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employment tes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Students' Expectation for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Role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4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72명의 공업계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하여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43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전공 이론교과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가장 원했으며, 선호하는 실습 수업방식은 학과 계열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실습 수업시 안전지도 방법으로는 선생님께서 수시로 지도해 주는 방법을 가장 원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생활지도시에 인성지도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하였으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으로 차별하지 않고 대해 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상담 주제로서 진로를 가장 원했으며, 상담시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였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학급경영시 화목한 학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길 가장 희망하였으며, 교사가 학급과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운영해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해지는 방법으로 학생들과 편하게 자주 농담을 하는 방법을 가장 희망하였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진로지도 내용으로는 취업과 진학 모두이었으며, 취업을 위한 상담시 학생들의 적성을 가장 고려해 주길 희망하였으며, 취업지도시 직업에 관한 정보를 가장 얻고 싶어 했다.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Identifying the Best Approach to Revitalize High School Culinar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 강경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37-161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thods with which to revitalize Korean high school culinary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a culinary recognition questionnaire survey of 616 students from 9 culinary high schools was carried out. The 9 surveyed schools represented the following of 7 regions: Chungnam, Busan, Incheon, Daegue, Jeonbuk, Gyeongbuk, and Gwangju.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x^2$-tes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versio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ulinary practice interest and learning demand of most students were high. 6.8% of students indicated that initial theory learning, followed by video education, and finally live demonstr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They preferred practicing on actual ingredients as the prim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nominating technician cooking as the most favorite. As for areas needing improvement i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ifficulties with material preparation and insufficient learning hours were identified as prominent factors by 66.8% of respondents. There was unanimous agreement that culinary practice education can be enhanced by highly skilled teachers, while interest for the discipline itself can be fostered by initiating and encouraging cooking participation in the home. Freshmen and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suggested that a cooking related website is necessary to expand the current information interface,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colleagues and employers. In relation to culinary education revitalization, consistent promotion of departments, or high schools that have proven student satisfaction rates and effective culinary curriculum are required. Furthermore, teachers can also aid this process by more effective student pastoral care in order to improve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teacher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process, and better employment conditions and remuneration packages reflecting extra work must be considered as part of an attractive teacher-incentive employment policy.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집단 특성 변화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89-14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what were characteristics of main group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wa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were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nd what were prospect on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s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ere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 reasons of reducing on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policy of employment reinforc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government. The next reason was increasing students who want the next stage of education not requiring results of the CSAT. Leading group of reducing on applying for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fine grade group. Prospect on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was maintenance on the minimum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the CSAT, after lasting of reducing state.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수산·해운 선택과목 응시집단 특성 변화에 대한 전공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n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Group for the Elective Subjects of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in Vocation Education Division CSAT by Fisheries and Shipping affiliate Teachers)

  • 박종운;류대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84-19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that the Fishery and Shipping Department teacher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notic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 pool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Test(CSAT) since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SAT in 2005. In addition, surveyed data from the study is highly desirable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s for the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in the CSAT.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solid improvement on the selection of questions for the CSAT but also facilitates in the process of writing contemporary and relevant exam questions. The survey included 76 Teachers from 12 High School of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in the CSAT after 2010 is due to the new governmental policy that encourages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s to find employment rather than pursuing further education. Second, the biggest group of students who forgo taking the CSAT after 2010 is those with high marks at school. Third, prediction of outcome after declining to take the person for the time being would be kept to a minimum sustained was staring personnel at some point.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Accreditation Experience -Focused on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s-)

  • 조현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1-324
    • /
    • 2011
  • 본 연구는 1차 평가인증지표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인증 경험에 따라 평가인증의 운영과 제2차 평가인증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차 평가인증에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X^2$ 검증,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인증통과 후 사후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서만 나타났다. 인증경험이 없는 교사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인증경험이 있는 교사는 '보육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은 보육환경 영역의 '예술활동자료', 운영관리 영역의 '보육시설의 운영방침 및 정보 안내', '원아에 대한 관리', '종사자의 근로계약', 건강과 영양 영역의 '식자재, 조리 및 배식과정의 위생적 관리',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보호', '영유아와 종사자의 건강관리', '영유아를 위한 간식', 안전영역의 '영유아의 안전한 인계과정' 항목에서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실현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인증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7-5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 교과교육학지식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부족한 부분, 즉 교직이 완전한 전문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보완해야할 부분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 방안을 고찰하였다. 동료교사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6명의 교사들은 과학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과학 내용 지식,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에 대한 지식,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 등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고유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교과교육학지식, 즉 사회의 일반 구성원들이 교사가 소유하고 있기를 기대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을 학생 이해 자체를 목적으로 한 교사의 체화된 지식이며, 과학교사들이 나름대로 지니고 있는 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알아듣게 가르칠 것인가들 오랫동안 고민한 결과 축적된 노하우라고 설명하였다. 과학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문제점이나 부족한 부분으로 책임을 묻지 않는 시스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외부의 인정과 요구 결여, 동료의식의 부족,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된 폐쇄성, 업무량 과다. 관리자의 경영 능력이나 목표 의식 부재, 교사 자격시험의 신뢰도와 타당도 부족,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처우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딥 러닝 기반 대학 이수학점 및 활동에 의한 교원임용 후보자 경쟁 시험 합격여부 예측 (Deep learning based teacher candidate acceptance prediction using college credits and activities)

  • 김근호;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17-922
    • /
    • 2019
  • 최근 교사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모든 학생들이 교사에 진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교원임용 후보자 경쟁시험이라는 시험을 통과하여야한다. 그러나 인구수 감소에 따른 임용T.O는 매년 줄어들고 있고 경쟁률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사정이다. 때문에 입학하면서 임용시험에 매진하고자 대학교가 학문을 연구하고 배우는 곳이 아닌 시험을 위한 거대한 학원이 되어가는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점뿐이 아니라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및 스터디그룹 활용 여부 등을 종합하여 딥 러닝을 이용한 교원임용 후보자 경쟁시험 합격여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합격에 대하여 학과활동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고 합격률 예측에 대한 정확도는 대체적으로 70%의 정확성을 보였다.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First Major Area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 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122-13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육학 교수 1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인공지능 등과 같은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전문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내용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문항수 증가를 통한 실질적 공정성과 타당도 제고, 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제고, 10년 정도 주기로 표시과목 업데이트 등이 제안되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과학교육학 문항 유형에 대한 연구·개발, 교과교육학을 논술형으로 출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표준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의 경우 사범대학과 자연대학의 커리큘럼 차별화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같은 교사양성체제 개혁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Listening Strategy Use of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 Lee, Jung-S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1호
    • /
    • pp.165-190
    • /
    • 2011
  • This research investigates listening strate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of strategy and listening proficiency of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One hundred and four middle school students (N = 1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strategy use was assessed through a questionnaire adapted from Oxford's (1990) SILL and O'Malley and Chamot (1990). To measure listening proficiency,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Test designed by 15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was used.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employed a moderate use of strategies; compensation strategie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used the least frequen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of implicit strategy among different listening proficiency groups, but not in their use of behavioral strategy.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implicit memory, cognitive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mong groups of students with different listening proficiencies, but not in their use of metacognitive strategy.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implicit strategy us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explore the effect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 PDF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93-105
    • /
    • 2009
  •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pedogogical content knowledge) tends to guarantee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CK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research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PCK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3 knowledges which consist PCK; knowedge of mathematic content,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ing. Then this study provided some examples of PKC in the topic, the limit of sequences, and introduced the LMT and TEDS-M item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teacher's PCK.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tems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dministe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based on P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