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interest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교 일정성분비의 법칙 수업에서 나타난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그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 (Orientation toward Teaching of Science Teachers Showed in Lesson on Law of Definite Composition in Middle School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Its Formation)

  • 김진희;최병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03-11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일정성분비의 법칙 수업에서 드러난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 참여한 과학 교사 8명의 수업을 녹화 및 분석하고 면담, CoRe 질문지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의 활동으로부터 그의 과학교수 지향을 알아내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각 교사의 교수지향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사들의 교수지향은 크게 활동 지향과 강의 지향으로 구분되었으며, 활동 지향은 다시 탐구적 혹은 비탐구적, 강의 지향은 상호작용 중심 혹은 내용전달 중심으로 범주화 되었다. 과학교사들의 교수지향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은 수업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교육환경에 대한 고려, 학습자로서의 수업 및 연수내용, 교사 자신의 흥미와 호기심이었는데, 그 중에서 수업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교사 자신의 흥미와 호기심은 제한적이지만 긍정적인 과학교수 지향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교육환경에 대한 고려는 다른 요인들과는 달리 교사들의 과학교수 지향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대학이나 대학원에서의 수업 내용 및 현직 교사를 위한 연수 내용은 과학교수 지향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으나, 주로 교과내용 지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 김은형;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48
    • /
    • 2008
  • 최근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태도가 초등학생들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은 수학에 대한 학습태도가 확고히 굳혀졌다기보다는 학습 상황과 주변 여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을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고 수학 성취도에 따른 주요 요인의 차이를 연구하여 부정적인 수학 학습태도에 대한 해결책 모색과 긍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시키는데 시사하는 바를 알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형성 요인들을 분류하여 분석한 후 성취도별 주요 요인을 비교하였다. 그래서 초등학생들은 수학교과 자체 특성보다도 교사의 수학 수업방식에 따라 학습 태도가 좌우되었고, 시험불안의 경우 시험에 대한 부모님의 태도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학생들도 수학만을 집중해서 가르치는 사교육의 영향이 컸다. 또한 성취도에 따라 주요요인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성취도 '중'집단의 경우 부모님의 태도 및 학습 환경 등 외적인 요인에 의해 수학 학습태도가 크게 좌우되었다.

  • PDF

플립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론 수업 적용 (The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Lecture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 전영주;윤마병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99-507
    • /
    • 2016
  • 예비과학교사 교육에서 강의식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들에게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을 시도했다. 플립러닝 교수-학습 원리를 일반적인 수업모형(ADDIE)에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했다. 개발된 플립러닝 학습 자료와 수업 설계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과 타당도 검사를 통해 CVR .75 이상으로 검증 받았다. 플립러닝 수업자료를 과학교육론 강좌에 적용하여 교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는 이전의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30% 이상 떨어졌고, 학업 성취도 향상에 대한 자기 확신도 부족했다.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자-학생 간 의사소통과 개별화 수업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해야하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선행학습 동영상 자료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미국 edTPA 평가에서 요구하는 예비 수학 교사의 전문적 역량 분석 (Insights from edTPA in the United States on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권오남;권민성;;문진;정원;조항윤;이경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11-236
    • /
    • 2023
  • 이 연구는 미국 예비교사 교육 양성 과정에서 활용되는 edTPA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예비 수학 교사의 인지적인 차원의 지식 개발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을 바탕으로 상황적 차원의 영역까지 고려한 전문적인 역량을 진작시키는 것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edTPA 평가는 예비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수행하는 수업에 기초한 수행 기반 평가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예비 수학 교사가 참여하는 edTPA의 사례가 상세히 서술된 편람을 검토하여 예비 수학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역량에 대해서 분석한다. edTPA 평가는 수업 설계, 실행, 평가 과제로 구성되어 있고, 수업과 연계하여 지속성 있는 평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수업 설계, 실행, 평가 과제 서술에서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의 연계가 되는 지점과 그 연계로부터 요구하는 전문적인 역량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edTPA 편람을 분석한 결과 edTPA 평가에서 예비 수학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역량은 특정 수학 수업 차시에 대한 초점화 및 이행 역량, 특정 수학 수업 차시 실행 및 평가의 성찰적 이해 역량, 학생들의 언어 및 표상 사용,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학생 성취의 점진적인 판단 역량이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 예비 수학 교사 교육과정 및 실습학기제 운영에서 평가하는 역량의 구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중학교 통합학급에서 과학 수업 중 정신 지체 학생의 학습 활동 분석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Inclusive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장상경;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7-491
    • /
    • 2009
  • 정신지체학습들의 과학학습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통합학급에서 정신지체학생의 과학학습을 분석하였다. 힘과 파동 관련 내용에 대한 12차시 수업을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통합학급의 일상적인 과학학습 활동의 공유 수준을 '소외', '지연', '동조'로 구분하였을 때 공유 수준에 따라 정신지체 학생이 학습 참여도의 변화를 보인 사례들이 많이 나타났다. 과학학습 활동의 공유수준이 '소외'나 '지연'인 상황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학습참여도가 초반에는 적극적 참여를 보였으나 후반에는 소극적이거나 형식적 혹은 비참여로 변화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과학학습 활동의 공유 수준이 '동조'인 상황에서는 정신지체학생이 과학학습 참여도가 증가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교사중심활동과 학생중심활동에서 과학학습 활동의 공유 수준의 전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사례가 있었다. 교사중심활동에서는 활동의 흐름이 단일하게 나타나 정신지체학생의 과학학습 활동 공유수준이 '지연'일 때 보충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 '소외'되는 결과가 보였다. 학생중심활동에서는 구성원마다 과학학습 활동의 흐름이 다르게 나타나 정신지체학생이 '지연'되더라도 '동조'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또한 교사중심활동에서는 교사의 반복된 언어와 구체적 그림이 제시될 때, 학생중심활동에서는 동료들과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적절한 중재가 있을 때 정신지체학생이 '동조'되었다. 정신지체학생의 과학 학습의 질적인 참여와 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활동의 공유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적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과학연구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Regarding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 김성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hool teachers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perception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16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ying in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science research ethics awareness, 2) status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3) needs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4)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interest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p<0.05). In degree of awareness of science research ethics, plagiarism (M=3.9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ree-riding(M=3.78), the scientist's social responsibility(M=3.71), and forge(M=3.61). In response science research ethics problem occurs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more than the average(M=3.39). Teacher's response on the teaching of science research ethics ranges from 3.02 to 4.47, but each science research ethics elements was showed a large devi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needed(M=4.34).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Eighty-five percen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Discussion-type classes with examples' was preferr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teachers need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training'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중학교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s based on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Arts & Culture)

  • 배현영;이혜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79-9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improvement in clothing life education through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lothing lif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s based on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arts & culture. On the basis of art &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Dewey's experience, the clothing life area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the 2nd year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50 students of 9 2nd year classes in M middle school during the 17 periods of clothing life area classes, beginning from May 23rd, 2011 and lasting to September 30th, 2011. The leaner-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level of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measur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 mind-map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a learning effect survey, which evaluat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lass observation, classes were film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 class were recorded on a teacher's diary and was used to support the qualit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ducation program is analyzed as being helpful and useful in student understanding of fiber, textile and, clothes, which are materials and outcomes of culture and art; moreover, they have a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 in themselves. It is also analyzed as being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aesthetic sensibility and emotion, for the construction of meaningful experience through a learning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interest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learning effect.

Cases of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92
    • /
    • 2003
  • This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s unique features of seven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escription of excellence in effecti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ill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quired inservice initiatives and support systems for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practicing classroom supervision, (2) participating in voluntary communities of teachers, (3) playing instructional leader rol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4) continuing one's studies at a graduate school.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exemplary teachers was that they can both articulate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ir perspectives. These exemplary teachers not only improve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but also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professional communities to share their practical knowledge with their colleagues. The teachers have formed special-interest groups to investigate better ways of science teaching. They also took an active role i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Teachers' quality practices lie at the heart of classroom change. However,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re must be a support system that sustains and encourages teachers' initiatives.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system to encour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re discussed.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 임여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1-3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학습만화 열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위한 첫 걸음으로 어린이들의 독서 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들은 대체로 학습만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 "학습적인" 학습만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학습만화가 또래에 비해 읽기능력이 뒤쳐지는 어린이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교사 모두가 학습만화에 대한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있었다.

평가기준 활용을 통한 수준별 학습자료 구안.적용이 수학과 학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signing and Applying the Level-Based Learing Materials by Assessment Standards on the Achievement Enhancement of Mathematics Course)

  • 이종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475-487
    • /
    • 2000
  •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test against the learning activity that used the learning materials designed by level, significant disparity was found. Thus, it was found that hte effect of this learning activity became more visible with lapse of time. But the major cause by which there appeared small significant disparity as a result of testing is that the units of experiment were limited and that the period of using the learning materials was not long. In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interest test, the experimental class also appeared to show the average score tha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lass by 0.10 after converting a decimal point. The outcome of attitude test was that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by 0.11, as a result of converting a decimal point,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lass. So, a large number of students showed an improved reaction. But, there seemed some problems of the learning materials or the method of progressing the activity in changing under achievement students or students who avoided studying math. When the effect of the level-based learning activity was investigated, more than 80% of the experimental class’s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hus, it could be judged that students, who felt some burden at studying math, might be served more largely, not by teacher’s uniform instruction, but by an individual learning using the level-based learning materials that enabled them to do a systematic self-learning for themsel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