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guide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열린 질문''에 대한 고찰 (On the Open Ques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홍갑주;박정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425-438
    • /
    • 2010
  • '열린 질문'은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중요한 특정이다. 본 연구는 개정 초등 3, 4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검토하여, 현행 열린 질문 제시 방식과 그것이 가정하고 있는 전제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열린 질문의 제기 맥락, 표현 형식, 배치 등 열린 질문의 내용과 구성상의 몇 가지 구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열린 질문과 관련된 후속 논의의 쟁점을 열린 질문의 의미, 교사를 위한 지침, 교사와 교과서의 역할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 PDF

상호증류를 통한 SRGAN 판별자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SRGAN's Discriminator via Mutual Distillation)

  • 이여진;박한훈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60-165
    • /
    • 2022
  • 상호증류는 교사 네트워크 도움 없이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에 지식을 전달함으로써 협력적으로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지식증류 방법이다. 본 논문은 상호증류가 초해상화 네트워크에도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상호증류를 SRGAN의 판별자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상호증류가 SRGAN의 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험 결과, 상호증류를 통해 판별자의 지식을 공유한 SRGAN은 정량적, 정성적 화질이 개선된 초해상화 영상을 생성하였다.

초등학교 빛과 그림자 단원에 적용한 인지 가속 수업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ed to Unit of 'The Light and Shadow' in Elementary School)

  • 정순화;김선자;박종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3호
    • /
    • pp.321-33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ed to the unit, 'The Light and Shadow' in elementary school. Two classes of the second grade elementary students (N=63) in Chungcheongbukdo districts were assigned to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each, and were taught about 'The Light and Shadow' for 8 class hours. For the treatment group,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by this research was applie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by textbook and teacher's guides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test for concept of the shadow and the 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about the unit. As the result of the post-test,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delayed-post-test for concept of the shadow.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students' gender, instruction and pre-level for the concept of the shadow.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for the concept of the shadow in the area of object permanence. Our research work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lesso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for concept of the shadow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s the necessity for this kind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the fields.

  • PDF

고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 Centering on Robot, New Materials, Space Exploration)

  • 최유현;임윤진;노준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5-219
    • /
    • 2013
  • 이 연구는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주제로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과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 주제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학생용 교재 체제, 교사용 지도서 체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재는 현장적용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그 결과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의 세 주제에 대한 10차시 분량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발전략, 학생용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체제를 마련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방안과 적용 결과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섭입경계에서의 마그마 형성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on the Magma Formation in the Subduction Boundary)

  • 박경은;안건상;임동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2-23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21종의 과학 교과서와 지도서에 나타난 섭입경계에서의 마그마 형성 관련 내용에 대한 본문 진술과 제시된 그림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간 마그마의 정의에 일관성이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마그마의 생성기원에 관한 과학적 개념 진술이 정확하지 않거나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들은 본문 내용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판구조론과 섭입경계에서의 화성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형성에 부족하고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마그마의 생성기작(형성과정), 기원물질, 생성위치와 관련된 것들로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섭입경계에서 분출되는 대부분의 중성마그마가 쐐기맨틀의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Reaching Beyond the Science Education Guidelines: Project-Centered Approaches

  • Son, Yeon-A;Shin, Young-Joon;Lee, Yang-Rak;Choi, Don-Hy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47
    • /
    • 2004
  • Two project-centered secondary school programs were studied as part of an effort to elucidate successful components for science reform-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s for Exciting Science (TES), and Foundational Approaches in Science Teaching (FAST) programs in Korea and U.S., respectively, are project-centered programs because their curricula are centered on the activities initiated and engaged in by the students. Students serve as principal investigators in their projects, and teachers serve as guides. Both programs were analyzed based on criteria such as curriculum design, teaching, lives of students, lives of teachers, evaluation of program, from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In the programs, teachers and students directed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and their implementation. Students assumed teacher roles as mentors of other students. And emphasis was 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student-delivered talks and written pap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s educators and scientists. Participation in TES stimulated secondary school student interest in science, encouraged inquiry thinking, increased achievement in learning science, and promoted better awareness of science related to real life. FAST students practice laboratory and field techniques, experimental design, hypothesis formation, generaliz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research as academic and applied disciplinarians. These project-centered programs have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field, lab, and classroom curricula for secondary science education. Comparison of these program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identifying key elements instrumental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uidelines for science education, as measured through successful outcomes.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스토리텔링 분석 - 3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orytell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Grade Three)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41-1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학년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였다. 스토리텔링은 메시지, 갈등, 등장인물, 플롯으로 구성되는데 이 구성요소들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학습 내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특히, 갈등이 분명하고 클수록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이 학습과 문제해결에 적극 참여할 것이다. 3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은 대체로 메시지는 불분명하고, 갈등은 대부분 없거나 궁금증이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정도이고, 등 인물의 성격이 불분명하여 그로 인한 갈등이 없으며, 플롯은 개연성이 부족하였다. 수학교과서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재구성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Skills and Educational Settings in Implementing a Problem Based Learning Approach)

  • 최현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4-345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초등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참가자들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문제중심학습을 강의하는 강사로 활동중이었다. 초등학교 교사 3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획득되었다.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교사들의 면담은 두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1) 문제중심학습에서 요구되는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 (2)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보다 수업 준비와 교수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사들은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우미로서 행동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잠재능력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를 위하여 교사는 문제중심학습 전체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위하여, 교사들은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교육 행정가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교사들의 커뮤니티 형성해야 한다. 문제중심 학습의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직접적으로 교수 활동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해 보는 것이다. 문제중심 학습을 하면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이러한 효과를 경험한 교사는 교수학습과정에 문제중심학습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설계 (A Study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sson Plans for Math Underachievers with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87-311
    • /
    • 2022
  • 본 연구는 가설학습경로와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기반으로 초등예비교사가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춘 수학 수업을 설계한 사례를 활용한 연구이다. 가설학습경로는 계열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과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추어 도움을 제공해야 할 때 그들의 현재 이해 및 발달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반응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때 의사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는 수업을 설계할 때 수업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잠재적 장벽을 제거하여 모든 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안내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가설학습경로를 생성하게 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수업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업안에 나타난 가설학습경로의 특징 및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학수업 설계 경험의 필요성과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업설계에서 가설학습경로 및 UDL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과서 학습 주제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분석 및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 - '지구와 우주' 영역 단원을 중심으로 -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alyses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by Learning Topics of Science Textbook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Analyzing Activity)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4-2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3~6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와 우주' 영역의 8개 단원 각 학습주제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특징 그리고 이러한 분석 활동의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가한 예비교사들은 분석 대상 총 59개 학습주제 모두에 대해 교사용 지도서에 명시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보다 훨씬 더 다양한 하위 요소를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예비교사들의 응답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중 '호기심', '개방성', '증거의 존중'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도 가능성을 보인 반면에 '실패의 긍정적 수용', '비판적인 마음', '판단의 유보'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한 3~4학년군 학습주제와 5~6학년군의 학습주제 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수나 하위 요소의 응답률 순서 모두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교과서 속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에 대한 이해 증진, 과학 수업 맥락에서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이해·적용 안목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