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volatile compound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Green Tea during Growing Season at Different Culture Areas)

  • 이주연;왕려비;백주현;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6-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차이, 그리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주와 전남지역에서 재배한 차의 생엽을 시기별로 채취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SPME를 사용하여 포집, 흡착하여 GC, GC-MS, GC-O, 그리고 retention time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분의 양은 수분함량을 고려한 건조함량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엽이 78-80%, 건조엽이 3.20-4.98% 정도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흡착에 사용되는 SPME 방법은 이전의 여러 방법에 비해 분석시간이 짧고 본래의 향이 아닌 방해성분의 생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ME fiber는 7.4%의 높은 재현성을 가졌으며 표준물질(ethyl n-heptanoate)의 내부표준법에 의한 재현성 결과에서는 불안정한 peak area값(RSD 30.5-98.7%)을 가져 3.47%의 재현성 결과를 가진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을 비교한 결과, 5월에 채취한 생엽의 휘발량이 가장 많았으며, Group I과 Group II 향기특성의 함량비율이 균형적이었다. 휘발량이 가장 많았던 5월에 채취한 생엽을 제주와 전남의 재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주 성분은 Z-3-hexenal, linalool, E-2-hexenol, n-hexanal, Z-linalool oxide, myrcene, benzyl alcohol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채엽 시기가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향기가 다른 녹차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녹차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녹차잎분말을 이용한 마루판의 유해 TVOC 제거효과 (Scavenging Effect of Injurious VOC from Flooring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포름알데히드방출이 적은 페놀수지 사용 메란티합판을 마루판용 대판으로 사용하고 북미산 벚나무 단판을 표면재료로 사용한 마루판의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및 도료에 녹차잎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마루판으로부터 방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과 포름알데히드의 감소효과와 녹차잎 분말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였다. 1) 녹차잎 분말의 폴리페놀화합물량은 9.85%였다. 2) 녹차잎 분말은 FT-IR 결과 벤즈알데히드와 에틸헥사알콜과 반응하여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페놀수지메란티대판에 벚나무단판오버레이 마루판 제조를 위한 접착제와 UV도료에 전건중량기준으로 2.5%의 녹차잎 분말을 각각 첨가하는 것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제거 효과가 매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L 소형챔버법에 의한 녹차잎 분말 2.5%를 접착제와 도료에 각각 첨가한 온돌용 마루판의 7일째 TVOC는 $0.089mg/m^2hr$이고 포름알데히드는 $0.001mg/m^2hr$를 나타내 최우수등급으로 나타났다.

Gel형 인화성 용제 Compound의 특성 (Properties of Gel-like Compounds Containing Flammable Solvents)

  • 강영구;김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4-100
    • /
    • 2003
  • Gel-like compounds containing flammable solvents were prepared to use fur cleaning agents in field of innovative industries and general purpose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defects of liquified flammable solvents from the view point of safety and health hazards. Flammable solv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veral single component flammable solvents(turpentine oil, N-methyl-2-pyrrolidone(NMP), d-limonene) and multi component flammable solvent(gasoline and ethanol). For gelation of flammable solvents, commercially Known as Aerosil(equation omitted) 200 fumed silica and triethanolamine(TEA) were used as gelation agent dispersant. The analyses on properties of gel-like compounds was studied by gelation and viscosity test pH test, volatility test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measur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gel-like compounds containing flammable solvents have pH stability, high viscosity,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control by the decrease of volatility and odor component generation, fluidity control etc. From the experimental valu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afety in the working place is improved by manufacturing flammable solvents into gel-like compounds.

A Review of Withering in the Processing of Black Tea

  • Deb, Saptashish;Jolvis Pou, K.R.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4호
    • /
    • pp.365-372
    • /
    • 2016
  • Purpose: Tea i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drink worldwide, next to water. About 75% of the total world tea production includes black tea, and withering is one of the major processing steps critical for the quality of black tea. There are two types of tea withering methods: physical and chemical withering. Withering can be achieved by using tat, tunnel, drum, and trough withering systems. Of these, the trough withering system is the most commonly used.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t types of withering, their effect on the various quality attributes of tea, and other aspects of withering methods that affect superior quality tea. Results: During physical withering, tea shoots loose moisture content that drops from approximately 70-80% to 60-70% (wet basis). This leads to increased sap concentration in tea leaf cells, and turgid leaves become flaccid. It also prevents tea shoots from damage during maceration or rolling. During chemical withering, complex chemical compounds break down into simpler ones volatile flavor compounds, amino acids, and simple sugars are formed. Withering increases enzymatic activities as well as the concentration of caffeine. Research indicates that about 15% of chlorophyll degradation occurs during withering. It is also reported that during withering lipids break down into simpler compounds and catechin levels decrease. Improper withering can cause adverse effects on subsequent manufacturing operations, such as maceration, rolling, fermentation, drying, and tea storage. Conclusion: Freshly harvested leaves are conditioned physically and chemically for subsequent processing. There is no specified withering duration, but 14-18 h is generally considered the optimum period. Proper and even withering of tea shoots greatly depends on the standards of plucking, handl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time, and temperature. Thus, to ensure consumption of high quality tea, the withering step must be monitored carefully.

매화의 향기성분 분석과 매화차 추출조건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Prunus mume Flower and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나란;김경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0-185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 제조에 맞는 재료와 처리방법을 찾고, 매화의 첨가량 및 침출 온도, 녹차 첨가 비율 등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매화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결과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생화의 경우 총 15종이 검출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에서는 건조과정중 1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으며, 음건의 경우4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다. 3가지 품종 모두 benzaldehy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성분 구성비율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매화차의 추출온도에 따라 색도측정 결과 a값은 감소한 반면, b값은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다. 매화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매화차 관능평가 결과 향, 색에서는 매화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0.3g이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맛에 있어서는 0.3 g에서의 기호도가 3.8로 높았다. 매화의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관능평가 결과와 녹차의 흔합비율에 따른 결과 향, 색에서는 추출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지만 $80^{\circ}C$가 적당한 침출온도였다. 매화와 녹차의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는 매화의 비율은 매화와 녹차 비는 1:9로 나타났다.

보리차 제조시 수돗물 중 염소소독부산물의 제거 여부 및 보리차.옥수수차.결명차 중 Maillard 반응 생성물 동정 (Effect of Barley Tea on the Reduction of the Tap Water Chlorination By-Products in Top Water and Identification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the Extracts of Barley Tea, Corn Tea, and Cassia tora Seed Tea Using GC/MSD)

  • 이수형;김희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56-261
    • /
    • 1999
  • 볶은 보리 알과 보리 티백으로부터 일상적인 차를 만드는 과정에 따라 보리차를 제조할 때 염소로 소독된 물로부터 염소소독부산물의 수준이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았다. 수돗물과 두 종류의 보리차 중의 여덟가지 염소소독부산물 중에서 여섯 가지의 휘발성화합물들은 10분 동안의 가열한 후에 검출한계 이하가 되었으므로, 비휘발성 화합물인 dichloro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및 총잔류염소에 대해 서로 비교하였다. 가열전후의 상대적인 양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세 항목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원래의 물 중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봉우리들이 기체크로마토그래프/전자포획검출기 (GC/ECD)의 총이온크로마토그램(TIC)상에 나타났다. 증류되고 탈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리차(알곡과 티백), 옥수수차와 결명차를 제조한 후 액-액 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선택검출(GC/MSD)을 이용하여 phenol류, furan류, pyrrole류 등 33종의 유기화합물을 분리 확인하였다.

  • PDF

헛개나무잎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 정창호;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3
    • /
    • 2000
  •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Hovenia dulcis leaf as food, leaf tea was nanufactured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Aong proximate composiotns of Hovenia dulcis leaf tea were found in both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the higher contents of total sugar and crude protein. In minerals component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potassium (K) was the most high amounts of 11,560.6 ppm and 11,084.6 ppm,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free sugar in both teas were mainly consisted of sucrose, the amounts of sucrose showed 1.47% and 1.94% . In case of organic acids,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revealed 631.26mg% and 660.05mg%,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812.01mg% and 709.72mg% of glutamic acid. the fatty acid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mainly composed of 40.18% of linolenic acid and 26.92% of palmitic acid,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composed of 3, 7, 11, 15-tertramethyl-2-hexadecen-1-ol and methyl palmitate and the amounts of those showed 290.1ppm and 472.97 ppm, respectively. The tannin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1.02% and 1.26% , as the extraction steps increased the tannin contents decreased. In Hunter's color values of tea extract L and b values decreased , while a value of those increased as the extraction steps were repeated.

  • PDF

한국(韓國) 자생차엽(自生茶葉)의 향기성분(香氣成分)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Native Tea Leaves (Camellia sinensis O. Kuntze))

  • 박장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5-300
    • /
    • 1997
  • 12개 지역의 한국자생차 향기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및 질량분광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엽중의 향기성분으로 70~80개 성분을 GC를 이용해 분리할수 있었고, 그중 52개 성분은 GC/MSD로 동정하였는데, 이들을 분류하면 alcohol류 19종, aldehyde류 5종, hydrocarbon류 2종, ketone류 6종, ester류 4종, lactone류 3종, acid류 2종, phenol류 3종, pyrazine류 4종, 그리고 질소화합물 4종이였다. 이중 geraniol, linalool oxide, 1-hexanol, ehtanol등이 주요 향기 성분이었다.

  • PDF

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가 한라봉(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과피차의 향기 성분과 당도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 Drying, Room-temperature Drying, and Room-temperature Drying after Roasting on Volatile Compounds Sugar Content,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Peel Tea)

  • 김민경;권민주;구강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55-463
    • /
    • 2022
  • 본 연구는 한라봉의 부산물인 과피를 차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의 세 가지 건조방법이 한라봉 과피의 생리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색도는 동결건조한 한라봉 과피의 명도(L*)가 유의하게 높았고 황색도(b*), 색상 각(h°)과 채도(C*)는 볶음 후 상온 건조가 유의하게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은 세 처리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향기 성분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90~97%를 차지하는 d-limonene은 볶음 후 상온 건조에서 유의하게 높게 검출되었다. 동결건조는 다른 건조처리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낮았는데, 이는 동결건조과정에서 향기성분의 손실이 일어났기 때문이며 동결건조기 내부에 응축된 얼음에서 한라봉 과피와 동일한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항산화능 모두 세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성 일차대사 산물의 대사체 변화를 PCA 분석 결과 건조 처리 별로 95% 수준에서 차별화된 군집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를 통해 처리 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볶음 후 상온 건조 가공처리가 한라봉 과피차 전처리에 적절한 가공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임성임;배정은;최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68-773
    • /
    • 2006
  •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