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reexamin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species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I. New species currently treated as taxonomic synonyms of other species)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3-169
    • /
    • 2009
  •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acute{e}}veill{\acute{e}}$,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A checklist of Trichoptera (Insecta) of the Korean Peninsula

  • Park, Sun-Jin;Kong, Dongs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88-323
    • /
    • 2020
  • A revised checklist of Korean Trichoptera is provided for the species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both North and South Korea. The checklist includes bibliographic research as well as results after reexamination of some specimens. For each species, we provide the taxonomic literature that examined Korean Trichoptera materials or mentioned significant taxonomic treatments regarding to Korean species. We also provide the records of unnamed species based on larval identification for further study. Based on taxonomic considerations, 20 species among the previously known nominal species in Korea are deleted or synonymized, and three species omitted from the previous lists, Hydropsyche athene Malicky and Chantaramongkol, 2000, H. simulata Mosely, 1942 and Helicopsyche coreana Mey, 1991 are newly added to the checklist. Hydropsyche formosana Ulmer, 1911 is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by the identification of Hydropsyche KD. In addition, we recognized 14 species of larvae separated with only tentative alphabetic designations. As a result, this new Korean Trichoptera checklist includes 218 currently recognized species in 66 genera and 25 famil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 신속 및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과 현재 분류학적으로 인정되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taxa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 New genus and species, and currently recognized as distinct taxa)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1-313
    • /
    • 2008
  • $L{\acute{e}}veill{\acute{e}}$가 상당수의 한국산 신분류군을 기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분류군에 대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검토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L{\acute{e}}veill{\acute{e}}$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한국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신분류군으로 발표한 것들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L{\acute{e}}veill{\acute{e}}$의 의해 총 275개의 신분류군이 발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에는 Hydrolirion $H. L{\acute{e}}v.$이라는 신속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현재 Blyxa Noronha ex Thouars와 같은 분류군으로 간주되고 있다. 나머지 분류군들은 종 수준에서 231개 분류군, 변종 수준에서 43개 분류군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 수준으로 보고된 분류군 중, 현재까지 종 또는 변종 수준에서 인정되는 분류군은 17개였고, 학자에 따라 종 또는 이명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52개로 파악되었으며, 151개 분류군은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한편, 11개 분류군은 국내 학자들에 의해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axonomic notes on the genus Alsidium C. Agardh, including the merging of Bryothamnion Kützing (Rhodomelaceae)

  • Garcia-Soto, Gabriela;Lopez-Bautista, Juan
    • ALGAE
    • /
    • 제33권3호
    • /
    • pp.215-229
    • /
    • 2018
  • In this study,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genera Alsidium C. Agardh and Bryothamnion $K{\ddot{u}}tzing$ were investigate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the plastid-encoded markers rbcL, psbA, and the mitochondrial barcode region (COI-5P) resolved a well-supported clade that included the species Alsidium corallinum, Bryothamnion seaforthii, and B. triquetrum. Our results indicated that taxonomic recognition of the genus Bryothamnion is not supported and two species of Bryothamnion are reallocated to Alsidium. A reexamination of the morphological definition of Alsidium is provided with an updated diagnosis of the genus and a morphology-based comparison of species that are currently circumscribed under this generic name. Furthermore, we reviewed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Alsidium and the genus Digenea, both belonging to the tribe Alsidieae, discussing the most relevant morphological characters.

A new distribution record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Lamiaceae) and an erroneously identified Scutellaria in Korea

  • LEE, Yoonkyung;KIM, Jung-Hyun;LEE, Byoung Yoon;KIM, Jin-Seok;KIM, Sangt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3-128
    • /
    • 2018
  • Earlier taxonomic studies of Korean Scutellaria reported a new record of Scutellaria hastifolia L. in Korea based on three herbarium sheets. During a reexamination of these specimens, we found that the leaf characters of these specimens differ from those in the type specimen of S. hastifolia.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confirmation of the type specimen, the specimens identified as S. hastifolia thus far were a misidentification of S. barbata D. Don. S. hastifolia is clearly different from S. barbata by single conspicuous teeth on both sides of the leaf margins and larger leaves.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sites of the three specimens used in the previous study, a distribution site of the S. barbata was newly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distribution of S. barbata in Korea, correct a previous report of S. hastifolia,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 barbata, and suggest a taxonomic key to Korean Scutellaria including S. barbata.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examination of Saussurea pseudogracilis (Compositae))

  • 선은미;장정원;김별아;정재민;손성원;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0-110
    • /
    • 2014
  • 가야산은분취(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는 길고 좁은 잎, 작은 총포, 적은 총포편 열수에 의해 유사종인 은분취(S. gracilis Maxim.)로부터 구별되고 있다. 그러나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45개의 정성형질과 42개의 정량형질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정성형질은 물론 정량형질에 대한 다변량분석(PCA)에서도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었다. 가야산은분취는 분류학적으로 독립된 종이 아니며 은분취의 이명으로 처리함이 타당하다.

가시딸기(Rubus hongnoensis Nakai)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examination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Rubus hongnoensis Nakai)

  • 태경환;황승현;양은재;이재승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73-476
    • /
    • 2009
  • 한국특산식물인 가시딸기에 대한 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다른 점은 잎의 양면에 털이 존재하고, 특히 주맥에는 선모가 존재한다. 털은 꽃잎과 줄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부분에 존재하고, 가시는 엽병과 줄기에 존재하였다. 소엽은 3-7장이고,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다.

A New Record and Redescription of Zygophylax (Hydrozoa: Leptothecata: Zygophylacidae) from Korea

  • Seung-Joon Lee;Hyo-Jin Yu;Sung-Jin Hw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2호
    • /
    • pp.140-146
    • /
    • 2024
  • A taxonomic examination of Zygophylax species collected from the subtidal zone of Seongsan Ilchulbong in the east of Jeju Island and a reexamination of the voucher specimens previously described as Z. biarmata we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the species previously reported as Z. biarmata in Korea was redescribed as Z. pacifica, and the specimens from Seongsan Ilchulbong were confirmed to be Z. biarmata. Zygophylax biarmata has two nematothecae on the apophysis of the hydrotheca,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apophysis and the pedicel of the hydrotheca, and much smaller hydrothecae, whereas Z. pacifica has a single nematotheca on the apophysis of the hydrotheca, no distinction between the apophysis and the pedicel of the hydrotheca, and much larger hydrothecae.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two species belonging to genus Zygophylax have been reported in the hydrozoan fauna of Korea to date.

동북아시아 뱀톱속 (석송과) 두 종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examination of two Huperzia species (Lycopodiaceae) in Northeast Asia)

  • 임진아;윤나래;이병윤;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9-305
    • /
    • 2015
  • Huperzia lucidula (Michaux) Trevis.의 동북아시아 집단 및 북미 집단을 대상으로 외부형태와 포자형태를 비교한 결과 잎의 형태, 엽연부, 잎에서의 기공의 분포 및 포자의 형태에 있어서 뚜렷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집단을 북미 지역의 H. lucidula와는 독립된 종 H. asiatica (Ching) B.-Y. Sun and J. Lim으로 분리, 승격하였다. 또한, H. serrata (Thunb.) Trevis.와 동일 종 또는 종내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오던 H. javanica (Sw.) C. Yang은 영양엽에서 엽병의 발달 유무, 엽연 거치의 수 그리고 무성아가지의 중앙 열편 모양으로 별개의 종으로 처리하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Wasabia koreana Nakai (십자화과)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한 고찰 (A short note on the taxonomic identity of Wasabia koreana Nakai (Brassicaceae))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3-231
    • /
    • 2008
  • Wasabia koreana (고추냉이)를 둘러싼 분포역, 국명, 학명에 대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기준표본을 근거로 형태적 재검토를 수행하였고, 분류학적으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 분류군인 Cardamine yezoensis 및 W. japonica와 주요 형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W. koreana가 울릉도에 분포한다는 대부분의 보고는 W. japonica를 W. koreana로 오인한 결과이며, 따라서 울릉도의 이른바 '고추냉이'는 겨자냉이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타당함을 재확인하였다. 한편, 그동안 속의 지위에 변동이 있었던 고추냉이에 대해 최근에 제안된 신대리명인 Cardamine pseudowasabi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