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osterone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Season on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 Park, C. S;P. K. Myung;Lee, S. 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9-345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ason on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men volume and sperm concentration on Yorkshire boars among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However, the pH of sperm-rich and sperm-poor fractions in winter season was higher than in spring, summer and autumn season in Yorkshlre boars. Sperm motiliy and normal acrosome of raw semen in Yorkshire boa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However, motility and normal acrosome of frozen-thawed sperm were higher in spring season than in summer, autumn and winter.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in Yorkshire were higher in spring than summer, autumn and winter.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at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were very important role for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in Yorkshire boars.

Disturbance in Testosterone Production in Leydig Cells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Oh, Seungho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187-195
    • /
    • 2014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hich are ubiquitous in the air, are present as volatile and particulate pollutants that result from incomplete combustion. Most PAHs have toxic, mutagenic, and/or carcinogenic properties. Among PAHs, benzo[a]pyrene (B[a]P) and dimethylbenz[a]anthracene (DMBA) are suspected endocrine disruptors. The testis is an important target for PAHs, yet effects on steroidogenesis in Leydig cells are yet to be ascertained. Particularly, disruption of testosterone production by these chemicals can result in serious defects in male reproduction. Exposure to B[a]P reduced serum and intratesticular fluid testosterone levels in rats. Of note, the testosterone level reductions were accompanied by decreased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and $3{\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isomerase ($3{\beta}$-HSD) expression in Leydig cells. B[a]P exposure can decrease epididymal sperm quality, possibly by disturbing the testosterone level. StAR may be a key steroidogenic protein that is targeted by B[a]P or other PAHs.

五子 추출물이 Leydig 세포 내 testosterone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s from Oja on Testosterone Synthesis in Leydig Cells)

  • 김계엽;이홍균;김은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03-408
    • /
    • 2015
  • Traditionally, 5 kinds of fruits with "ja(子)" in their name, including Rubus coreanus, Schisandra chinensis, Lycinum chineuse, Torilidis fructus, and Cuscuta seed, collectively called Oja(五子), are long known to enhance stamina. In the present study, we replaced tosaja with gyeolmyeongja(Cassiae semen ) and examined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se fruits on andropau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and testosterone synthesis of Oja water extract on Leydig TM3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hydrogen peroxide induces oxidative stress in Leydig cells,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 nitric oxide assay, and testosterone assay were performed on mouse Leydig TM3 cell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Leydig TM3 cells viability was assessed by a modified MTT assay, and the protection effect of Oja water extract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oxidative stress were examined by mitochondrial activity. Oja water extract could efficiently protect cytotoxicity induced by H2O2. Oja water extract promoted testosterone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ja water extract has protective roles and promotes steroidogenesis in Leydig cells through its anti-oxidant action.

Testosterone propionate, dihydrotestosterone, nandrolone decanoate가 마우스 정낭선의 phosphocreatine과 creatine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stosterone propionate, dihydrotestosterone, nandrolone decanoate on the levels of phosphocreatine and creatine in the mouse seminal vesicle)

  • 이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3-270
    • /
    • 1995
  • Creatine(Cr) and phosphocreatine(PCr), the important mediators of intracellular high-energy phosphate buffer system, were found in the tissues of mouse seminal vesicle and also in the extracellular fluids of seminal vesicle secre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m confirm that the secretion and accumulation of Cr and PCr is regulated by testosterone and its $5{\alpha}$-reduced metabolite, $5{\alpha}$-dihydrotestosterone(DHT). In addition, the effect of nandrolone decanoate(ND), a synthetic anabolic steroid, on the levels of Cr and PCr in the seminal vesicle was compared with those of testosterone propionate(TP) and DHT. Male Swiss-Webster mice were castrated and three groups of the castrates were treated with daily injection(sc) of same molar dose($1.45{\times}10^{-8}mol/g\;BW$) of TP, DHT, or ND. All three androgens rapidly increased weights of seminal vesicle tissue and fluid, and also increased concentrations of Cr and PCr in the tissue and fluid. However, ND was least effective in increasing seminal vesicle weights, whereas ND was as effective as, or in some cases, more effective than, TP or DHT in increasing Cr and PCr levels in the tissue and fluid.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accumulation of Cr and PCr in the seminal vesicles is regulated by testosterone and DHT, and also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ndrogens on seminal vesicle growth and secretory activity may be differentiated.

  • PDF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on the Economic Trait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Magadum, V.B.;Magadum, S.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9-72
    • /
    • 1993
  • Testosterone Propionate가 가잠의 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 다화성계통의 1종인 Pure Mysore 품종에 대한 testosterone propionate(TP)의 농도별 (1, 5, 10$\mu$g/ml) 투여효과를 조사하였다. TP의 처리는 유충 3, 4, 5령의 36시간째 투여구(처리-1), 4, 5령의 48시간째 투여구(처리-2) 및 5령 72시간째 투여구(처리-3)의 3개 시험구를 설정하여 농도별로 피부에 침투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TP 처리는 산란성에 증대효과를 보였으나, 화용비율 및 발아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떨어지고 있었다.

  • PDF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on the Biochemical Changes in the Fat Body and Haemolymph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49-152
    • /
    • 2001
  •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with 10, 20 and 30 ${\mu}g$/ml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on the fourth and fifth instar bivoltine NB18 silkworm larvae Bombyx mori, on the glycogen and protein contents of the Fat body and trehalos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haemolymph has been studied. Glycogen content of the fat bod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ment groups except in the group treated with 30 ${\mu}g$ testosterone propionate where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in haemolymph trehalose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treated groups. Protein content of the fat body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and 20 mg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treated groups but in 30 mg treated groups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haemolymph protein content in all the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ed groups except in group treated with 10 ${\mu}g$ estradiol -17${\beta}$ where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of carrier control.

  • PDF

가축(家畜)의 번식효율증진(繁殖效率增進)을 위한 steroid hormones 의 효소면역분석법(酵素免疫分析法)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n enzyme immunoassay for determination of steroid hormones to improve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domestic animals)

  • 최한선;강병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1-615
    • /
    • 1993
  • 젖소에서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의 측정을 위하여 solid phase 효소면역분석법(酵素免疫分析法)를 개발하였다. 1차 항체로서 $11{\alpha}$-hemisuccinate-progesterone bovine serum albumin과 4-androsten-$17\;{\beta}$-ol-3-one-carboxymethyloxime bovine serum albumin에 대한 토끼 혈청(血淸)을 각각 항혈청(抗血淸)으로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서 면약 IgG를 사용하였다. Conjugates로서는 각각 progesterone-$11\;{\alpha}$-hydroxy-hemisuccinate-horseradish peroxidase와 4-androsten-$17\;{\beta}$-ol-3-hemisuccinate-horseradish peroxidase를 사용하였다.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에 대한 최저측정치(最低測定値)는 각각 6.7 pg/well과 1.0 pg/well이었다.

  • PDF

흰민들레 발효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개선에 대한 효과 (Effects of Fermented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 on Male Climacteric Syndrome)

  • 이학수;백연수;김예슬;김현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63-10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추출물(DE)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FDE)이 남성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22주령된 고령 흰쥐에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한 후, testosterone, SHBG, PSA, 체지방, 혈중지방, 근육량, 운동수행능력, 정자 수 및 정자 활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세포 실험을 통해 그 기작을 알아보았다. DE 및 FDE 투여 후 남성갱년기의 지표로 사용되는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고, testosterone 과 결합하여 생체 내 활성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립선에 대한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전립선특이항원(PSA)을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지방조직량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리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갱년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근육량 감소 및 체지방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estosterone의 감소에 흔히 동반되는 혈중지질대사 이상에 있어서도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시킨 것에 반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켰음을 관찰하였다. 강제수영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측정 결과에서는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수영시간이 증가하였고, 이는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의 투여가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총 정자 수와 활동성 정자 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자 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testosterone 농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동물실험 결과의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실험을 통해 testosterone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투여군에서 모두 증가함을 나타냄으로써, 추출물이 testosterone 합성을 직접적으로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결과로 민들레 추출물 보다는 발효추출물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발효 과정을 통해 민들레 유효 성분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발효에 의해서 증가하는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이 남성갱년기에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보였고, 이를 활용하여 남성갱년기 개선에 도움 줄 수 있는 소재로 개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estosterone RIA 검사 kit 별 유효성 비교평가 (The Validation of a Commercial Testosterone RIA Test Kits)

  • 류화진;신선영;조성욱
    • 핵의학기술
    • /
    • 제26권1호
    • /
    • pp.38-41
    • /
    • 2022
  • Testosterone에 대한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 검사는 남성의 사춘기 지연 및 androgen 결핍 시, 여성과 어린이의 경우 androgen 과잉(다모증) 및 내분비 치료 모니터링 시 시행된다. 현재 본원 핵의학 검체검사실에서는 testosterone RIA 검사를 A사 kit로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 RIA kit의 생산이 중단되거나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다른 회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testosterone RIA kit에 대한 유효성 평가 실험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2021년 10월 서울대학교병원 본원에 의뢰된 검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정밀도, 민감도, 회수율, 직선성, 상관성을 분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은 각 회사에서 제공하는 testosterone RIA kit의 매뉴얼을 준수하였으며, 검체의 양, incubation, 세척(washing)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다. 실험 결과 민감도, 직선성, 상관성 실험의 경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정밀도와 회수율의 경우 허용범위를 벗어났는데, 이는 낮은 농도의 검체로 실험을 진행하여 벗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 실험을 바탕으로 각 병원에서 사용 중인 kit가 생산이 중단되거나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상호 호환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실험에서 고농도의 검체로 실험을 진행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추후 검사실별로 다양한 농도와 고농도의 검체를 획득하여 추가적으로 실험을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의 성장과 사료섭취및 혈장내 성분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영향 (Testosterone Effect on Growth, Feed Intake and Composition of the Plasma in Rats)

  • 박항균;허린수;박수봉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89-194
    • /
    • 1983
  • Testosterone propionate가 체성장 사료 섭취량 및 plasma내의 Creatinine과 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후 3개월령된 숫 흰쥐 30마리를 대조구 거세구 거세한 후 1 mg, 2 mg. 3 mg, 4 mg으로 각기 호르몬을 투여한 처리구로 나누어 각 5마리씩 배치하여 체중측정과 사료섭취량은 6일간격으로 testosterone주입은 3일 간격으로 처리하고 성장천자(穿刺) 채혈하여 plasma를 분리해 내어 분석했다. 체중의 변화는 거세구가 대조구와 다른 testosterone처리구에 비해 증체가 둔화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각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전체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료섭취량의 증감과 증체량을 비교했을 때 부분적으로 평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Creatinine의 Plasma내 함량은 처리군간에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P<0.01)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거세구는 감소했고 testosterone처리구에서는 2 mg이상의 처리구에서 상승치를 보였으며 특히 4 mg을 처리한 구에서는 큰 증가를 나타내었다. Cholesterol의 Plasma내 함량은 처리구간에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P<0.01) 대조구와 비교해 볼때 거세구는 증가했고 testosterone처리구에서는 1mg 처리시 동일했으며 그 이상의 hormone 처리에서는 상당히 감소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