としての理-その起源と展開を中心に」, 「세계와 상통하는 경북정체성 국제포럼(1)」 경상북도 교토포럼 주최, 2011.
  8. 박정호, 「수운 최제우의 신관-서학의 영향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74, 2018. https://doi.org/10.21185/jhu.2018.6.74.119
  9.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사상」,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10. 성태용, 「다산 철학에 있어서 계시 없는 상제」, 「다산학」 5, 2004.
  11. 이경원, 「한국의 종교사상: 궁극적 실재의 제문제」, 서울: 문사철, 2010.
  12. 안유경,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새문사, 2015.
  13. 안유경, 「퇴계의 리(理)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신(神)과의 접점」, 「동서인문학」 56, 2019.
  14. 유초하, 「정약용철학의 상제 개념에 관한 이견들과 그에 담긴 오해들」, 「한국철학논집」 20, 2007. https://doi.org/10.35504/kph.2007..20.007
  15. 전호근, 「한국철학사: 원효부터 장일순까지 한국 지성사의 거장들을 만나다」, 서울: 메멘토, 2018.
  16. 정순우, 「다산에 있어서의 천과 상제」, 「다산학」 9, 2006. http://uci.or.kr/G704-001778.2006..9.005
  17. 조성환, 「천도의 탄생-동학의 사상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44, 2013. http://uci.or.kr/G704-SER000002074.2013..44.002
  18. 차선근, 「수운과 증산의 종교사상 비교연구- 하늘관과 수행관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9, 2013. https://doi.org/10.21457/kars..69.201212.205
  19. 한형조, 「다산과 서학」, 「다산학」 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