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ry work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9초

Multimorbidity and Its Impact on Workers: A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 Cabral, Giorgione G.;de Souza, Ana C. Dantas;Barbosa, Isabelle R.;Jerez-Roig, Javier;Souza, Dyego L.B.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4호
    • /
    • pp.393-399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wor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arried out in the databases Lilacs, SciELO, PAHO, PubMed/Medline, Scopus, Web of Science, and Cochrane. There were no restrictions regarding the year of publication or language to maximize the identification of relevant literature. The quality of studies was assessed by the protocol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Results: An initial database search identified 7522 registries, and at the end of the analysis, 7 manuscript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multimorbidity on the health of workers. For this, the number of missed days due to health-related issues was evaluated, as well as the reduction in work productivity of the unhealthy worker, vulnerability of the worker with multimorbidity regarding higher indices of dismissal and recruitment difficulties, and incidence of early retirement and/or receipt of benefits due to disabilities. Conclusions: Multimorbidity has a negative impact on work, with damages to quality of life and work productivity, worsening the absenteeism/presenteeism indices, enhancing the chances of temporary or permanent leaves, and lowering employability and admission of individuals with multimorbidity.

Descriptive Study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their Causes among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Workers at an Eight-year Period in Iran

  • Rahmani, Abdolrasoul;Khadem, Monireh;Madreseh, Elham;Aghaei, Habib-Allah;Raei, Mehdi;Karchani, Mohs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3호
    • /
    • pp.160-165
    • /
    • 2013
  • Background: Occupational accidents are unplanned events that cause damage. The socio-economic impacts and human costs of accidents are tremendous around the world. Many fatalities happen every year in workplaces such as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ies. Some electrical injuries are electrocution, electric shock, and bur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with rotational 12-hour shift work) in Iran during an 8-year period to survey descriptive factors of injuries. Methods: Variables collected included accident time, age of injured worker, employment type, work experience, injury caus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ther information about acciden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accidents occurred in summer, and 51.3% were during shift work. Worker negligence (malpractice) was the cause of 75% of deaths. Type of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ype of injuries (p < 0.05). Most injuries were electrical burns. Conclusion: High rate of accidents in summer may be due to the warm weather or insufficient professional skills in seasonal workers. Shift workers are at risk of sleep complaints leading to a high rate of work injuries. Acquiring knowledge about safety was related to job experiences. Temporary workers have no chance to work all year like permanent workers, therefore impressive experiences may be less in them. Because the lack of protective equipment and negligence are main causes of accidents, periodical inspections in workshops are necessary.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보건의료서비스의 여건변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the Services User's Perception by the Change of Social Condition in Healthcare Services)

  • 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76-3283
    • /
    • 2015
  • 본 연구 목적은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보건의료서비스의 여건변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전국 표본가구원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자료는 층화비례계통추출방법을 이용하여 37,648개의 유효표본을 추출한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는 남자에 비하여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둘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셋째,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넷째,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다섯째, 근로(고용)형태에서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상근근로자와 비교하여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여섯째, 동부 거주자는 읍면부 거주자보다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결론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은 보건의료서비스 여건변화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여건변화 지각이 수혜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 (The success and failure of non-regular workers' strugg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strength)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9-176
    • /
    • 2011
  •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계급 형성의 후퇴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과 함께 새로운 계급형성의 잠재적 주체로 등장했다. 하지만 주체 형성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투쟁은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어떤 변인들과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투쟁의 성과가 결정되는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규직 투쟁에 비해 비정규직 투쟁은 자본의 공세에 대응하는 수세적 방어적 성격이 짙고, 생산현장 접근성 제약으로 파업 투쟁 이외의 방식에 의존하며, 사측의 비타협성으로 인해 장기화되고,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극단적 투쟁 방식에 호소하며, 정규직 연대 확보가 어려워 외부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비정규직 투쟁은 승리보다는 패배, 조직력 강화보다는 약화로 귀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패배 경향성을 상쇄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주체들의 조직 동원 역량과 정규직 노조의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며, 강력한 사회적 연대나 위치적 권력은 정규직 연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쟁이 조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투쟁의 승리가 필요하지만 투쟁의 승리로 쟁취한 정규직화가 승리의 덫이 될 수도 있다. 정규직 노조의 연대와 투쟁 주체의 내적 통합은 비정규직 투쟁이 승리하고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쟁을 전개하는 부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조직력이 가장 강한 부분인데 이들이 투쟁 과정에서 조직력 위축 혹은 조직 와해를 겪으면서 비정규직 주체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하지만, 비정규직 투쟁이 없었더라면 자본의 공세가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정규직 투쟁은 적어도 자본의 공세를 약화 혹은 지연시킨 효과는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형 설정자 역할의 부담 속에서 강경투쟁 전략과 양보타협 전략 사이의 투쟁 전략 딜레마는 투쟁 주체의 분열을 심화하여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정규직 투쟁의 실천적 함의는 비정규직 투쟁의 궁극적 목표를 노동계급 형성을 위한 주체형성으로 재정의한다면 비정규직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당면 요구조건의 완전한 쟁취보다 조직의 보전 강화에 두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는 점이다.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공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lf Climbing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Building)

  • 최민우;노환길;이재용;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08-115
    • /
    • 2000
  • 최근 건축공사는 지가의 상승과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지하층 깊이의 증가와 초고층화 되는 추세에 있으며, 건축시공 기술의 발달과 관리기법의 선진화에 따라 신속한 공사진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기술과 관련시공법의 괄목할만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초고층화와 신속한 공사진행을 뒷받침하여 줄만한 적절한 가설기법의 개발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공사중에는 건축물 외벽부에 대한 적절한 가설설비의 뒷받침이 없으면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건축자재, 블록, 이물질 등이 낙하되어 분진 발생 등기 환경오염과 현장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추락재해와 같은 사고기 위험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진, 낙하, 추락, 보양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공사용 안전펜스공법(SCfence)을 제시하였으며, 이 공법은 건축물의 외측에 유도용 레일을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이 유도용 레일을 따라 안전펜스가 승강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건축물의 외부를 완전히 방호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안전성 확보와 원가절감의 효과가 기존공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병원의 비정규직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emporary Workers in Hospital)

  • 문영전;안인환;이용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0-144
    • /
    • 2007
  • In 1997, in the course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there was a significant phenomenon, the irregularization of human labour resources. There was no exception in hospital, either. Most hospitals put a lot of thought to solve the problem about irregular workers.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has been raised as a main topic of al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spect the actual state of irregular workers and to understand the positive effect of protecting irregular workers, recently established and revised, o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spitals. After enacting irregular labours protection act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labour rules of hospitals would be changed.(56.7%). The plan to solve irregular worker's wage issues would he carried out step by step, but some hospitals have not examined the plan yet,(81.9%). Many hospitals had a plan that irregular worker's wage would be actualized in two or three years.(78.3%)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arc as follows: 1) the introduction of functional wage system, 2) the convert from automatic rising wage system to annual wage system, 3) the incentive grade system according to management result, 4) lower functional group wage system, 5) non-term contract wage system. From the point of the opening medical market and securing competitive power of hospitals, it is prospected that irregular works would be increased also in future. So to manage irregular workers effectively would be essential in maintain hospital's competitive power and improve medical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 follow: (1) In hospital,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s was lower than that of all irregular workers in Korea. (2) In hospital, the wage level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irregular workers in Korea. (3) In hospital, the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ratio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all workers in Korea. (4) In hospital, there seems to be no appropriate and active measures to improve labour condition of irregular workers, yet. (5) In many hospitals, the policy of irregular workers would be expected to revised for the law standards.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irregular workers were proposed and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decisions-making in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when using human resources.

  • PDF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irst Job Exit)

  • 황광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41-7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직업력자료(1~12차 : 2007~2018년)를 이용하여 임금근로자의 첫 일자리 취업 특성과 지속기간 분포를 살펴보고,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을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상용직 근로자의 이탈 가능성이 임시/일용직 근로자에 비해 낮고, 전공일치도가 높은 집단은 전공불일치 집단보다 이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 취업자의 이탈 가능성이 매우 큼을 반증하고 있다.

  • PDF

고용불안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mployment Instability and Its Causes)

  • 남재량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111-139
    • /
    • 2005
  • 본 연구는 고용불안을 정의하고 실제 자료를 사용하여 이를 측정하여 고용불안에 대한 사실들(facts)을 찾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고용불안을 실직의 두려움과 재취업의 어려움으로 정의할 때 우리나라에서 고용불안은 외환위기 발생 전에 비해 2000년 이후 상당히 높아졌으며 이는 대부분 일용직 종사자 집단의 고용불안 증대에 기인한다. 이러한 고용불안의 증대는 고용의 소멸이 많아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창출되는 고용도 일용직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외환위기 하에서 대대적으로 실시된 공공근로 정책으로 일용직에 진입한 근로자들의 고용불안 증대가 노동시장 전체의 고용불안 증대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 PDF

화학 관련 산업의 중대 재해 원인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afety Measur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Leading to Serious Accidents Related to Chemical Industries)

  • 안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0
    • /
    • 2015
  • 화학 관련 산업에서의 중대재해 발생 사고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방호시설, 설비결함, 기인물 및 불안전 행동 그리고 고용형태 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학 관련 업종 중에서 화학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이 중대재해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특정방호시설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중대재해는 주로 임시직 및 일용직이 아닌 상용직 경력자들에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피해 형태는 주로 대형사고로 인한 4명이상 사망자가 발생하는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High-risk Groups According to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n Workers Aged 50 Years and Above

  • Yi, Kwan Hyu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2호
    • /
    • pp.184-191
    • /
    • 2018
  • Background: Due to an increasing number of workers aged 50 years and above, the number of those employed is also on the rise, and those workers aged 50 and over has exceeded 50% of the total fatal occupational inju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k groups necessary for an effective prevention against and reduction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k groups and the occupational injury fatality rate per 10,000 workers among the workers aged 50 and over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alysis by sex, employment status of workers, industry and occupation by targeting 4,079 persons who died in fatal occupational injurie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12. Results: The share of the workers aged 50 years and above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total fatal occupational injuries occurrence, and the high-risk groups include 'male workers' by sex, 'daily workers' by worker's status, 'craft and related-trades workers' by occupation, and 'mining' by industry. Conclusion: The most frequent causal object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of the workers aged 50 years and above are found out to be 'installment and dismantlement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on work platforms including scaffol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mobile crane, conveyor belt and fork lift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