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fungu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7초

산머루과즙을 이용한 발효산형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ermented Acidic Beverage using Wild Grape Juice)

  • 김미림;최미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2
    • /
    • 2011
  • 산머루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과즙배지는 11~17%(v/v)의 산머루과즙에 초기 당도를 $10^{\circ}Brix$로 조정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 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의 5%(w/v)를 첨가하여 $29{\pm}1^{\circ}C$에서 1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동안 발효 액 표면에 막을 생성시키고 산(acids)을 생성하였다. 산머루과즙 발효액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와 malic acid가 acetic acid 보다 우위를 차지하였으며, 발효 15일째 측정에 의하면 WGB의 succinic acid는 WGB11이 49.6 ppm, WGB17은 77.4 ppm이 검출되었다. 배양기간 동안 WGB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발효 15일째에는 fructose 만이 1063.6~1082.5 mg/mL 검출되었다. 발효음료의 음용시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WGB17이 34.46~88.0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균보다는 음성균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과즙을 이용한 산형음료 발효 및 발효음료의 항균효과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Using Citrus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 정지숙;김성호;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37-1043
    • /
    • 2008
  • 감귤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였다. 과즙배지는 $11{\sim}17%(v/v)$의 과즙에 초기 당도를 $10^{\circ}Brix$로 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을 5%(w/v) 첨가하여 $29{\pm}1^{\circ}C$에서 15일 배양하면서 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동안 발효액 표면에는 막을 생성하고 액에는 다양한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발효액은 7,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사용하였다. $5{\sim}10$일 사이에 유기산 등의 기타 대사산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malic acid, acetic acid, it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의 다양한 유기산이 생성되었으며, 특히 발효 전반에 acetic acid가 관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acetic acid이었다. 발효 15일째 측정에 의하면, acetic acid 함량은 $183.5{\sim}186.6\;ppm$이 검출되었다. 배양 동안 CB11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그리고 sorbitol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56.8%, 35.1%, 40.7%, 63.2%가 검출되었다. 음용 시 식품에 관련된 세균에 대해 CB11가 $71.9{\sim}94.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균 보다는 그람 음성균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The necrotroph Botrytis cinerea promotes disease development in Panax ginseng by manipulating plant defense signals and antifungal metabolites degradation

  • Chen, Huchen;Zhang, Shuhan;He, Shengnan;A, Runa;Wang, Mingyang;Liu, Shou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790-800
    • /
    • 2022
  • Background: Panax ginseng Meyer is one of the most valuable medicinal plants which is enriched in anti-microbe secondary metabolites and wid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Botrytis cinerea is a necrotrophic fungus that causes gray mold disease in a broad range of hosts. B. cinerea could overcome the ginseng defense and cause serious leaf and root diseases with unknown mechanism. Methods: We conducted simultaneous transcriptomic and metabolomic analysis of the host to investigate the defense response of ginseng affected by B. cinerea. The gene deletion and replacement were then performed to study the pathogenic gene in B. cinerea during ginseng - fungi interaction. Results: Upon B. cinerea infection, ginseng defense responses were switched from the activation to repression, thus the expression of many defense genes decreased and the biosynthesis of antifungal metabolites were reduced. Particularly, ginseng metabolites like kaempferol, quercetin and luteolin which could inhibit fungi growth were decreased after B. cinerea infection. B. cinerea quercetin dioxygenase (Qdo) involved in catalyzing flavonoids degradation and ∆BcQdo mutants showed increased substrates accumulation and reduced disease development. Conclusion: This work indicates the flavonoids play a role in ginseng defense and BcQdo involves in B. cinerea virulence towards the P. ginseng. B. cinerea promotes disease development in ginseng by suppressing of defense related genes expression and reduc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biosynthesis.

Exobasidium vexans에 의한 차나무 떡병 (Blister blight of Tea (Thea sinensis) Caused by Exobasidium vexans in Korea)

  • 권진혁;정선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09-212
    • /
    • 2003
  • 2002년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차나무 재배포장에서 잎에 떡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차차 원형으로 확대되어 황갈색으로 되며 잎표면의 병반부는 융기하고 뒷면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 흰색의 떡모양으로 된다. 균총의 색깔은 흰색에서 유백색을 띠며 포자형성이 잘 된다. 담자기는 2개의 작은 자루를 형성하며 그위에 담자포자가 부착한다. 크기는 30${\sim}$53${\times}$3.1${\sim}$5.8 ${\mu}m$이다. 담자포자는 무색, 단포, 장타원형으로 약간 굽은것도 있으며, 크기는 11${\sim}$14.7${\times}$4${\sim}$5.4 ${\mu}m$이다. 균사 생육적온은 $25^{\circ}C$이었다. 차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Exobasidium vexans에 의한 차나무 떡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를 이용한 감귤과즙으로부터의 셀루로스 겔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of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 for Cellulose Gel Production)

  • 최경호;정지숙;문철호;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6-181
    • /
    • 2004
  • 셀루로스성 겔을 생산할 목적으로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luconacetobacter hanseii TF-2와 제주산 감귤과즙을 이용하여 겔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발효균은 가당한 홍차의 표면에 생성된 tea fungus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과즙은 제주산 감귤을 박피하고 압착하여 착즙한 후 여과하였다. 과즙은 135.5 mg/mL의 총당과 1.23%의 산을 함유하였으며 평균 pH 3.98을 나타내었다. G. hansenii는 과즙 17% 희석액에 정백당을 첨가하여 초기당도를 $10^{\circ}$Brix로 조정한 것을 가장 잘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온도는 3$0^{\circ}C$였으며 4$0^{\circ}C$ 이상에서는 겔이 생성되지 아니하였다. 최적 pH는 3.0으로 판정되었으나, pH 3.0∼4.0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검토한 조건들을 조합하여 18일간 정치배양함으로서 두께 14.2$\pm$0.6 mm의 백색 겔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배양액에 1.90$\pm$0.22%의 산이 생성되었으며 pH는 2.75$\pm$0.09로 저하되었다. 발효 종료 후 배양액 중에는 총당 27.1$\pm$4.2 mg/mL, 환원당 6.9$\pm$1.2 mg/mL이 잔존하였다. 겔 수율은 137.8$\pm$9.7 g/L로 분석되었다.

발효홍차가 당뇨숫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a Fungus/Kombucha Beverage on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ale Rats)

  • 고진복;최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13-618
    • /
    • 1999
  • 발효홍차가 당뇨쥐의 혈당과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체중 $140{\pm}10g$ 전후되는 Sprague-Dawley계 숫쥐에 음료수를 급여한 대조군, 당뇨대조군, 발효홍차군은 음료수에 발효홍차를 20%와 40%씩 혼합한 군과 감압멸균한 발효홍차를 20%와 40%씩 혼합급여한 군 등 6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음료로 3주간 사육한 다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키고 계속 4주간 각 실험음료로 사육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당뇨 유발전 3주간 체중증가는 대조군과 각 농도별 발효홍차 급여군이 비슷하였슴은 발효흥차가 성장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뇨유발후 4주간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72.4g 증가하였으나, 당뇨대조군과 각 농도별 당뇨발효홍차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장애로 29.4~48.6g의 체중이 감소되었다. 췌장 총 무게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당뇨 20% 발효홍차군, 당뇨 40% 발효홍차군 및 당뇨 20% 감압멸균한 발효홍차군은 유의 하게 증가(p<0.05)되었다. 체중 100g당 췌장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과 각 농도별 당뇨 발효홍차군이 유의하게 증가(p<0.05)되었다 혈당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발효홍차군이 비슷한 경향으로 혈당량을 낮추지는 못하였다 혈청의 중성지질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당뇨 20% 발효홍차군과 당뇨 20% 감압멸균 발효흥차군이 감소(p<0.05)되었으며, 총 콜 레스테롤 농도는 각 당뇨발효홍차군이 당뇨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p<0.05)하여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효홍차가 당뇨쥐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치를 정상수준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군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비율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각 당뇨발효홍차군이 유의하게 증가(p<0.05)되었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액경화지수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각 당뇨발효홍차군은 유의 하게 낮은(p<0.05) 수준을 보였다 간의 총 지질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당뇨 20%와 40% 발효홍차군이 감소(p<0.05)하였으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각 실험군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중성지질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흥차군이 유의하게 감소(p<0.05)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당뇨쥐에 발효홍차를 급여한 바 당뇨병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혈청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발효홍차가 당뇨쥐의 지절대사를 부분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과 중국 미생물 발효차의 미생물 군집분석 및 비교 (A Comparison of the Microbial Diversity in Korean and Chinese Post-fermented Teas)

  • 김병혁;장종옥;좌재호;김진아;송승엽;임찬규;김천환;정영빈;성기철;김희식;문두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1-80
    • /
    • 2017
  • 차는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음료로서, 그 종류는 불발효차(녹차), 반발효차(우롱차), 완전발효차(홍차), 후발효차 등으로 구분된다. 후발효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미생물 발효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 한국 후발효차(알가차, 단차)와 중국 후발효차(보이차 2종)에 우점하는 미생물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후발효차에 우점하는 미생물은 ${\alpha}$-proteobacteria에 속하는 Rhodobacteraceae와 Sphingomonas,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antoea가 우점하였다. 미생물 군집 cluster 분석결과, 한국 후발효차와 중국 후발효차는 다르게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우 흥미롭게도 한국 후발효차는 미생물이 우점하였고 중국 후발효차는 곰팡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홍차 음료가 당뇨 암쥐의 지질대사 및 단백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Fungus/Kombucha Beverage on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 in Diabetic Female Rats)

  • 노민희;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1-668
    • /
    • 2002
  • 본 연구는 발효홍차가 당뇨 암쥐의 성장률, 혈청 및 간의 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체중 155.5$\pm$9.3 g 전후되는 Sprague- Dawley계 암쥐에 음료수를 급여한 정상군, 당뇨대조군 및 당뇨발효홍차군은 음료수에 발효흥차를 20%와 40%씩 혼합한 군 등 4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음료로 2주간 사육한 다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키고 계속 5주간 각 실험음료로 사육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당뇨유발 전 2주간 체중 증가는 대조군과 각 농도별 발효홍차 급여군이 비슷하여 발효홍차가 성장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뇨유발후 5주간의 체중변화는 정상군 48.3 g증가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과 각 농도별 당뇨발효홍차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장애로 6.8~7.1 g으로 증가율이 낮았다. 공복시 혈당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발효홍차군이 비슷한 경향으로 혈당량을 낮추지는 못하였다. 간, 신장 및 췌장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각 수준의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간과 신장의 무게는 정상군 보다 당뇨 실험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췌장의 무게는 정상군보다 당뇨실헌군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중성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0% 당뇨발효홍차군이 당뇨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발효홍차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인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총 단백질과 알부민 및 간의 단백질 농도, 혈청의 alkaline phosphatase, GOT 및 GPT 활성은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Pestalotiopsis menezesiana에 의한 참다래 잎마름병과 발생생태 (Leaf Blight of Kiwifruit Caused by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nd Its Ecopathology)

  • 박지영;이웅;송동업;성기영;조백호;김기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2-29
    • /
    • 1997
  • Etiological and ecopathological studi88888es on the leaf blight of kiwifruit (Chinese gooseberry), a disease newly found in 1993 in Korea, were carried out in this experiment. The leaf blight symptom was prevalent in the southern area of Chonnam Province where kiwifruits were widely cultivated. The disease occurred from July to fall, causing early defoliation of kiwifruit vines. Small brownish circular or irregular lesions appeared initially on the leaves, starting from the marginal leaf areas, and enlarged. Afterwards small grayish black granules (acervuli) were formed on the lesions. The color of old lesions changed to grayish brown or grayish white.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athogenicity (pathogenic to Chinese gooseberry and grapevine, but not to other hosts of Pestalotiopsis spp.such as tea, apple, persimmon, and chestnut). As P. longiseta and P. neglecta were reported recently in Japan as pathogens causing similar blight symptoms in kiwifruit, P. menezesiana is a new leaf blight pathogen in kiwifruit. Development of the disease was stimulated by wounding, prevailing wind, and drought. The causal fungus was proven to be overwintered in the diseased leaves on the ground surface.

  • PDF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에 의한 Bacterial Cellulose의 Pilot 생산 (Pilot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

  • 정지숙;김종순;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41-13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감귤과즙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세균 셀룰로오스를 대량생산하기 위해 감귤과즙으로부터 감귤 내성의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를 선별한 후 pilot 시설을 이용하여 감귤겔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유기산의 약 80%가 citric acid로 내성균의 분리가 부득이한 것으로 판정되어, 겔 발효균의 모체인 tea fungus에서 G. hanenii TF-2를 분리, 여기에 UV를 조사하여 TL-2를 분리한 후, 감귤배지에서 반복배양하여 citrate내성균인 G. hansenii TL-2C를 분리하였다. 감귤농축액 100배 희석액에 initial sucrose 함량 10%(w/v), ethanol 1%(v/v) 을 첨가한 배양액에 종균을 5%(w/v)접종하였다. 대형 4각의 FRP 용기에 뚜껑을 덮고 과즙의 높이를 26 mm로 충진하였으며, $30^{\circ}C$ 배양실에서 14일간 정치배양한 후 세로 360 mm,가로 650 mm, 두께 25 mm 이상의 대형 겔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