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problems in common scienc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고등학교 '공통 과학'의 지도 실태 (The state of the Art of Common Science Teaching in High School)

  • 김영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0-213
    • /
    • 2000
  • 교육부의 제6차 교육 과정 개편과 더불어 모든 고등 학교의 필수 교과로 도입된 공통 과학이 현재 고등 학교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조사해 본 연구이다. 그 결과 3.2%의 학교에서만이 교사 1인이 담당하고 있었고 나머지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담당 과학 교사의 전공별로 각 단원을 분담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이 경우 각 단원에 통합 과학적인 요소들이 많아서 애로가 많음을 토로하고 있었으며, 시간표상에 배치된 공통 과학이 다른 학과목과 같이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학습 주제를 해결하기엔 시간이 너무 짧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또한 공통 과학을 위한 전문 실험실이 없고 담당 학생수가 너무 많아서 고민하고 있었다. 또한 공통 과학의 지식 편은 강의식 학습으로, 탐구 편은 탐구 학습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지식편인 경우, 객관식 또는 주관식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탐구편인 경우, 학생들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공통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보통을 넘지 못하고 있어서 과학에 대한 흥미 도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본래의 의도에서 빗나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공통과학 및 Science-Technology-Society에 대한 인식도 조사 -광주 직할시 및 전라남도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mmon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On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in K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 김영성;이문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0-34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common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education movement which are concerned in newly reformed 6th curriculum. These data were obtained by the survey of 291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for the workshop of the common science in Kwangju city and 120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for the workshop of the common science in Kwangju city and Cholla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y responded that the physics is more closely subject for the common science and thereby it could be charged for the common science by teacher of physics. 2) The 96.90 percent of the respondents (B-group) have confidence with teaching common science subject. 3) They favored that a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STS Thoughts is added last part of each chapter, last chapter or adequately introduce to each teaching. 4) They are not concerned about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common science and each science contents (A-group:74.58 percent, B-group:78.35 percent). 5) They wondered about the various items of teaching and the lack of scientific surrounding Knowledge for solving problems. 6) They responded that if the common science are implicated into the current high school, the sciences will become a interesting. 7) Before the common science have become established, they was demanded a improvement of currently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 PDF

과학교육에서의 상황 관련 연구에 대한 개관과 분석 (Review and Analysis of the Studies on Contexts in Science Education)

  • 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3-28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 of context in science education. Firstly, studies on context and context effects in science education (and also those related in cognitive psycholog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topics concerning science learning, such as deductive reasoning and probabilistic judgement, controlling variables, scientific inquiry skills, memory and consistency of misconceptions, selecting cognitive strategies and problem solving, achievement and momentum effect, and interest, religion and culture. Secondly, the common problems appear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ies were discussed, such as (1) how to define contexts?, (2) how to classify contexts?, (3) how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contexts? and (4) how to explain the context effect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studies on the problem of context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cent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misconception studies, STS science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to science teaching.

  • PDF

간호기록을 이용한 한방 간호 실무에서의 간호 문제에 대한 조사 연구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Nursing Documentation)

  • 황지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66-70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Nursing documentation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during three months.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ere mapped in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Data were summari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patients using nursing documentation.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as 204 with a mean of 1.9 per patient. The frequently occurring nursing diagnoses were 'risk for trauma' (48.0%), 'pain' (13.7%), and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7.8%).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the safety component (51.5%) was the most common nursing problem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e study finding suggested that major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were related to patient safety. Therefore, oriental nursing education on patient safety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생물영역에서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관심도 조사 (The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rn Levels on Decision-making Problems based on Biology)

  • 홍정림;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 영역에서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의 관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학적 지식이 관련되는 문제에서 학생의 의사결정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공통과학의 교육과정과 교수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탐색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도구는 5점 척도의 리커르트 타입 24문항으로 구성된 것으로 연구자에 의해 개발되었다. 조사 결과 가장 관심도가 높은 문제로는 '학습 방법 선태하기'였다. 또한 '운동' 이나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하기와 같이 개인적으로 당면한 문제나 '소음 기준안' 결정하기, ' 뇌사' 나 '인공 중절' 에 대한 찬 반의견 결정하기와 같은 사회적으로 쟁점화된 문제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았다. 개인적 상황의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사회적 상황의 관심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남학생의 관심도는 'AIDS', '쓰레기 소각장'원자력 발전소'.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에 대한 보호 대책 '소음 기준안'의 문제에 대해서 여학생의 관심도 보다 높았다 (p<0.05). 또한 '환경 및 생태계 오염' 영역의 문제들에 대한 관심도에서 여학생 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여학생은 '다이어트', '대리모' 문제에서 남학생의 관심도 보다 높았다. (p<0.05) 분석된 결과의 합의를 교수 전략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PDF

고등학교 생물과 교육 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 Korea)

  • 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7
    • /
    • 1978
  • First: The common points from "syllabus" period to that of "Course of study" are as follows: 1) with no introduction explained. the "Syllabus" or "Course of study" was made to be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allotment of time (unit). 2) To teach how to rear animals and grow plants, and to make specimens with collected samples formed a great significant field of learning, which meant giving more emphasis on learning classification, life-centered education and basic field of learning than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3) The reason why the field of applied biology was emphasized on was that both periods had ideals in Common to educate persons more necessary and useful to the society than to major the pure academic field. 4) Both periods mainly dealt with problems of diseases, and physical health discussed all over the world in 1950's which accounts for necessity of the society to free from ignorance. Second; "The first curriculum period" and "the second one" are observed as follows: 1) The former took the unit (credit) system for the first time. It tried to lay down the conceptual hierarchy with "Biology I" and "II" divided, while "Biolgy I" is better systematized than "Biology II". 2)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and structure fo knowledge are put more emphasis on especially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3) And also in this period are included serious problems such as urgency of pollution, importance of nature conservation,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ird; With the recent curriculum laid down, experiments and teaching contents of subjects are put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process of Inquiry is laid emphasis 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et up conceptual sequence and scope effectively in the curriculum.

  • PDF

효과적인 지리 교수.학습을 위한 유추의 이해와 활용 (The Use of Ana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 이종원;함경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34-553
    • /
    • 2011
  • 유추는 익숙한 문제(바탕문제)의 해결방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문제(표적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추적 사고의 관점에서 지리적 문제상황을 새롭게 인식하고, 나아가 지역학습, 그래픽을 활용한 문제해결, 사례학습을 통한 개념/기능 습득에 유용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추의 의미를 파악하고, 유추 관련 이론들을 통해 유추의 발생 매커니즘과 성공적인 유추적 문제해결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유추 아이디어는 지역학습을 조직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 내용지식과 시 공간적 사고를 동시에 요구하는 공간적 유추는 영역특수적 문제해결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갖고 있다. 둘째, 그래픽을 활용한 문제해결의 전이를 의미하는 표상전이는 정보의 시각화, 공간화를 필요로 하는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표면적으로는 다르지만 공통의 내적구조를 갖는 유사한 사례들을 제시한 후 비교 분석하게 하거나, 가교 역할의 사례를 제시하는 방법은 지리적 개념, 기능의 습득에 유용하다. 결론에서는 유추 관련 지리교육 분야의 연구 주제와 이러한 연구가 갖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사서교사 주제 학술논문의 연구 성향 분석 (A Diagnostic Study of Research Trends of School Library and Teaching Librarian)

  • 유사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81-201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들에 대해 새로운 접근 방향을 유도하고 실질적 해결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지난 36년간 해당 주제의 논문 심사를 거친 182편의 학술지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 경향성과 특징 그리고 과학적 연구방법의 준수 여부 등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제시된 핵심 결과는 첫째, 연구자들이 갖고 있는 관심과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 시각은 전반적으로 실태조사나 현상파악에 집중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위한 기준들을 준수하고 있는 논문의 비율이 낮아 과학적 연구로서 한계성이 크다. 연구자는 현재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양적 증가를 필요로 하는 환경이 아님을 지적하며 미래 연구주제로서의 질적인 측면의 문제접근 방향과 연구자들의 시각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심성함양으로서의 수학교육 - F. Klein의 함수적 사고 교육을 중심으로 -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Mind - Focused on the Functional Thinking by F. Klein -)

  • 우정호;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3-357
    • /
    • 2007
  • 오늘날 수학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학교수학의 인간교육적 기반을 회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학을 가르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보다 근원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요구된다. 본 논문은 생활의 문제 해결이나 과학 기술을 위한 유용한 도구적 지식교육을 지향하는 오늘날 수학교육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마음의 중층구조 이론에 비추어 이론적 지식 중심의 수학교육의 의미를 분석적으로 논의하고, 과거 교육사상사에서 수학교육이 어떤 인간교육적 이념을 추구해 왔는지를 Platen과 Froebel의 교육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20세기 초수학교육 개혁운동을 선도하여 현대의 수학교육 천학 및 수학 교육과정의 기본바탕을 제시한 F. Klein의 수학교육론을 고찰하였다. 특히 Klein의 수학교육 사상의 이면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기 위하여, '마음의 중층구조'에 비추어 그의 수학교육론을 심성함양이라는 측면에서 재음미하였다. 또한 Klein의 수학교육 이념에 대한 보다 발전적인 논의를 위하여 Klein 이후 수학교육 발전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심성함양으로서 '함수적 사고' 교육에 대한 발전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 실용적 가치 추구로만 여겨졌던 오늘날의 수학 교육과정의 이면에 심성함양으로서의 인간교육적 가치가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수학교육은 그러한 가치 추구를 중시함으로써 심성함양에 기여해야 함을 논하였다.

  • PDF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 윤남희;손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63
    • /
    • 2018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통해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고,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단계에 따라 통일교육지침서와 통일교육 선행 연구, 북한이탈주민 관련 선행 연구와 2015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추출한 뒤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고, 두 차례의 전문가 집단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 개발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목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남북한 생활문화의 차이를 존중하고 공동의 가치를 발견하며, 통일사회에서의 발생 가능한 실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로 선정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내용 체계는 '생활문화 중심의 통일교육'을 핵심주제로 선정하고 내용 요소들은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남북한 소비생활환경의 이해, 남북한 생활문화 관련 언어, 북한 음식을 포함한 지역별의 식생활 문화의 다양성 유지, 사회적 규범과 옷차림, 올바른 주거가치관과 공동주거생활 예절의 6가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앞서 도출된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셋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교수 학습 과정안은 통일에 대한 문제 인식하기,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하기, 행동의 결과 및 파급효과 파악과 대안적 방법 선택하기,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하기의 4가지 주제를 포함한 총 8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35개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