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learning style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1초

교양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만족도와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 using e-portfolio in liberal arts programming classes)

  • 이영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5-5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교수-학습 활동 전반적인 과정을 데이터로 처리하면서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구성하고 활용하였다. e-포트폴리오는 교수자의 수업 계획부터 성찰의 전 과정을 지원하면서, 수업 운영 과정에서 학습자의 이해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온라인상에서 의사소통하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비전공 학생들이 어려워할 수 있는 교양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 기반의 학습 효과인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력 기반의 과제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e-포트폴리오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확대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컴퓨팅사고력 검사 결과와 함께 과제, 학업 성적 등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컴퓨팅사고력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 형태를 활용하여 비대면 교육을 실시한다면, 학생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하면서 비대면 교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조작활동 중심의 탐구형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활용 (Design and Applications of Inquiry-Style Geometry Program based on Operating Activity)

  • 권보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3-111
    • /
    • 2008
  • 초등학교 학생의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는 별로 없다. 본 논문는 초등학교 도형 학습에 있어서 도형의 개념을 확실히 인지시키기 위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은 구체물을 대신할 수 있는 조작활동 중심의 소프트웨어, 즉 컴퓨터 화면상에서 학생들이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익히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교수 학습용 자료가 도형 학습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것을 통하여 효율적인 도형 학습 지도 방안과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Delphi 기법을 적용한 심화형 정보 영재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ing the Enrichment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nformatics Education Using Delphi Method)

  • 박정선;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26
    • /
    • 2010
  • 우리나라는 아직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이 없으며 이는 주로 속진으로 운영되는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 영재 교육과정과 간학문간의 다양한 심화를 통한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개정 '정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정보영재를 위한 심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보' 교육과정 중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을 대상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육 평가 방법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1단계를 대상으로 3라운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화된 문항을 설계하였고 기술 통계를 사용하여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육 평가 방법에 대한 중요 항목을 선정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외식창업관련과목의 교육효과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Effects of Hybrid Style Problem-Based Learning in Food Service Entrepreneurship Subject - Focusing on Problem Solving Skills)

  • 신승훈;유동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53-465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그 성과를 검증받고 있지만 사회과학과 경영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연구가 진행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를 마친 후 외식창업관련과목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개발을 위해 교과목의 목표와 학생들의 외식창업관련 기초 지식을 점검하였다. 이후 문제의 개발과 시행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부분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하이브리드 형식의 문제중심학습을 진행하기로 하고 수업계획서, 문제의 생성과 적용, 평가과정에 대한 일련의 구성을 완성하였다. 교육 시행 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고 이들에게 각각 문제중심학습과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전과 후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일부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은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선행연구들과 함께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교과목을 위한 조교 챗봇 (Assistant Chatbot for Database Design Course)

  • 김은경;정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15-1622
    • /
    • 2022
  •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수법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인 플립러닝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플립러닝이 갖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선행 학습 시 발생하는 질문들을 실시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립러닝 방식으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교과목을 위한 수업 도우미 챗봇인 디비봇을 개발하였다. 디비봇은 크게 학습자용 챗봇 앱과 교수자용 챗봇 관리 앱으로 구성되며, 수업 운영 관련 질문과 학습 내용 관련 매학기 반복되는 질문처럼 교수자가 미리 예상할 수 있는 질문은 구글의 다이얼로그 플로우(DialogFlow)를 활용해서 답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관련된 질문처럼 교수자가 미리 예상하기 어려운 질문은 질의/응답 DB와 유사도 비교 알고리즘인 BM25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답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동화를 활용한 《중국어강독》 수업 방안 연구 - 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황지유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255-277
    • /
    • 2019
  • This paper presented a course plan based on the ideas I gained from conducting a lecture on Chinese language for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Chinese language department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paper, we sought to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teaching style and find ways for students to enjoy learning without difficulty in all areas by using the 'total language approach' such a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through reading skills. Therefore,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xpression of the 'Chinese Languages' class, and introduced the class stages and methods of progress. In other words, they suggested introduction of text plots, explanation of vocabulary and grammar, presentation of original text, questions about text, arrangement of words, ordering sentences to fit the plot, and understanding the plot while looking at the picture.

학습정서, 학습스타일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Emotion and Learning Style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munity)

  • 안효진;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3-89
    • /
    • 2021
  • 본 연구는 학습정서, 학습스타일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함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변인은 예비유아교의 학습공동체 참여역량, 예비유아교사가 학업수행할 때 경험하는 정서(긍정정서, 부정정서), 그리고, 학습스타일 (학습태도, 학습동기, 교육내용, 교수방법)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먼저 예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역량은 예비교사들의 학습스타일 중 분석적 학습태도, 학습동기, 교수방법에 있어 토론 및 토론유형을 선호하는 정도, 실험 및 실습 유형을 선호하는 정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학습정서의 하위범주인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와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습정서의 하위범주인 부정정서, 학습스타일 중 학습동기, 교수방법유형 중 실험 및 실습유형을 선호하는 정도, 분석적인 학습태도, 그리고 교육내용 중 전공학문을 지향하며 그 중요성에 가치를 두는 정도는 예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역량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현장이 단순히 전공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공동체참여역량을 갖출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 Comparison of Korean EFL Learners' Oral and Written Productions

  • Lee, Eun-Ha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2호
    • /
    • pp.61-85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Korean EFL learners' speech corpus (i.e. oral productions) with their composition corpus (i.e. written productions). Fou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mposition corpus was collected through a writing assignment, and the speech corpus was gathered by audio-taping their oral presentation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indicate that (i) As for error frequency, young adult low-intermediate Korean EFL learners showed high frequency in determiners (mostly, indefinite articles), vocabulary (mostly, semantic errors), and prepositions. The frequency order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speech corpus and the composition corpus; and (ii) When comparing the oral productions with the written productions, there we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the contents, a style (i.e., colloquial vs. literary), vocabulary selection, and error types and frequenc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proficiency in oral presentation of EFL learners at this learning stage heavily depends on how much/how well they are able to write. In other words, EFL learners'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re closely co-related. It implies that the teacher does not need to separate teaching how to speak from teaching how to write. The teacher may use the same methods or strategies to help the learners improve their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skills. Furthermore,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teach writing before speaking since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write than speak in the EFL contexts.

  • PDF

산학 연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AI 패션 큐레이션 실습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Fashion Curation Practice Subject through Industrial-academic Project-based Learning)

  • 안효선;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7-346
    • /
    • 2021
  •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ashion students are expected to work with various technologies to show creativity. This study aimed to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PBL) in collaboration with industry experts to design and operate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the practice subject of fashion curation through the industrial academic teaching method. We first looked at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incorporating PBL in various academic fields. Next, we analyzed fashion projects and fashion curation services applying AI. Then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method and by consulting with industry experts, we developed a curriculum for AI fashion curation, applying PBL(fashion market and trend analysis; new styles and time, place, and occasion planning; AI machine learning data set production; curation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conditions, and fashion students. As part of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industry, we conducted a 15-week Fashion Project II (Capstone Design) course and evaluated the outcome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new style, and time, place, and occasion categories and to utilize strategies for AI fashion curation services reflecting the uniqu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successfully applied PBL in class using AI technology in fashion education.

FCA 개념 망에 기반을 둔 적응형 학습 시스템 (Adap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Concept Lattice of Formal Concept Analysis)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79-493
    • /
    • 2010
  • 지식기반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이-러닝은 매우 보편화된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닝의 주요 연구 분야 중의 하나는 학습자의 다양한 상황들을 반영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특징에 맞게 학습내용을 지원하기 위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적응적 학습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CA의 개념 망을 기반으로 온톨로지의 접근 방법과 목적은 같이하지만, 특정 영역의 학습에 적합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고 쉽게 자신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영역에 존재하는 학습객체와 학습개념들 사이의 연관 관계에 따라 이들을 개념 망 구조 안에 자동으로 계층화한다. 또한 학습자의 지식수준, 학습선호도, 학습스타일 및 학습개념의 학습상태에 따라 개념 망 학습구조를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