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efficacy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9초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은정;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70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예비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PCK와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교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학생 또는 교육대학원의 가정교육전공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PCK 하위범주 중에서는 내용지식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표현 지식과 내용 지식이 많을수록 가정교과의 교수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높을수록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식도 자기 효능감의 두 변수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학년, 교직진로선택 여부,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에 따라 PCK와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학년의 PCK와 교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3, 4학년으로 갈수록 오히려 PCK와 교수 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을 고려하지 않을수록 PCK와 교수 효능감이 높았으며,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는 PCK와 교수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기관에서의 학생들의 교수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사로서의 진로를 선택할 경우 진로를 위하여 준비할 수 있는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실연과 교육 실습의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 MTEBI 한글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Translate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ventory)

  • 량도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3호
    • /
    • pp.263-272
    • /
    • 2007
  •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ventory (MTEBI)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conducted among Korea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Korean-translated MTEBI consists of two subscales with 16 items. Personal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MTE) subscale has 10 items and Mathematics Teaching Outcome Expectancy (MTOE) subscale has 6 i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reliability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translated MTEBI.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Korean-translated MTEBI and its two subscales are respectively .87, .83, and .74 which imply that the instrument is reliable. The construct validity was achieved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solution with varimax rotation for the Korean-translated MTEBI was used in factor analysis and thus the best fit simple structure was obtained by two factors which correspond to the self-efficacy dimension and the outcome expectancy dimension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 PDF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 인수정;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9-3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1년간 수행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이 무엇인지 개별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하는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은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각 단계에서의 효능감은 수업 관리 효능감, 교수 전략 효능감, 교과지식 효능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 개요 설정 효능감', '과학 실천 간 논리적 조직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적절한 발문 계획 효능감', '과학 실천을 하는 학생에 대한 이해 효능감'이 포함되었으며, 교과 지식 효능감에는 '교과 지식 및 과학 실천 이해 효능감', '핵심 개념 설정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과학 탐구 수업 수행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별 시간 배분 효능감', '과학 실천 교실 문화 정착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동기 부여 효능감', '과학 실천 적응적 교수 효능감', '능동적 사고 기회 제공 효능감', '과학 실천 별 논의 참여 독려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참여도 평가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으로 교과 지식 효능감은 언급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과학 교수 개인효능감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 한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87-69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day-care setting.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76 day-care teachers in rural area of ChoongCheongNam-Do.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day-care teacher. The instrument were Rigg & Enochs(1990)'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Kim(l998)'s scales for the Goa1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teachers' education, in-service science workshops, science book reading, science-related hobby but not with teachers' age, pre-service science credits and tot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2.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science activity area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However, location of day-care center, age of children, number of children, teacher-child ratio, facilities for science education and scheduled time for science education did not affect it. 3. Day-care teachers of high content- and process-oriented goal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ere highly efficacious teacher, while the teachers of low content- and process-oriented perspectives gained the lowest score. However, the content-oriented teachers and the process-oriented teachers did not differ in terms of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 PDF

Rasch 모형을 활용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및 수정: 개인 효능감 요인을 중심으로 (A Psychometric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Using the Rasch Model: Focusing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 황성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BI)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탐색하고 한국 초등 교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게 측정 도구를 수정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MTEBI 중 개인 효능감 요인만을 분석하였다. 299명의 초등 교사들의 설문자료를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일차원성 가정, 응답범주 적절성, 문항 난이도 적절성, 분리지수와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점 범주로 된 13개 문항은 심리측정적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 분석에서 5점 범주 대신 4점 범주로 수정하였으며 5개의 문항을 삭제한 후 8문항을 사용해 심리측정적 특성을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측정 도구는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에 대한 개인효능감을 타당성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추가 논의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Science Teaching Practi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by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임청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8-27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3개 공립 초등학교에서 12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와 과학 교수 효능감측정 도구를 투입하였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을수록 점차 증가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발달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 둘 사이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특징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수업의 초기에 수업 목표와 학습 문제를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려고 노력하며 수업의 각 과정에도 재인식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기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이 있고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수업에 관련된 그 외의 분야에도 지식이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

영아 수학적 탐색활동 지원을 위한 구성주의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수학지도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Infant's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on Variables Related to Infant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 고은지;김지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05-120
    • /
    • 2020
  • This study helps infant teachers practice a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infant mathematical inquiry activities and examines improvements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wenty two experiment group infant teachers and twenty two comparison group infant teachers were chosen at two workforce educare centers. The experiment group infant teachers participated in 18 sessions of a constructivism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8 weeks, but the comparison group infant teachers did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for the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mathematical interactions,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in the experiment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were tested using Windows SPSS statistics 21.0. The homogeneity test for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NCOVA was carried out after the pretest score was controlled as a co-vari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infant mathematical inquiry activities influenced improvements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prov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theory content for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bout infant teaching of mathematical initiatives and practiced a program of exploration, investigation, application and assessment for infant teachers. The results can help infant teachers teach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help activate infant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이주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6명이다. 연구대상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총점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교수몰입이 교수효능감 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Moderates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 유승희;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9-6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 및 강원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500명에게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수효능감의 측정을 위해 Luo(2000)의 도구를 정정희(2001a)가 수정, 번안한 영유아교사용 수학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태도의 측정을 위해 Smith(2000)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측정을 위해 홍희주(2012)가 개발한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를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한다. 즉,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을 경우 수학적 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혀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