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0.13.2.134

An Analysis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Using the Photo-narrative Method  

Lim, Sung-ma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3, no.2, 2020 , pp. 134-1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 perception of 'science'. Especially, this study used photo-narrative method to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Photo-narrative is a way of describing what a study participant wants to say by taking a picture. Participants were 6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sed many words such as people, life, everyday as well as scientific terms such as phenomena and principles to explain science. Secondly, the pictures us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explain science included household goods, natural phenomena, advanced devices, and living things. Thir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xplained science with knowledge of science, knowledge, convenience, and nature of sc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not only to curriculum composition and curriculum cont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but also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 training.
Keyword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science education; perception of science; photo-narrative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경희(2017). 멘토링 참여 경험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51-960.   DOI
2 김동렬(2015).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9(1), 1-14.
3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4(1), 1-8.
4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5 김효남(200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1-8.
6 김효남(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 41(1), 97-118.
7 김효남, 명전옥(2009).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29-50.
8 박성혜(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1):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9 박성혜(2001).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사교육, 18(1), 123-150.
10 백성혜, 남초이(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과학철학, 13(1), 83-106.
11 송명섭(2016).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과학.수학 교육연구, 39, 179-210.
12 송진웅(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13 유은영, 조형숙(2012).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399-420.
14 윤석진, 박현주(2012).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 및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교사교육연구, 51(1), 29-40.
15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아동의 과학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64-180.   DOI
16 이경하(2016).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549-572.
17 이기중(2011). 사진인류학의 연구방법론. 비교문화연구, 17(2), 125-162.
18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19 이지현(2009).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 40(1), 1-33.
20 이은영, 박선영(2014). 은유를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8(5), 247-270.
21 임성만(2018).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에서의 과학적 사고력과 감성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7), 341-350.
22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2008).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1-8.
23 장명덕(2018).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55-62.   DOI
24 장현숙, 이현주(2011).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사가 되고자하는 동기와 교사상에 나타나는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4-31.   DOI
25 조태호(2001). 텍스트 마이닝의 개념과 응용. 지식정보인프라, 5, 76-85.
26 Book, M. L., & Mykkanen, J. (2014). Photo-narrative processes with children and you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Youth and Family Studies, 5(4.1), 611-628.   DOI
27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8 Finson, K. D. (2002). Drawing a scientist: What we do and do not know after fifty years of drawing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7), 335-345.   DOI
29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0 Langa, M. (2010) Contested multiple voices of young masculinities amongst adolescent boys in Alexandra Township, South Africa.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Mental Health, 22(1), 1-13.   DOI
31 Niess, M. L., & Scholz, J. (1999). Incorporating subject matter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to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Gess-Newsome, J., &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257-276).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32 Lederman, N. G., Abd-EI-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DOI
33 Lincoln, Y. S., & Guba, E. 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4 Moletsane, R., De Lange, N., Mitchell, C., Stuart, J., Buthelezi, T., & Taylor, M. (2007). Photo-voice as a tool for analysis and activism in response to HIV and AIDS stigmatisation in a rural KwaZulu-Natal school.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Mental Health, 19(1), 19-28.   DOI
35 Noland, C. M. (2006). Auto-photography as research practice: Identity and self- esteem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Practice, 2(1), 1-19.
36 Ucar, S. (2012). How do pre-service teachers' view on science, scientists, and science teaching change over time in a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1, 255-266.   DOI
37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DOI
38 임희준(2013).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7(3), 538-549.
39 Carlson, E. D., Engerbretson, J., & Chamberlain, R. M. (2006). Photovoice as a social process of critical consciousnes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6), 836-85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