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l fescu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8초

Stress Inducible Overexpression of Arabidopsis Nucleotide Diphosphate Kinase 2 Gene Confers Enhanced Tolerance to Salt Stress in Tall Fescue Plants

  • Lee, Ki-Won;Kim, Yong-Goo;Rahman, Md. Atikur;Kim, Dong-Hyun;Alam, Iftekhar;Lee, Sang-Hoon;Kim, Yun-Hee;Kwak, Sang-Soo;Yun, Dae-Jin;Lee, Byung-Hy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3-230
    • /
    • 2017
  • Arabidopsis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2 (AtNDPK2) is an upstream signaling molecule that has been shown to induce stress tolerance in plants. In this study, the AtNDPK2 gene, under the control of a stress-inducible SWPA2 promoter, was introduced into the genome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plants. The induction of the transgene expression mediated by methyl viologen (MV) and NaCl treatments were confirmed by RT-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Under salt stress treatment, the transgenic tall fescue plants (SN) exhibited lower level of $H_2O_2$ and lipid peroxidation accumulations than the non-transgenic (NT) plants. The transgenic tall fescue plants also showed higher level of NDPK enzyme activity compared to NT plants. The SN plants were survived at 300 mM NaCl treatment, whereas the NT plants were severely affec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ess-inducible overexpression of AtNDPK2 might efficiently confer the salt stress tolerance in tall fescue plants.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품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Mixtures on the Different Grass Species and Seeding Rat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본 연구는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를 비교 검토하여 건물수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혼파방법을 찾고자 관행 혼파초지{conventional mixtures(CM), orchardgrass (Potomad) 50% + tall fescue (Fawn)20% + Kentucky bluegrass(Kenblue) 20% + white clover(Regal) 10%},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Red clover mixtures(RM), orchardgrass (Potomac) 40 + tall fescue 20%(Fawn) + Kentucky bluegrass (Kenblue) 10% + red clover(Kenland) 30%} 및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Turf type grass mixtures(TM), orchardgrass Potomac) 50% + turf type grass(tall fescue, Millenium 20% + Kentucky bluegrass, Midnight 10% + perennial ryegrass, Palmer III 10%) + white clover, Regal 10%)의 3처리를 두어 시험하였다. 시험은 난괴법 4반복으로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3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건물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11,656kg/ha으로 관행 혼파초지(11,245kg/ha)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9,897kg/ha)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p<0.05). CP 함량은 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관계없이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관행 혼파초지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NDF, ADF, cellulose 및 lignin과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조사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따라 대체적으로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2년 평균 CP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2,832kg으로 관행 혼파초지(2,372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2,266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2년 평균 D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8,881kg으로 관행 혼파초지(8,255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7,314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2005년 5회 예취시의 식생비율은 관행 혼파초지는 orchardgrass는 45%,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5% 및 white clover 24%이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는 orchardgrass 40%,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4% 및 red clover 31%이었고, 잔디형 초종 + 혼파 초지는 orchardgrass 37%, 잔디형 초종 37%(tall fescue 23%, Kentucky bluegrass 6%, perennial ryegrass 8%) 및 white clover 23%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초종과 파종비율에 따른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Ca^{++}$ 처리가 한지형 잔디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 Treatment on Growth and Mineral Elements of Cool-Season Turfgrass Species)

  • 김성규;강훈;소인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02
  • Creeping bentgrass 'Penn-Al', Perennial ryegrass 'Palmer ll', Kentucky bluegrass 'Nassou', Tall fescue 'Boonsai 2000'의 생육에 대한 칼슘의 영향을 온실에서 조사하였다. Creeping bentgrass 'Penn-Al', Kentucky bluegrass 'Nassou'와 Tall fescue'Boonsai 2000'의 shoot 생육은 Ca 4.0me/L에서, Perennial ryegrass 'Palmer II'는 Ca 2.0me/L.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Creeping bentgrass 'Penn-Al', Perennial ryegrass 'Palmer II'와 Kentucky bluegrass 'Nassou'의 뿌리생육은 Ca 1.0me/L, Tall fescue'Boonsai 2000'는 Ca 4.0me/L에서 가장 양호하였지만 처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Creeping bentgrass 'Penn-Al'와 Kentucky bluegrass 'Nassou'의 분얼수는 Ca 4.0me/L., Perennial ryegrass 'Palmer II'는 Ca 1.0me/L에서 가장 많았으며, Tall fescue 'Boonsai 2000'의 분얼수는 Ca 4.0me/L에서 가장 많았지만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식물체 내 무기성분 함량은 Ca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Ca 함량이 많았고, 반대로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Fe는 Ca 4.0me/L까지는 함량이 증가하였고, N, P, K, Zn는 큰 영향이 없었다. 식물 영양실험에 있어서 심지화분의 이용성은 정확도와 간편성이 탁월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많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NDP Kinase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형질전환 톨 페스큐 식물체의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특성 (Characterization of Transgenic Tall Fescue Plants Overexpressing NDP Kinase Gene in Response to Cold Stress)

  • 이상훈;이기원;김경희;윤대진;곽상수;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9-306
    • /
    • 2009
  •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지닌 신품종 톨 페스큐를 개발할 목적으로 CaMV35S 프로모터 하류에 NDP kinase 2 유전자가 항상적으로 발현하도록 제작한 벡터를 Agrobacterium법을 이용하여 톨 페스큐에 도입하였다.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내성을 나타내며 재분화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pot로 이식하여 기내순화 시킨 후,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NDP kinase 2 유전자가 형질전환 식물체의 genome에 정상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테옴 분석을 통하여 도입유전자의 조절을 받는 항산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유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형질전환 식물체 잎 절편을 산화스트레스 중의 하나인 저온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세포의 손상 정도를 조사한 결과, 비형질전환체에 비해 형질전환체는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식물체 수준에서 저온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내성을 비교한 결과, 비형질전환체에 비해 형질전환체는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 형질전환 톨페스큐는 산화스트레스 내성 품종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피복지수에 의한 목초종자 피복제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ating Materials for Forage Seed Coating by Coating Index)

  • 이성운;허삼남;김택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2
    • /
    • 2004
  • 종자피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인 CFclear(CF), arabic gum(AG), cethylmethyl cellulose(UC), polyvinyl alcohol(PVA),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 propyl cellulose(HPC), methyl cellulose(MC)와 고형물질로 bentonite(B), kaolin(K), calcium carbonate(CC), peatmoss(PM), talcum(T), vermiculite(V), zeolite(Z), calcium hydroxide(CH), plaster(PT), calcium phosphate((PP)를 공시하여 제조한 피복종자의 품질과 물리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Red clover 종자는 CF나 PVA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높았으며, 충격에 의한 피복층의 탈락성은 AG, CF, PVA에서 제일 낮았다(P<0.01). 피복종자의 백립중은 CF 피복종자가 제일 무거웠다. Tall fescue종자는 CF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높았으며(P<0.01), 충격에 의한 피복층의 탈락성은 AG, CF, PVA에서 제일 낮았다(P<0.01). 피복종자의 백립중은 CF 피복종자가 제일 무거웠다. Red clover는 V나 V+T(1 : 1)로 피복된 종자에서 회수된 단립 피복종자 무게가 제일 높았으며 tall fescue에서는 V+T(1 : 1)로 피복된것이 제일 높았다(P<0.01). 접착제별 피복지수는 두 초종 공히 CF나 PVA로 피복한 종자가 여타 접착제로 피복한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고형물질별 피복지수는 red clover는 V나 V+T(1 : 1)로 피복한 종자에서 높았으며 tall fescue는 T, V, V + T(1 : 1로 피복한 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종자피복에 있어서 red clover와 tall fescue 공히 접착제는 CF나 PVA로 하고 고형물질은 V나 V+T(1:1)로 피복함으로서 가장 좋은 피복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목초이용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rbage Utilization of Turf Type Mixtures)

  • 이형석;이인덕;이중해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701-706
    • /
    • 2004
  • 본 연구는 2001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하번초형 혼파초지 {Turf type mixtures: Kentucky bluegrass(Newport) 40%+tall fescue(Rebell Jr.) 20%+perennial ryegrass(Palmer II) 10%+redtop(Barricuda) 10%+red fescue(Salem) 10%+creeping bentgrass(Crenshaw) 10%}에서 수확한 1번초(4월 24일)의 목초와 상번초형 혼파초지 {tall type mixtures:orchardgrass(Potomac) 40%+tall fescue(Fawn) 20%+Festulolium braunii(Paulita) 10%+perennial ryegrass(Feveille) 10%+timothy(Climax) 10%+red clover(Kenblue) 5%+alfalfa(Vemal) 5%}에서 수확한 1번초(4월 24일)를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한국재래산양을 8두를 공시하여 건물소화율, 건물섭취량,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섭취량은 하번초형 초지(28.9g/BW,kg/day)가 상번초형 초지(26.2g/BW,kg/day)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세포내용물질(cellular constituents)의 소화율은 하번초형 초지가 높은 편이었으나(P<0.05), DM, NDF 및 ADF 소화율은 두 초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외관상 생물가는 하번초형 초지(56.7%)가 상번초형 초지(56.4%)보다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 외관상 대사에너지 축적률은 하번초형 초지(58.3%)가 상번초형 초지(57.9%)보다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재래산양에 의한 하번 초형 목초의 이용성은 상번초형 초지에서 생산된 목초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료원으로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혼파방목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생산성과 질병 비교 연구 I. 조성후 1차년도의 초지에서 방목가축의 증체량 , 채식량 및 사료효율 (Study on Animal Production and Disease Affected by Different Varieties of Tall Feacue and White Clover in Mixed Grazing Pasture I. Liveweight gain, herbage intake and forage conversation efficiency of grazing animal in pasture 1 year after seeding)

  • 정창조;김문철;김규일;장덕지;김중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2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ood livestock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3 different pasture mixture (Control : TI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Fawn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2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3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Tahora white clover) by grazing experiment used 45 dairy calves (about lOOkg liveweight)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1994 at the Isidole farm, Cheju. Daily liveweight gains of calves graz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331${\pm}$29, 352${\pm}$4, 356${\pm}$18g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but did not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period investigated, the period which was high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early grazing season b m May to June while the period shown to be low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between late July and late August. Hehage intake rate did not ge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with results shown as 67${\pm}$1.2, 62${\pm}$5.1, 60${\pm}$9.6%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And efficiency of conversation into animal product was high in treatment 2. It is considered that good results were not obtained in this study because tall fescue and white clover, important species in this trial did not cover the pasture well with slow establishment in 1st year after seeding.

  • PDF

NaCl이 한지형잔디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aCl on Seed Germination of Cool-Season Turfgrass species)

  • 강훈;이치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1-78
    • /
    • 1999
  • The influence of increasing livel (0.0, 0.05, 0.1, 0.2, 0.4, 0.6, 0.8, 1.2, 1.6, and 2.0%) fo NaCl on the germination of red fescue (Festuca rubra) 'Sea Breeze', tall fesce(Festucaarundinacea) 'Pixie', creeping red fescue (Festuca rubra ssp. rubra) 'Cindy', annua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Permer Ⅱ',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Pennant', fairway wheatgrass(Agropyron cristatum),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Penncross',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Nuglade' was investigated. Red fescue 'Sea Breeze', tall fescue 'Pixie', and creeping red fescue 'Cindy' had greater than 90% seed germination at NaCl concentrations of 0.2% or lower, while showing similar seeding shoot and root lengths and TAA50 values as the control. Creeping red fescue 'Cindy'gave at 0.6% or higher NaCl. Perennial ryegrass 'Pennant' and annual ryegrass 'Permer Ⅱ' showed more than 95% seed germination when NaCl concentrations were 0.4% and 0.8%, respectively. Fairway wheatgrass, creeping bentgrass 'Penncross' and Kentucky bluegrass 'Nugade' had showing similar germination percent, shoot and root lengths and T50 values as the control at NaCl concentrations of 0.1% or lower. In general, germination percent and the lengthes of seedling roots and shoots of all species tested decreased as NaCl concentrations iscreased. The T50 values became greater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Seed fermination in red fescue 'Sea Breeze', tall fescue 'Pixie',perennial ryegrass 'Pennant', and annual ryegrass 'Permer Ⅱ' was compoetely inhibited at 2.0% NaCl. Creeping red fescue 'Cindy' and fairway wheatgrass gardly germinated at 1.6% MaCl. Creeping bentgrass 'Penncross' and Dentucky bluegrass 'Nuglade' showed a complete inhibition of germination at 1.2% and 0.6% NaCl, respectively.

  • PDF

하번초형 혼파조합간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식생비율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Dry Matter Yield, Forage Quality and . Botanical Composition for Three TUrf-type Mixtures)

  • 이중해;이인덕;이형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43-450
    • /
    • 2004
  • 본 시험은 혼파조합이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하번초형 혼파초지를 조성하는데 적합한 혼파조합을 찾고자 1998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 혼파조합은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3가지 혼파조합을 공시하였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 일반화학적 성분, 건물소화율과 조단백질수량(CPDM) 및 가소화건물수량(DDM)은 혼파조합간에차이가 없었다. 2) 2001년도 6회 마지막 예취시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혼파조합에서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의 식생 비율은 각각 42, 35 및 28%이었고, 전체 초종에서 이들 3초종이 차지하는 식생 비율은 모든 혼파조합에서 84%로 나타나 혼파조합이 식생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기타 초종 중에서는 redtop(8%)과 creeping bentgrass(6${\sim}$7%)의 식생비율이 낮았으며, 특히 red fescue(1${\sim}$2%)는 매우 낮은 식생비율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혼파조합간에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및 식생비율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어느 혼파조합으로 하번초형 혼파초지를 조성하여도 공익목적과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목초를 조사료원으로 활용가능성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