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detection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 비디오를 위한 획기반 자막 추출 알고리즘 (A Stroke-Based Text Extraction Algorithm for Digital Videos)

  • 정종면;차지훈;김규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7-30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비디오를 위한 획기반 자막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자막 탐지, 자막 위치 찾기 자막 분리 단계와 분리된 자막에 대한 기하학적 검증 과정으로 구성된다. 자막 탐지 단계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프레임 중 자막이 존재하는 프레임을 찾는 단계로써, 주어진 프레임으로부터 자막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점, 즉 씨앗점을 추출한 다음 씨앗점에 대하여 모폴로지 연산을 수행한다. 자막 위치 찾기 단계는 자막이 존재하는 프레임에서 자막의 위치를 찾는 단계로써, 씨앗점을 포함하는 에지에 대한 모폴로지 연산과 프로젝션을 통해 수행된다. 자막 분리 단계에서는 자막과 배경의 색상 분포와 복잡한 배경을 고려하여 자막을 강건하게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자막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분리된 자막에 대한 기하학적 검증 과정을 수행하여 최종 결과를 얻는다.

YOLO, EAST: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문자열 위치 검출 성능 비교 (YOLO, EAST : Comparison of Scene Text Detection Performance,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 박찬용;임영민;정승대;조영혁;이병철;이규현;김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3호
    • /
    • pp.115-12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YOLO와 EAST 신경망을 이미지 속 문자열 탐지문제에 적용해보고 이들의 성능을 비교분석 해 보았다. YOLO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이미지 속 문자영역 탐지에 낮은 성능을 보인다고 알려졌으나, 실험결과 YOLOv3는 문자열 탐지에 비교적 약점을 보이지만 최근 출시된 YOLOv4와 YOLOv5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속에 있는 한글과 영문 문자열 탐지에 뛰어난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YOLO 신경망 기반 문자열 탐지방법이 향후 문자 인식 분야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Illumination-Robust Foreground Extraction for Text Area Detection in Outdoor Environment

  • Lee, Jun;Park, Jeong-Sik;Hong, Chung-Pyo;Seo, Yong-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호
    • /
    • pp.345-359
    • /
    • 2017
  •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hat has been a main research topic of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now extend its applications to detection of text area from video or image contents taken by camera devices and retrieval of text information from the area. This paper aims to implement a binarization algorithm that removes user intervention and provides robust performance to outdoor lights by using TopHat algorithm and channel transformation technique. In this study, we particularly concentrate on text information of outdoor signboards and validate our proposed technique using those data.

Text Detection in Scene Images Based on Interest Points

  • Nguyen, Minh Hieu;Lee, Guees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528-537
    • /
    • 2015
  • Text in ima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es for understanding a scen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based on interest points to localize text in natural scene images. The main ideas of this approach are as follows: first we used interest point detection techniques, which extract the corner points of characters and center points of edge connected components, to select candidate regions. Second, these candidate regions were verified by using tensor voting, which is capable of extracting perceptual structures from noisy data. Finally, area, orientation, and aspect ratio were used to filter out non-text regions.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on the ICDAR 2003 dataset and images of wine labels.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his approach.

에지 및 컬러 양자화를 이용한 모바일 폰 카메라 기반장면 텍스트 검출 (Mobile Phone Camera Based Scene Text Detection Using Edge and Color Quantization)

  • 박종천;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47-852
    • /
    • 2010
  • 자연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는 영상의 다양하고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텍스트를 검출하고 추출하여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모바일 폰 카메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응용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에지 및 연결요소를 이용한 장면 텍스트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그레이스케일 영상으로부터 에지 성분 검출과 지역적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텍스트 영역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RGB 컬러공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기준으로 연결요소를 검출한다. 검출된 에지 및 연결요소를 레이블링하고 각각 영역의 외곽사각형을 구한다. 텍스트의 휴리스틱 이용하여 후보 텍스트를 추출한다. 후보 텍스트 영역을 병합하여 하나의 후보 텍스트 영역을 생성하고, 후보 텍스트의 지역적 인접성과 구조적 유사성으로 후보 텍스트를 검증함으로서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에지 및 컬러 연결요소 특징을 상호 보완함으로서 텍스트 영역의 검출률을 향상시켰다.

텍스트 분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스팸 데이터 식별 방안 (Detecting Spam Data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ext Analysis)

  • 현윤진;김남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493-504
    • /
    • 2017
  • 최근 뉴스, 블로그,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방대한 양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는 풍부한 정보 및 의견을 거의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 학계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분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데이터의 유용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를 왜곡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스팸성 텍스트 데이터의 증가는 방대한 정보 가운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은 물론, 정보 자체 및 정보 제공 매체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원본 데이터로부터 스팸성 데이터를 식별하여 제거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 및 분석 결과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팸을 식별하기 위한 연구가 오피니언 스팸 탐지, 스팸 이메일 검출, 웹 스팸 탐지 등의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팸 식별을 위한 기존의 연구 동향을 자세히 소개하고, 블로그 정보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블로그의 스팸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Academic Registration Text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Alhawas, Mohammed S;Almurayziq, Tariq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93-96
    • /
    • 2022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s utilized to understand a natural text. Text analysis systems use natural language algorithms to find the meaning of large amounts of text. Text classification represents a basic task of NLP with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topic labeling, sentiment analysis, spam detection, and intent detection. The algorithm can transform user's unstructured thoughts into more structured data. In this work, a text classifier has been developed that uses academic admission and registration texts as input, analyzes its content, and then automatically assigns relevant tags such as admission, graduate school, and registration. In this work, the well-known algorithms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K-nearest neighbor (kNN) algorithms are used to develop the above-mentioned classifier.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SVM classifier outperformed the kNN classifier with an overall accuracy of 98.9%. in addition, the mean absolute error of SVM was 0.0064 while it was 0.0098 for kNN classifier.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e SVM is used to implement the academic text classification in this work.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using Combined Corner and Contour Detection

  • Lim, Sooyeon;Kim, Sa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1호
    • /
    • pp.68-75
    • /
    • 2017
  • Interactive Typography is a process where a user communicates by interacting with text and a moving factor. This research covers interactive typography using real-time response to a user's gesture. In order to form a language-independent system, preprocessing of entered text data presents image data. This preprocessing is followed by recog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setting interaction points. This is done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such as the Harris corner detector and contour detection. User interaction is achieved using skeleton information tracked by a depth camera. By synchroniz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cquired by Kinect (a depth camera,) and the typography components (interaction points), all user gestures are linked with the typography in real tim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both English and Korean, where users showed an 81% satisfaction level using an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where text components showed discrete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estures.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at sensibility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speed of the text and interactive alt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teractive typography can potentially be an accurate communication tool, and not merely a uniform text transmission system.

카메라 획득 영상에서의 색 분산 및 개선된 K-means 색 병합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추출 및 이진화 (Text Detection and Binarization using Color Variance and an Improved K-means Color Clustering in Camera-captured Images)

  • 송영자;최영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205-214
    • /
    • 2006
  •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는 이미지의 내용을 함축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정보로서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에 찾아내서 인식한다면 다양한 응용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취득한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된 영역에서 텍스트를 분리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텍스트 영역 추출을 위해서 RGB 색 공간에서 색 분산을 특징으로 제안하며, 텍스트 영역 분리를 위해서 RGB 색 공간에서 개선된 K-means 병합을 제안한다. 실험은 디지털 카메라와 핸드폰 카메라로 취득한 다양한 종류의 문서유형 이미지와 실내외의 일반적인 자연이미지를 사용하였으며, ICDAR 콘테스트[1] 이미지의 일부도 사용하였다.

모바일 시스템 응용을 위한 실외 한국어 간판 영상에서 텍스트 검출 및 인식 (Text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Outdoor Korean Signboards for Mobile System Applications)

  • 박종현;이귀상;김수형;이명훈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2호
    • /
    • pp.44-51
    • /
    • 2009
  • 자연 영상에서의 텍스트 이해는 지난 수년간 매우 활발한 연구 분야로 자리하고 있다.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어 간판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텍스트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상호명의 인식을 위한 텍스트 영역의 검출 및 이진화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수직, 수평 방향의 에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 영역의 정교한 검출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검출된 텍스트 영역에 대해서 연결요소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독립된 한 개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되어지고, 마지막으로 최소 거리 분류법에 의해 각각의 글자를 인식한다. 각각의 문자 인식을 위해 모양 기반 통계적 특징을 추출한다. 실험에서 제안된 전체적인 효율성 및 정확성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구현된 모바일 시스템의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