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erception

검색결과 1,112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 교사의 교수매체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media)

  • 박혜진;차승봉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5-85
    • /
    • 2024
  • This study explored the overall perception of teaching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138 pre-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and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eaching media were explored. In the reflection diary,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write down examples of appropriate use of instructional media and the effects of their experiences, cases of inappropriate use of instructional media, and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spects of teaching media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were that it presented examples that could help understanding, aroused curiosity to focus attention, and encouraged participation to motivate learning. Second, the negative aspects of teaching media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include cases where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containing learning content is excessively long and the content of the video is unclear or is higher than the learner's level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ing media and their desirable use methods.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 석민철;류호섭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1-30
    • /
    • 2014
  • In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are related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chool life. But, we don't have study what teachers think of their enviroment of school.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with overall physical environment and their assessment of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82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67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Busan. Teachers' satisfac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 and their assessment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sonal attributes and school conditions. 1) Most of the surveye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overall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assessed high the substantiality of functional spaces indoor and outdoor. By sub-factor, however,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as lower than that with education and living environment. 2)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optimal number of classes was 30~36, and this is probably because they were relatively accustomed to large scale schools. 3) As might be expected, negative assessments were more frequent among teachers working at a large-scale school, an old school, or a school with small outdoor sp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ough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gender,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condition, teachers' satisfaction with school environment was relatively high. This sugges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ir current school environment positively.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that have been maintained.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토 내러티브 방법을 이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Using the Photo-narrative Method)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4-14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포토 내러티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포토 내러티브는 연구참여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을 사진을 찍어 설명하는 방법을 말한다. 연구참여자는 초등 예비교사 66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을 설명하기 위해 현상, 원리와 같은 과학적 용어뿐만 아니라, 사람, 생활, 일상과 같은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사진에는 생활용품, 자연현상, 첨단기기, 생물 등이 있었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을 학문과 지식, 탐구, 편리함, 과학의 본성 등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을 생활과 밀접하고 필요한 학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번 연구결과가 앞으로 초중등 과학교육의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내용 편성은 물론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중·고등학교 과학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Comparison betwee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 조현준;양일호;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2호
    • /
    • pp.103-120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중요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과학교사용과 학생용 설문지를 개발한 후 각각 중학교 교사 108명, 중학생 109명, 고등학교 교사 104명, 고등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결과를 수집하였다. 설문 결과는 절대순위 응답분석 기법을 통해 처리되고 비교되었다. 분석 결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험목적에 대하여 중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탐구능력을 선택한 반면, 중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선택하였다. 또한 응답빈도의 집중경향도 교사들은 과학탐구능력이라는 특정 항목에 집중적으로 분포한 반면, 학생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집중된 경향이 교사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인식과 달랐고,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유아교사의 교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연구: 배경변인, 발달단계, 책무성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Kindergarten Teachers'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 Focused on Background Variables, Development Stage, and Perception of Accountability)

  • 김순남;최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76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변인 및 발달단계, 교사에 대한 책무성 인식이 교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24명의 공 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면에서 교사들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교직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면에서 교사들은 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교직 적응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이 6-10년인 교사와 11년 이상인 교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 면에서 4년제 대학 졸업 또는 대학원 이상 교사들이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보다 교직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입문수용 단계에서 벗어나 능력구축 단계와 열중성장 단계에 있을 때 교직 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의 책무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직 적응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교직 책무성 하위영역 중에서는 전문적 책무성이 교사의 교직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An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 송향근;양순임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113-139
    • /
    • 2017
  • Since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herein after "Act ),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studies on measuring whether the Act played a huge role in providing Korean education. This can be confirmed by many, that the Act has indeed played a huge part in provi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little attention was given to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s provided by the Act. Therefore,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an insight to teacher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will test whether such perception meets the standards in which the Act has been enacted. In this survey, we have received response on the importance of each domain and subject in the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view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revealed the importance in the following order: Teaching Practice, Korean Linguistics,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General Linguistics, and Korean Cultu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current curriculum, laid out by the Act, to be reconsidered to stress different levels of importance and time assignment for each category. The survey analysis shows the disparity in importance within the curriculum between the Act and the views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l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this area of research will be instrumental in determining the suggestive shapes of the curriculum governed by the Act in the years to come.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Related Career and Career Education)

  • 이현이;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50-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관련 진로교육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교사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동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Child Daycare Teachers' Role Percepti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in Children)

  • 백성희;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53-264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보육교사 180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78.9%는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었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지식 정답률은 52.3%, 실천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감염예방을 위한 손씻기 및 위생관리법, 감염성 질환차단방법, 감염성 질환별 관리 및 간호법, 감염성 질환별 증상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대상자들의 역할인식은 그들의 지식과 교육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육교사 대상 감염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김지영;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3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제를 조사하고,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내용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2세를 담당하는 영아교사 205명이다. 연구도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적용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