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ure inversion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6초

고온에서 accumulation-mode Pi-gate p-MOSFET 특성 (High Temperature Characterization of Accumulation-mode Pi-gate pMOSFETs)

  • 김진영;유종근;박종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7호
    • /
    • pp.1-7
    • /
    • 2010
  • Fin 폭이 다른 accumulation-mode Pi-gate p-채널 MOSFET의 고온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사용된 소자는 Fin 높이는 10nm 이며 폭은 30nm, 40nm, 50nm 의 3종류이다. 온도에 따라서 드레인 전류, 문턱전압, subthreshold swing, 유효이동도 및 누설 전류 특성을 측정하였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드레인 전류는 상온에서 보다 약간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문턱전압의 변화는 inversion-mode 소자 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유효이동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Fin 폭이 감소할수록 이동도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곡률보상 기능을 갖는 0.35㎛ CMOS 저전압 기준전류/전압 발생회로 (0.35㎛ CMOS Low-Voltage Current/Voltage Reference Circuits with Curvature Compensation)

  • 박은영;최범관;양희준;윤은정;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7-53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0.35-{\mu}m$ standard CMOS 공정에서 낮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낮은 전원전압에서 동작하는 곡률보상 기능을 갖는 기준전류/전압 발생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weak-inversion 영역에서 동작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함으로써 1V 이하 전원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되는 곡률보상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의 곡률보상 기능이 없는 BGR 회로들처럼 종 모양이 아닌 사인 곡선과 같은 모양을 나타내 작은 TC 값을 보여준다. 제안된 회로들은 모두 0.9V의 전원전압에서 동작한다. 먼저, 기준전압 발생 회로는 176nW 전력을 소모하며, 온도 계수는 $26.4ppm/^{\circ}C$이다. 기준전류 발생 회로는 194.3nW 전력을 소모하며, 온도 계수는 $13.3ppm/^{\circ}C$이다.

  • PDF

반실험적 반전 방법을 이용한 이성분계 기체 혼합물의 점도와 확산계수 계산 (Calculation of the Viscosity and Diffusion Coefficients for Some Binary Gaseous Mixtures Using the Semi-empirical Inversion Method)

  • Rafiee, H.R.;Heidari, N.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81-589
    • /
    • 2011
  • 넓은 범위의 온도와 조성 하에 있는 벤젠-톨루엔, 벤젠- 페놀, 벤젠- p-자일렌의 이성분계 기체 혼합물에 대한 점도와 확산계수를 반실험적 반전 방법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점도와 확산계수에 대한 정확도는 각각 3%와 4% 이내이다.

Candelilla Wax Nanoemulsions Prepared by Phase Inversion Composition (PIC) Method

  • Kim, Eun-Hee;Cho, Wan-G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209
    • /
    • 2014
  • Candelilla wax-in-water nanoemulsions stabilized by Span 80/Tween 80 were prepared by the phase inversion composition (PIC) method. Stable nanoemulsions with droplet diameters below 50 nm could be formed when the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values were between 13.5 and 14.5, surfactant concentration was 5.0 wt%, and the surfactant-wax ratio was 1:1. Increased emulsification temperature and cooling rate were found to improve the emulsion properties. Process of PIC (adding aqueous phase to the wax phase) produced smaller droplet size nanoemulsion compared to the process of adding wax phase to the aqueous phase. The stability of these nanoemulsions was assessed by following the change in droplet diameters with time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sim}25^{\circ}C$). The size remained constant during 2 months storage time.

Cellulose acetate membrane preparation by phase inversion to estimate optimized parameters and its performance study

  • Katariya, Heena N;Patel, Tejal M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3권3호
    • /
    • pp.139-145
    • /
    • 2022
  • Development in advanced separation processes leads to the significant advancement in polymeric membrane preparation methodology. Therefor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acetate membrane by phase inversion separation method to determine optimized operating parameters. Prepared CA membrane's performance was been analyzed in terms of % rejection and flux.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 of different parameters such as polymer concentration, evaporation rate, thickness of film, coagulation bath properties, temperature of polymer solution and of the coagulation bath etc. CA membrane was fabricated by taking polymer concentration 10wt% and 11wt% with zero second evaporation time and varying film thickness over non-woven polyester fabric. Effect of coagulation bath temperature (CBT) and casting solution temperature were also been stu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SEM showed that the surface morphology had been changed with polymer r concentration, coagulation bath and casting solution temperature, etc. Lower polymer concentration leads to lower precipitation time giving porous membrane. The prepared membrane was tested for advanced waste water treatment of relevant effluent stream in pilot plant to study flux and rejection behavior of the membrane.

Decaying temperature and dynamic response of a thermoelastic nanobeam to a moving load

  • Zenkour, Ashraf M.;Abouelregal, Ahmed E.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3권1호
    • /
    • pp.1-16
    • /
    • 2018
  • The decaying temperature and dynamic response of a thermoelastic nanobeam subjected to a moving load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generalized theory of nonlocal thermoelasticity. The transformed distributions of deflection, temperature, axial displacement and bending moment are obtained by using Laplace transformation. By applying a numerical inversion method, the results of these fields are then inverted and obtained in the physical domain. Also, for a particular two models, numerical results are discussed and presented graphically. Some specific and special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current study.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I. 기온역전조건의 국지기온 보정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 Correction for Local Temperature under the Inversion Condition)

  • 김수옥;김대준;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6-84
    • /
    • 2013
  • 기상청 동네예보의 공간규모를 농촌현실에 맞게 상세화 하는 일은 농업기상정보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온역전조건에서 기상청의 중규모 기온예보를 집수역 내 지형특성이 반영된 국지기온예보로 상세화 할 수 있는 간단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지리산 남사면에 위치한 전형적인 복잡지형의 농촌 집수역($50km^2$)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2011년 10월부터 2012년 4월 기간 중 기온역전에 의한 냉기집적이 의심되는 62일에 대해 동네예보 0600기온자료($5km{\times}5km$ 격자)를 수집하였다. 여기에 단일집수역의 냉기호 및 온난대효과를 모의할 수 있는 소기후모형을 적용하여 상세격자($30m{\times}30m$) 단위로 표출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 설치된 무인기상관측기 12지점 자료를 이용, 보정된 0600 기온예보값을 검증한 결과, 기온역전일의 평균 ME는 ${\pm}1^{\circ}C$, RMSE는 $1.6^{\circ}C$를 보였다. 이 결과는 동네예보 경우(ME ${\pm}2^{\circ}C$, RMSE $1.9^{\circ}C$)에 비하여 지역적 편기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서, 찬 공기가 집적되는 저지대에서 더욱 개선효과가 컸다. 보정된 예보기온의 추정오차가 $2^{\circ}C$ 미만인 경우는 전체 기온역전일 중 80%에 해당하였으며, 절반 정도는 추정오차가 $1^{\circ}C$ 이내였다. 동상해 위험이 큰 기상조건에서 소기후모형에 의해 보정된 동네예보를 지역 내 각 농장에 제공할 경우 무보정 동네예보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동상해 위험의 조기경보시스템 실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남해의 수온역전현상 (Inversion Phenomena of Temperatur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희준;육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6
    • /
    • 1983
  • 1965년부터 1979년까지의 해양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남해에서 일어나는 수온역전현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역전현상은 여름보다 겨울에 6배정도 많이 일어난다. 2) 겨울의 경우, 남해 서부해역에서는 수온역전이 모든 수심에서 골고루 일어나는 반면, 동부해역에서는 주로 표층에서 일어난다. 3) 여름의 경우, 서부해역에서는 역전층이 주로 수온약층 아래에 형성되는 반면, 동부해역에서는 주로 표층에 형성된다. 겨울의 역전현상은 기본적으로는 표면 냉각효과에 의해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서부와 동부해역에서 역전층이 형성되는 수심에 차이가 있는 것은 쓰시마난류 영향의 정도가 양해역에서 크게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여름의 경우 서부해역에서는 쓰시마난류와 황해 저층냉수가 수온약층 밑에서 혼합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이고, 동부해역에서는 보다 수온이 낮은 물이 표층을 따라 유입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