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정신지체아의 운동놀이 프로그램 (Movement Play Program of for the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 라기용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2호
    • /
    • pp.116-132
    • /
    • 2002
  • In the management of the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hysical therapist is challenged to use various skills. The many complex and persistent difficulties encountered by retarded children often require innovative methods physical therapy. These methods must incorporate not only he basic principles of physical therapy,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s they relate to the mentally retarded person. Movement Play needs to parents and other professionals requires not only technical expertise on the part of the therapist, but also psychosocial skills and the ability to be a sensitive listener and teacher. We can help the mentally retarded child strive to attain goals in life.

  • PDF

비행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Improvement Effects for Flight Training Quality)

  • 강달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88
    • /
    • 2020
  • Currently, flight training is not only a technical instruction that teaches maneuvering operations, but has expertise equal to that of general disciplines. Therefore, flight instructors must have academic knowledge and flight skills. As flight instructors are the first teacher in flight training for students who have never experienced actual flight control, the behavior of flight instructors will affect the students' flight education. Therefore, the influence of flight instructors for students are quite large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instructional behavior were determined, and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al behavior of flight instructors were confirmed through students' survey. Improvements were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survey results. For the follow-up analysis, improvements were applied to the flight instructors for 8 months, and then re-question was conducted to the sam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first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results before and after through a paired t-test.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 (The study about perception level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informatics teacher in the secondary school)

  • 최지영;장윤재;김자미;유승욱;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식기반의 일환으로 현재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여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하위범주를 6개 영역으로 나누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31개의 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여 현직 중등 정보교사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내용지식(PCK) 영역 전체의 평균 점수는 3.87이었다. 또한, 경력에 따른 중등 정보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은 교육과정 지식에 대해서 10년 미만인 교사 집단과 10년 이상인 교사 집단이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PDF

AHP를 이용한 사서교사의 북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Analysis of Priorities for the Provision of Book Curation Service by Teacher Librarian Using AHP)

  • 김미정;이병기;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03-324
    • /
    • 2020
  • 본 연구는 큐레이터와 사서교사의 직무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내용과 영역을 설정한 후, AHP(Analytic Hierarchy Progress) 방법을 통해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큐레이션 서비스 영역을 계층별로 나누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AHP 방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 영역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위계층의 우선순위는 정보서비스, 전문성 신장, 정보 자원, 경영, 홍보 및 마케팅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계층의 우선순위는 조사 및 연구, 질의응답, 자기계발, 전시, 예산편성, 전문가 연계, 트렌드 분석, 독서교육, 인적자원, 기획, 협력수업, 마케팅 서비스, 소장, 온라인 홍보, 오프라인 홍보, 시설 및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특성 파악, 북큐레이션을 위한 분류기준의 설정, 독자 참여형 북큐레이션 서비스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교실의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 오정숙;오세희;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781-80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opera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type is preferred on the operation type for after-school computer class?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the adequacy of contents for after-school computer class?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instructors' expertise? Fourth,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s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Finally,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facilities/ equipment and evaluation system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To figure out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82% of respondents preferred to have after-school computer class operated by outsourced agency. Second, overall, the perceptions about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were positive: The adequacy of contents, instructors' expertise, the effects, facilities/ equipment and evaluation system are seen as mostly positive. Third, its differences between school self-operated computer class and private sector computer class were insignificant. Fourth, its differences among various sizes of the school were significant. The implementa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was considered as more positive in small schools. Finally, researcher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plan considering school sizes for mor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 조은별;이선영;신종호;홍윤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초등학교 과학 교사가 인식하는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CK, Grit,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채유정;이기영;박재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9-402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CK를 수업 지식 영역과 수업 실행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두 가지 영역을 외생잠재변수로 설정하여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에 교사의 그릿을 외생잠재변수로 추가하여 수업 지식, 수업 실행, 그릿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수업 실행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수업 지식은 수업 실행과 비교하여 교수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그릿은 모두 교수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수업 실행과 교수 효능감 사이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을 강화하는 방안과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그릿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 김희경;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 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 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 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 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 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무리 지수를 갖는 수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a number with irrational exponent)

  • 이헌수;박형빈;배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23-339
    • /
    • 2011
  • 지수법칙에서 지수의 확장은 정수의 계산규칙과 마찬가지로 대수적 형식 불역의 원리에 의한 확장적 구성을 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현행 교과서에서는 지수가 자연수에서 정수, 유리수, 실수 범위까지 확장할 수 있다고 기술하면서 학생들에게 지수가 실수로 확장해도 지수법칙이 성립함을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수법칙의 확장에서 유리수 지수나 무리수 지수의 값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이 지나감으로 인하여 학생들은 이러한 값이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많은 의문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질문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세한 답변 대신 현행 교과과정 밖의 내용이므로 대학가서 배운다라는 답변으로 그 질문에 대한 답올 대신하곤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수법칙의 확장에 대한 학생들의 궁금증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지수법칙의 확장 단원에 대한 현행 고등학교 수학 I 교과서를 분석하여 지수법칙의 확장에 대한 학생들의 궁금증의 원인을 찾고, 지수법칙의 실수로의 확장에서 학생들이 자주 갖는 의문인 무리 지수를 갖는 수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여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한국 교사의 국제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An Analysis of Korean Teachers'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 Systemic Review)

  • 이현주;이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20-3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국제 교육개발협력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협력을 강화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시대에 교사 및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systemic review)을 위해 8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고, 최초 검색된 논문은 2,945편이었으며 검색전략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개발협력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은 개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지식과 교수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DA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현지 분석과 역할 수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과 유아교육에서는 개도국과 한국의 교육과정과 제도 등을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 ODA 관련하여 예비 현직 퇴직 교사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교원들의 지속성 있는 교육개발협력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SDGs 시대의 성공적인 교육개발협력을 위하여 한국 교사들의 전문성 강화, 현지에 대한 분석과 이해, 취약 계층의 보편적 교육에 대한 개발협력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