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change

검색결과 566건 처리시간 0.031초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n experienced teacher through research community activities: focusing on task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mathematical creativity)

  • 문성재;노정원;노예솔;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45-5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연구공동체 활동이 개념 지도와 수학적 창의성에 관한 교사 전문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연구공동체 활동은 교사가 개념 지도와 수학적 창의성 촉진 모두에 의미 있는 개선을 시도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59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식인 TPACK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하였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 발달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자아효능감 변화를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두 집단의 예비 교사에게 기존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 발달에 효과적이었다. 세부 영역에서는 예비 교사의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가 기존 프로그램보다 유의한 향상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보다 예비 교사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사례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0-343
    • /
    • 2009
  •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The Change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Mentoring)

  • 이송연;민희정;원정애;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1-64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의 PCK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 교육실습 전 후의 멘토링 과정을 통해 예비화학교사의 PCK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를 멘티로 선정하고, 화학교육과 교수 한명을 멘토로 선정하였다. 예비교사의 PCK를 분석하기 위하여 멘티의 수업과 멘토링 과정, 면담 녹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 전 멘티들은 거의 모든 PCK요소에서 부족함을 보였다. 이는 그들이 수업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필요성을 알지 못했고, 배운 지식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멘티들은 멘토링을 통해서 PCK를 발달시켰다. 이 연구는 예비 교사들을 위한 대학교육에서 교육 실습 전 후에 잘 구성된 멘토링을 통해 예비교사의 PCK를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9-177
    • /
    • 2020
  •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교사의 수업 설계 능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을 수행한 후, 계획하였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재구성함으로써 나타난 수업 설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도입단계의 학습동기 유발, 전개단계의 학습내용 제시, 정리단계의 형성평가에 대한 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재구성한 내용의 범주는 교과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설계 및 수행의 경험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의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9-281
    • /
    • 2016
  •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교 보건 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우선혜;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72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by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The study subjects were 40 nursing students working in department of nursing K Univ. in C city.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method. The results were from the protocol 980 significant statements and organized into 240 formulated meanings. From formulated meaning 89 themes were identified, organized into 18 them clusters, and then into 16 categories. The nursing students took part in the practice with (expectation and readines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linical practice, expressed wonder at the school which had progressed much more than their primary schools used to be. They said that they began to feel (Fatigue and stress), and that experienced tension for the lack of nursing knowledge and skill during the health education and clinical treatment activity.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ambivalence of satisfaction and something wanted', that is to say, they could have done better by means of video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The 10-day-school health practice brought about the change in( the image of teacher) and (cognition about the nursing teacher's role), made the students have(love to the client) and (desire to be nursing teacher), and then turned out experience benefical enough to be expressed 'satisfaction' However, they pointed out many problems in (School Eniviroment), (Clinic), (Physical assessment), (Recording and reporting), so they had a chance to apply the school nursing process to the school. The professor should play the role of promoting the learning through the field practice and providing the stimulant of learning to help the learner get as much from the field situation as they could.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students always have a chance to exchange actual affairs and educational study, and that the concrete discussion and continuous cooperation be done. The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mote the ability of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s experienced themselves.

  • PDF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Qualitative research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W education)

  • 이정민;김소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9-53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소프트웨어를 원활히 운용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갖추는 것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개정 2015 교육과정으로 공교육에 체계적인 SW교육을 도입하여 필수화하였고,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교과에서 SW교육이 내년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SW교육이 학교현장에 체계적으로 안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지도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정부는 '2018년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이 추진되더라도 현장에서 교수 학습방법 개선 등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뒤늦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의 변화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변화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경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학습사례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 (Changes in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01-123
    • /
    • 2022
  •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의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교사 또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연구의 내용과 결과들을 예비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그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적었으며,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적인 수업을 진행했을 경우보다 실제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같이 했을 때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Mathematical Giftedness and the Need of Mathematics Specialists in Elementary Grades

  • Pandelieva, Valeri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9-270
    • /
    • 2008
  • The change of the developed countries to highly technological societies continuously requires that they nurture and use the full potential of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alented people. As this is a process that should start early in order to be efficient, the main responsibility of identifying and addressing the specific needs of these people is assigned to public school systems and, in particular, to elementary teachers. In this regard, three significant areas of concern arise and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 The complexity in identifying mathematically promising and mathematically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b) The highly responsible and difficult task for elementary teachers to differentiate and serve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within an inclusive classroom; and (c) The need of teachers with specialized training and mathematics knowledge in pre-high school grades. The last one should be considered predominantly as a logical consequence of the first two. The main goal and, henc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is crucial necessity of mathematics specialists and to advocate for a change in this dir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