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ble grap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기능성 골판지 상자로 포장한 포도의 신선도 유지효과 (Freshness Preserving of Table Grape using Corrugated Paperboard Box Laminated with Functional MA Film)

  • 박형우;박종대;김태규;김기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1-334
    • /
    • 1998
  • 기능성 MA필름을 생산하여 이를 골판지 상자의 내부에 첨합시킨 FC상자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골판지 상자와 기능성 MA필름대를 골판지 상자 내부에 첨합시킨 FC포장구와 LDPE 및 기능성필름과 대조구로 골판지 상자만으로 포도를 포장하여 25 C에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FC 상자와 LDPE와 CE포장구는 대조구 보다는 중량감소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비타민C의 함량도 33%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산도와 환원당 함량은 포장구들간에는 큰차이가 없었다. 외관 및 부패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개발포장구에서 품질이 더 높게 유지되고 있어 FC 포장재를 포도 포장용 상자로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시장 출하 '거봉' 및 '캠벨얼리' 포도의 등급과 품질 조사 (Comparison of 'Kyoho' and 'Campbell Early' Table Grape Fruit Quality in Wholesale Market)

  • 황용수;임병선;김진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7-12
    • /
    • 2010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ble grape quality was found between harvest seasons, producers and cultivars. In general, 'Kyoho' grapes showed much greater difference in fruit quality than 'Campbell Early'. The ratio of 'Campbell Early' grapes with poor quality (below quality standard within grades), was higher in fruit harvested early in the season, mainly because of immature fruit harvest. In 'Kyoho', poor quality of fruit seemed to be derived from the deviation of cultural practice between producers.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poor quality in both cultivars includes harvest of unripe cluster, poor sorting and grading, berry abscission, and poor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a new quality standards considering the market condition in 'Kyoho' or a fresh-cut technology of grape berries for niche market.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ladosporium perangustum Associated with Flyspeck on Shine Muscat Grapes in South Korea

  • Hassan, Oliul;Lim, Yang-Sook;Chang, Taehyu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83-187
    • /
    • 2021
  • The Shine Muscat is a table grape, popular in South Korea for its unique mango-flavor taste. Flyspeck is a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small, black, and circular specks on the grape cuticle was first observed in several commercial orchards in Sangju, South Korea, in August 2019. Here we identified the causal agent of flyspeck based on an advanced diagnosis approach, comprised of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s isolated from grape flyspeck were identical to the fungus Cladosporium perangustum. The concatenated sequences of ITS, ACT, and EF1-α were used for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LAST searches along with Bayesian inference-based phylogeny, confirmed that the causal agent of grape flyspeck is C. perangustum. The cultured fungal isolates also produced flyspeck symptoms on healthy fruits in pathogenicity tests.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ocumented evidence of any Cladosporium sp. producing flyspeck symptoms on any plant.

왕머루의 화형에 따른 화분특성 및 포도의 교배화합성 (Pollen Characteristics of Flower Type and Cross Compatibility with Table Grape in Vitis amurensis Rupr.)

  • 박영식;김인종;정병찬;허재윤;박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34-240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일원에서 수집된 왕머루 (GW-22, GW-45, GW-56, GW-200, GW-202, GW-300)의 화형에 따른 화분 특성 및 포도와 교배친화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각각의 꽃 구조와 화분발아능력, 화분 형태, 화분크기 및 포도와 교배화합성을 조사하였다. GW-22와 GW-56의 꽃은 암술이 퇴화하고, 5개의 수술대가 곧은 직선이었다. 이들 각각의 계통은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27.6{\sim}29.8%$였다. GW-45, GW-200, GW-202, GW-300의 꽃은 잘 발달된 암술과 5개의 수술대가 바깥쪽으로 말린 형태였다. 이들 계통은 모두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0%였다. 이들 계통은 자가수분된 머루에서는 과립과 종자를 얻을 수 없었다. 머루간의 상호교배에서는 착과율이 $14.1{\sim}45.4%$였다. 따라서 왕머루의 꽃 형태는 Vitis종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암머루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였고, 포도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종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암머루와 암머루의 교배시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머루는 포도와 상호교배친화성이 있으며, 왕머루계통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SO^2$ 발생 패드처리가 포도 과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2$ generating pad treatment on storage of grape berries)

  • 임병선;이신희;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607-612
    • /
    • 2011
  • The occurrence of grape berry shattering and decay is influenced by the pre- and/or postharvest infection of decay organisms and pest. Postharvest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physical damage due to rough handling. To control quality loss during storage of table grapes, the effects of slow releasing $SO^2$ pad on storability of 'Rosario Bianco' (Vitis vinifera) and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grapes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e $SO^2$ concentration in package of tables grapes reached to at about 40 $ug{\cdot}L^{-1}$ after 40 days of treatment and remained more than 80 days above 15 $ug{\cdot}L^{-1}$. Decay was found in untreated 'Rosario Bianco' and 'Campbell Early' grapes at each for 44 and 85 days after storage, but not in $SO^2$ pad treated grapes. The storage potential of grape berries at $0^{\circ}C$ increased 2~3 times depending on cultivar by $SO^2$ pad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SO^2$ pad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market potential with minimizing quality loss such as berry shattering and decay.

칠레산 수입포도 '레드글로브' 품종에 발생한 부패병 병원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athogens Causing Grape Rot on 'Red Glove' Variety Imported from Chile)

  • 송민지;이혁인;예미지;김대호;홍승범;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7-224
    • /
    • 2012
  • 수확 후 부패는 큰 경제적 손실과 포도의 품질을 낮추는 요인이다. 또한 이는 포도 수출의 중요한 제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칠레로부터 수입한 '레드글러브' 품종의 부패병과 원인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포도 수입항 근처의 저장창고로부터 부패병이 발생한 포도를 수집하였다. 수입포도 '레드글러브' 품종에서 melting decay, 잿빛곰팡이병, 푸른곰팡이병의 3가지 부패병이 관찰되었다. 전형적인 melting deay로부터 분리한 세균은 16S rDNA의 염기서열과 지방산 프로필을 기초로 Gluconobacter cerinus로 동정하였다. 건전한 포도에 접종에 의해 분리균은 melting decay의 특징인 포도 알 표피의 열과와 괴저를 유도하였다. 잿빛곰팡이병과 푸른곰팡이병 병징을 보이는 포도로부터 Botrytis cinerea와 Penicillium expansum을 분리하였다. 이 2가지 균류는 형태적 특징과 beta-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동정하였다. 이들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캠벨얼리' 품종에서 강한 병원성을 보여 주었다.

기체충진 포장조건에 따른 신선편이 캠벨 포도의 저장 중 품질변화 (Storage Quality of Ready-to-Eat Campbell Table Grapes as Affected by Activ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59-567
    • /
    • 2012
  • 신선편이 포도 상품의 유통, 판매 중 부패억제 및 품질유지를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살균소독, 세척, 절단 과정을 거친 캠벨 포도 시료에 대해 다양한 기체 충진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밀봉한 후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이산화탄소 조건에서 포도의 호흡률은 일반 대기조성에서의 호흡률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고산소 조건에서는 산소 소모율이 2배 정도 증가하는 비정상적인 호기호흡이 일어났다. 저온저장 중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은 초기 기체충진 조건에 관계없이 $O_2$가 모두 소비되고 고농도의 $CO_2$가 축적되었으나, PE 포장구에서는 약 13% 이상의 $O_2$가 유지되었다. 포도의 품질인자 가운데 생체중량은 대조구인 통기 포장구에서만 1.0% 이상 감소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중량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과육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경도, 과피 표면색, 폴리페놀 함량, PPO 활성에서는 기체충진 조건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한편 고이산화탄소 처리구에서는 약 $10^1-10^2$ CFU/g 수준의 가장 낮은 미생물 균수를 나타내었으나 저장말기에 이취가 강하게 발생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이취가 적고, 고유의 포도향이 유지되면서 관능검사 평가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적정 농도의 고이산화탄소와 고산소를 병용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은 신선편이 포도의 저장유통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최적의 포장조건을 찾기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Thymol and Linalool Fumigation on Postharvest Diseases of Table Grapes

  • Shin, Mi Ho;Kim, Jin-Hee;Choi, Hyo-Won;Keum, Yoong Soo;Chun, Se Chul
    • Myc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262-268
    • /
    • 2014
  • Several postharvest diseases of table grapes (Vitis vinifera) occur during storage, and gray mold rot is a particularly severe disease because the causal agent, Botrytis cinerea, grows at temperatures as low as $0^{\circ}C$. Other postharvest diseases, such as those caused by Penicillium spp. and Aspergillus spp., also often lead to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able grapes after harvest. The use of plant essential oils such as thymol and linalool, to reduce postharvest diseases in several kinds of fruits, including table grapes and orang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European countries.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 of the use of thymol fumigation to control gray mold in table grapes in Korea. Thymol ($30{\mu}g/mL$) and linalool ($12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mycelial growth and conidia germination of B. cinerea. The occurrence rate of gray mold rot of B. cinerea and other unknown fung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fumigation with $30{\mu}g/mL$ thymol in several table grape cultivars, such as Campbell early, Muscat Bailey A, Sheridan, and Geobong. In this study, fumigation with $30{\mu}g/mL$ thymol, had no influence on the sugar content and hardness of grapes, but reduced fungal infection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30{\mu}g/mL$ thymol could be utilized to reduce deterioration of grapes due to gray mold and other fungal infections during long-term storage.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수준이 '켐벨얼리' 유기포도의 광합성률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tic Rates of 'Campbell Early' Organic Grape as Affected by Degree of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류영현;배수곤;연일권;김광섭;박상조;박준홍;박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3-786
    • /
    • 2016
  • 포도 캠벨얼리품종은 우리나라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갈색무늬병에 대해서 감수성으로 병 발생이 심할 경우 과실당도의 저하를 가져와 품질하락과 생육불량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켐벨얼리 포도품종에서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생육피해 해석을 위해서 7년생의 유기재배 켐벨얼리 품종대상으로 2015년 8월에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감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CO_2$ differential value (기준기와 분석기 $CO_2$ 농도차이), WUE value (광합성수분사용효율)와 A value ($CO_2$의 흡수율/호흡률) 등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tomatal conductance value (기공전도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엽록소의 함량은 병징이 심할 경우 50% 이상 감소하여 엽록소 함량의 감소가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잎의 광합성 효율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병반면적률에 따른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병반면적률이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총탄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함량은 병반면적률에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고품질 무핵 포도 품종 '흑이슬' 육성 (Breeding of a Seedless Table Grape Cultivar 'Heukisul' (Vitis sp.) with High Quality)

  • 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507-509
    • /
    • 2011
  • 무핵 포도 품종을 육성하고자 2000년에 'Kyoho'와 'Thompson seedless' 교잡으로부터 '흑이슬'이 육성되었으며, 2004년도에 1차 선발되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두 곳에서 KTS014의 이름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6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흑이슬'은 'King Dela'에 비하여 화방의 과실 착과가 우수하여 화진현상이 낮았다. 발아기는 4월 23일경, 만개기는 6월 9일경이며 수확기는 8월 29일경으로 중생종 품종으로 생각된다. 평균 과립무게는 4.0g이고 당도는 $21.9^{\circ}Brix$이다. 과피색은 과분이 많은 자흑색이고 과육은 단단하다. 착립밀도가 높아 알솎기가 필요 없다. 또한 열과율이 대단히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