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meriz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Streptavidin이 융합된 DR4 항원에 특이적인 single-chain Fv 항체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ti-DR4 single-chain Fv (ScFv) antibody fused to Streptavidin)

  • 김서우;우상욱;김진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30-342
    • /
    • 2018
  • Streptavidin (STR)과 Biotin system은 Biotin의 Streptavidin에 대한 높은 비공유 친화력(non-covalent affinity; $K_D=10^{-14}M$)과 4 Biotin 결합부위를 갖는 Streptavidin의 tetramer 구조로 인해 복수의 항원결합부위 및 복수의 항원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 system을 활용하기 위해 우리는 Streptomyces avidinii 염색체 DNA로부터 PCR을 통해 Streptavidin (STR) 유전자를 증폭하고 이를 TRAIL (tumor necrosis factor ${\alpha}$ related apoptosis induced ligand) receptor인 death receptor 4 (DR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hAY4 single-chain Fv 항체유전자에 융합시켰다. 대장균에서 발현시킨 STR에 융합된 hAY4 ScFv (hAY4-STR) 항체는 가열시킨 SDS-PAGE에서 43 kDa monomer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가열하지 않은 SDS-PAGE와 Size-exclusion chromatography에서는 tetramer인 172 kDa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hAY4 ScFv-STR 항체가 STR의 자연적인 비공유결합에 의해 유도된 tetramer를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융합 단백질은 Ouchterlony assay와 ELISA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자연 Streptavidin과 유사한 Biotin 결합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ELISA와 Westernblot을 이용하여 정제된 hAY4-STR 융합항체의 DR4 항원결합력 또한 확인하였다. 게다가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분석에서 hAY4 ScFv-STR tetramer는 tetramerization에 의해 hAY4 ScFv monomer보다 60배 더 높은 항원결합력을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hAY4 ScFv-STR 융합단백질은 E. coli에서 soluble tetramer로 성공적으로 발현 및 정제되었으며 Biotin과 DR4 항원에 동시에 결합함을 보여 주었다. 이는 bifunctional and tetrameric ScFv 항체를 제조 할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Structural assessment of the tetramerization domain and DNA-binding domain of CP2c

  • Jo, Ku-Sung;Ryu, Ki-Sung;Yu, Hee-Wan;Lee, Seu-Na;Kim, Ji-Hun;Kim, Eun-Hee;Wang, Chae-Yeon;Kim, Chan-Gil;Kim, Chul Geun;Won, Hyung-Si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9-124
    • /
    • 2018
  • Although the transcription factor CP2c has been recently validated as a promising target for development of novel anticancer therapy, its structure has not been solved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corresponding to the tetramerization domain of CP2c appeared to be well folded, whereas the Elf-1 domain showed a largely unfolded conformation. Particularly, the Elf-1 domain, which contains the putative DNA-binding region, showed a conformational equilibrium between relatively less-ordered and well-ordered conformers. Interestingly, addition of zinc shifted the equilibrium to the relatively more structured conformer, whereas zinc binding decreased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protein, leading to a promoted precipitation. Likewise, a dodecapeptide that has been suggested to bind to the Elf-1 domain also appeared to shift the conformational equilibrium and to destabilize the protein. These results constitute the first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CP2c domains and newly suggest that zinc ion might be involved in the conformational regulation of the protein.

Streptavidin이 융합된 GFP항원 특이적인 VHH 항체의 기능적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an Anti-GFP Camel Heavy Chain Antibody Fused to Streptavidin)

  • 한승희;김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16-1423
    • /
    • 2018
  • Biotin에 강한 결합 친화력($K_D=10^{-14}M$)과 함께 streptavidin의 tetramer 특징은 VHH 항체를 streptavidin에 융합시키게 하여 biotinylated horseradish peroxidase를 사용하는ELISA 와Western blot analysis 등의 면역분석법에서 VHH 항체의 항원결합력을 증가시키는데 응용 가능하다. 이를 응용하기 위해 우리는 Streptomyces avidinii 염색체 DNA로부터 PCR을 통해 streptavidin유전자를 증폭하고 이를 green fluorescent protein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8B9 VHH 항체유전자에 융합시켰다. 대장균에서 수용성 융합단백질로 발현시키기 위해 pUC119 플라스미드에 기초한 발현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즉 lacZ promoter를 사용하여 IPTG에 의해 단백질발현을 유도하게 하였으며, 아미노말단에 pelB leader를 두어 발현된 단백질의 periplasmic space로 이동하게 하여 수용성 단백질형태의 분비를 촉진하였으며 카르복시말단에 6개의 polyhistidine tags를 두어 $Ni^+$-NTA-agarose column을 사용하여 발현된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Streptavidin이 biotin에 강하게 결합함으로 대장균에 독성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본 수용성 융합단백질은 성공적으로 발현되었다. SDS-PAGE에서 가열하는 경우 변성되어 30.6 kDa를, 가열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연 상태의 122.4 kDa을 나타내었다. 이는 8B9 VHH항체에 융합된 streptavidin moiety에 의해 monomer subunit가 비공유결합으로 tetramerization됨을 제시해준다. 또한 본 융합단백질은 ELISA와 Westernblot analysis에서 보여진 것처럼 parental streptavidin과 유사한 biotin결합력과 green fluorescent protein항원 결합력을 모두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treptavidin에 융합된 8B9 VHH 항체형태의 융합단백질은 대장균에서 수용성 tetramer로 성공적으로 발현 및 정제되었으며 biotin과 green fluorescent protein 항원에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tetrameric and bifunctional VHH 항체제조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수용성 streptavidin의 Escherichia coli 에서 기능적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Soluble Streptavidin in Escherichia coli)

  • 한승희;김형민;임명운;김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1-637
    • /
    • 2015
  • Streptmyces avidinii에서 발현되는 Streptavidin은 vitamin H인 d-biotin 4분자에 결합하며 해리상수(Kd)가 10−15 M를 나타내는 아주 강한 비공유결합이다. 이러한 streptavidin과 biotin 상호간의 강한 결합력은 수많은 생물체 분자들의 탐지 및 특징을 연구하는데 응용되어져 왔으므로 Escherichia coli에서 수용성 streptavidin의 기능적 발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유용하다. 즉 Escherichia coli에서 streptavidin을 발현시키기 위해 streptavidin유전자를 T7 RNA polymerase/T7 promoter를 이용하는 pET-22b 플라스미드로 클로닝하였다. 또한 N-말단에 pelB leader를 포함하여 발현된 streptavidin의 periplasmic space로 운반하여 수용성 단백질형태의 분비를 촉진하였으며 C-말단에는 6개의 polyhistidine tags를 두어 정제하는데 사용되었다. 정제된 streptavidin단백질은 10-20 mg/ml 의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SDS-PAGE에서 가열하는 경우 변성되어 17 kD인 monomer형태를, 가열하지 않는 경우에는 68 kDa으로 원래의 tetramer형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streptavidin의 tetramer 구조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Size-exclusion chromatography에 의한 streptavidin의 구조 역시 tetramer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된 수용성 streptavidin은 Westernblot실험에서 biotinylation된 단백질을 탐지하였으며 이 결과는 정제된 streptavidin이 biotin에 결합하는 기능이 존재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발현시스템을 통하여 발현된 streptavidin은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어 대량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자연상태의 streptavidin과 동일한 homotetramer를 형성하고 biotin에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었다.

Functional significance of rSK2 N-terminal region revealed by electrophysiology and Preliminary Structural Studies

  • Narae Shin;Kang, Gil-boo;Eom, Soo-Hyun;Park, Chul-Seung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1-41
    • /
    • 2003
  • Small conductance calcium-activated potassium channels (or SKCa channels) are potassium selective, voltage-independent, and activated by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These channels play important roles in excitable cells such as neur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Vergara et al., 1998). The activity of SKCa channels underlies the slow afterhyperpolarization that inhibits neuronal cell firing (Hille, 1991; Vergara et al.,1998). Until now, N-terminal region of rSK2 isn't characterized. To study the role of N-terminus, we constructed the N-terminal deletion mutant and characterized by electrophysiological means. Interestingly, N-terminal deletion mutant be trafficked to membrane couldn't evoke any ionic currents. Thus, N-terminal region has a role in functional rSK2 channel formation.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N-terminal region, (His)6-conjugated protein was purified and filtrated by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Surprisingly, N-terminal region was shown in tetramer size that was supported by cross-linking result. Thus, we predicted that N-terminal region might be involved in the tetramerization of rSK2.

  • PDF

Cullin 3/KCTD5 Promotes the Ubiqutination of Rho Guanine Nucleotide Dissociation Inhibitor 1 and Regulates Its Stability

  • Cho, Hee Jun;Ryu, Ki-Jun;Baek, Kyoung Eun;Lim, Jeewon;Kim, Taeyoung;Song, Chae Yeong;Yoo, Jiyun;Lee, Hee G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488-1494
    • /
    • 2020
  • Rho guanine nucleotide dissociation inhibitor 1 (RhoGDI1) plays important roles in numerous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cell motility, adhesion, and proliferation, by regulating the activity of Rho GTPases. Its expression is altered in various human cancers and is associated with malignant progression. Here, we show that RhoGDI1 interacts with Cullin 3 (CUL3), a scaffold protein for E3 ubiquitin ligase complexes. Ectopic expression of CUL3 increases the ubiquitination of RhoGDI1. Furthermore, potassium channel tetramerization domain containing 5 (KCTD5) also binds to RhoGDI1 and increases its interaction with CUL3. Ectopic expression of KCTD5 increases the ubiquitination of RhoGDI1, whereas its knockdown by RNA interference has the opposite effect. Depletion of KCTD5 or expression of dominant-negative CUL3 (DN-CUL3) enhances the stability of RhoGDI1. Our findings reveal a previously unknown mechanism for controlling RhoGDI1 degradation that involves a CUL3/KCTD5 ubiquitin ligase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