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중국.일본의 대학입학 영어시험 문항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glish test item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 전병만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2호
    • /
    • pp.113-132
    • /
    • 2004
  •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through analyzing English test item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CEE) in Korea, China, and Japan. To achieve this, English test items of Scholastic Ability Test(SAT) in Kore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EE in China and Japan, and test items of TOEFL and IE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items for testing productive skills relatively to the test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TOEFL and IELTS. Especially, there were integrated items for writing test in China. In case of speaking test, all the other country adopted direct ways like interview and oral test, not indirect test as in the SAT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 to be included test items comprising long passages in order to measure extensive reading ability. It can be suggested that doze test be adopted for testing integrated proficiency of English.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산정시스템의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ing System)

  • 박영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9-22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ore data relea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coring system provided by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Methods: We calcul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us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of the standard scor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by expressing the distribution as a graph. Also, we developed an index to evaluate whether each stanine level was stably assigned and calculated the indexes for each area/subject by using the data on the number of examinees for each level. Results: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conversion from raw scores to integerized standard scor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w scores, and identified the problem that the raw score information is not fairly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percentile and level as the two raw scores are converted to one standard sco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calculating the standard score to a decimal point. Conclusion: In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cores of the current CSAT, the standard score and percentile decimal notation, the specific regulations of the standard score and stanine level calculation method, and the expansion of the open range of the scores were suggested.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집단 특성 변화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89-14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what were characteristics of main group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wa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were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nd what were prospect on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s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ere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 reasons of reducing on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policy of employment reinforc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government. The next reason was increasing students who want the next stage of education not requiring results of the CSAT. Leading group of reducing on applying for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fine grade group. Prospect on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was maintenance on the minimum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the CSAT, after lasting of reducing state.

Influences for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chemical subjects in high school

  • Koo, Min Ju;Park, Jong 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37-2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the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Scholatic Ability Test.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leted subjects in high school and the elective subjects in the Test,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subjects completed in high school, and th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by dint of the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the Test, etc. By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survey, most of the students choose Chemistry I at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hemistr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chemical elective subjects of high school.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the Tes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Analysis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김시화;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2
    • /
    • 2017
  •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고등학교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식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은 모두 '사실적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은 '이해하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수능 평가 문항에서는 '분석하다'와 '분석하다'가 '이해하다'와 복합된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율차 검증을 통한 한국지리 수능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분석대상 학년도 모두 내용타당도가 '조금 낮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내용 영역별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지형 환경과 생태계', '생산과 소비의 공간' 영역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의 주요 유형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다른 영역에 비해 내용타당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출제 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충실히 반영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의 자료 분석 능력 평가에 치중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Focusing on the Nationwide Tests for the 12th Graders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 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72-487
    • /
    • 2014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 내용 중 GIS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평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에 초점을 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포함, 2004~2012년에 시행된 전국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특성과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문항에의 집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답율의 경우 전체 평균 보다 다소 높았으나 문항의 유형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과정 및 교실 수업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는데, 지형이나 인구와 같은 일반 교과 내용과의 연계, 탐구 지향형 평가의 문항의 강화 및 적정 난이도 유지 등이 개선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On the Setting of Mathematics Test in the CSAT)

  • 남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89-105
    • /
    • 2011
  •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3년 시행된 1994학년도 수능 이래 크고 작은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2012학년도 수능에서도 수리 영역은 적용되는 교육과정이 달라짐에 따라 출제 범위 등에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전 영역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4학년도 수능에서는 더 큰 변화가 예상된다. 2014학년도 수능 체제 개편을 앞두고,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었던 2005학년도~2011학년도 수능 수리영역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 경감 및 학습 동기 고취를 위하여 더 쉽게 출제하고, 이에 따라 문항 수 및 배점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발고사로서의 변별력 확보와 시험의 신뢰성, 타당성 제고를 위하여 단답형 문항의 비율을 늘릴 필요가 있다. 셋째, 한 문항 내에 하위 문항을 출제하여 상황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은 줄이고 주어진 상황을 다각도에서 심도 있게 탐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요령과 기술에 의한 득점이 가능해진 특정 유형의 문항 출제를 지양하고 새로운 문항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Regional Imbalance and Map Usage in Korean Geography Test as a Par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배선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91-1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평가 문항들에서 지역적인 편중이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5~2015학년도의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에서 지도와 설명 및 그래프를 통하여 특정 지역이 한국지리 세부 영역별로 어느 정도의 빈도로 출제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한국지리 220문항 중 약 42%에서 지도가 활용되고 있었고, 약 33%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가 제시되고 있었다. 한국지리의 세부 영역별로 볼 때 기후, 산업, 지역(지방) 영역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 제시가 많았다. 지난 11년 동안 수능 한국지리 출제 문항에 언급된 시 군은 모두 76곳이며, 이들 중 3번 이상 언급된 곳은 25곳이다. 가장 높은 출제 빈도를 보인 지역은 서울이며, 인천과 대구, 부산, 강릉, 제주 등이 출제 빈도가 높은 지역이었다.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세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적인 편중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 in mathematical inclination of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freshmen)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745-762
    • /
    • 2015
  • 최근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이 강조되고 있는데, 특히 수학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수학적 성향이 중요시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자주 바뀌었는데, 7차 교육과정에서 인문계는 미적분을 배우지 않았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계도 미적분을 배웠다.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 공과대학에 입학한 7차 교육과정 세대인 2011년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세대인 2015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성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 및 대학수학에 대한 학습목표를 설문하였으며 수학기초학력을 평가하여 고등학교 계열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유형별, 대학수학 학습목표별, 수학기초학력별로 2011년과 2015년 수학적 성향의 각 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1년과 2015년 학생들 사이에는 자신감,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가치, 심미성 등 수학적 성향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 분석을 위한 3차원 분석틀 개발과 화학 I 문항 분석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Analy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Chemistry I Questions on the CSAT and Analysis of Chemistry I Questions)

  • 박지훈;박선향;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40-53
    • /
    • 2024
  • 이 연구는 화학 핵심 개념, 화학 행동 영역, 수학 행동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2019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4개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을 분석하여 영역별 출제 문항 수와 비율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 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은 핵심 개별 별로 비교적 고르게 출제되었으나, 고난도 문항은 양적 관계에 편중되었다. 화학 행동 차원의 경우,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 설계 및 수행 영역의 문항 출제 비율이 매우 낮았고, 고난도 문항의 경우 결론 도출 및 평가에 편중되었다. 수학 행동 영역의 경우, 발견적 추론 영역과 연역적 추론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 수가 매우 적었고, 고난도 문항은 내적 문제해결력 영역에 편중되었다. 또한, 특정 화학 핵심 개념과 화학의 행동 영역은 특정 수학 행동 영역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고차원적 수학 행동 영역을 포함하는 문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