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rup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9초

국내 냉동유자로 제조한 유자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on Jam Made with Frozen Citron in Korea)

  • 김재욱;이경하;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7-201
    • /
    • 2006
  • 국내 유자(Citrus junos Sieb.)의 소비확대 및 장기저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블랜칭 처리한 유자과피를 $-20^{\circ}C$에서 냉동저장 중의 품질특성 변화를 시험하였다. 냉동 유자과피는 전처리 조건에 따라 다음의 4종류; sample A(블랜칭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 sample B($95^{\circ}C$에서 2분간 블랜칭 처리), sample C($95^{\circ}C$에서 2분간 블랜칭 처리, 가당한 것), sample D($95^{\circ}C$에서 5분간 블랜칭 처리)를 제조하였다. 냉동 저장 중 이들 시료 중에서 품질특성은 sample B가 가장 좋았으며, 따라서 sample B 냉동유자를 사용하여 배합시험을 실시한 결과, 주원료로서 냉동유자의 함량을 40%, 백설탕 41%, 물엿 18.56%, 펙틴 0.39%, 구연산 0.05%를 사용하였을 때 기호도 및 작업성 등의 품질특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랜칭 처리하여 냉동저장한 유자 및 냉동저장한 유자로 제조한 유자잼은 블랜칭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 중 pH, 총산, 가용성고형분, 갈변도는 변화가 적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향, 씹힘성 등에서는 차이가 없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높게 평가되었다.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on Jung Kwa Process)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송미란;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87-593
    • /
    • 2009
  • 당액에 수삼을 넣고 졸이는 횟수에 따라 얻어진 인삼정과 및 정과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인삼정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인삼정과는 수삼 8 kg을 2배량의 물 16 kg을 넣어 5분간 삶은 후 삶은 물 8 kg을 제거하고 설탕 10 kg을 넣어서 60분간 졸여서 24시간 당침하는 작업을 5회에 걸쳐 행하였다. 졸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과와 정과액 모두 수분함량과 pH는 낮아졌고 정과액의 $^{\circ}Brix$는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정과 내 조사포닌 함량은 원료삼의 4배가 증가하였으며 구성사포닌 중 Rf와 Rd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여 각각 원료삼의 77배 및 16배가 높아졌으며 기타 검량된 구성사포닌은 감소하였다. 정과액에서도 정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인삼의 사포닌이 용출되어 마지막 정과액(GJS 5)에서 Rf와 Rd 및 조사포닌 함량이 각각 15.05, 3.54 및 61.88 mg/g이었다. 또한 졸임 과정 동안 수분증발에 의하여 정과 및 정과액 모두 총 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졸이는 동안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정과의 유기산 함량은 당을 첨가하여 졸이기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정과액은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정과 및 정과액의 색도는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올리고당 시럽의 첨가에 따른 가래떡의 노화억제효과 (Effect of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 손혜숙;박순옥;황혜진;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13-1221
    • /
    • 1997
  • 올리고당이 가래떡의 조직감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 조성이 다른 3가지 올리고당류 (M75, HL, G4)를 쌀가루에 고형분대치로 10% 까지 첨가하여 제조한 후 실온$(25^{\circ}C)$과 냉장$(4^{\circ}C)$ 조건하에서 5일간 보관하연서 조직감의 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하였다. 가래떡의 조직감특성은 사용된 올리고당의 종류, 첨가농도,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p<0.0001)를 나타내므로 이들이 모두 가래떡의 견고성, 응집성, 탄성, 검성 및 씹힘성에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는 올리고당을 첨가하였을 때, 올리고당을 첨하지 않은 경우보다, 올리고당의 종류나 보관온도에 관계없이 시간경과에 따라 낮은 조직감 변화를 보였으며, 당농도가 증가할수록 조직감의 변화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가래떡의 관능적 품질의 안정화에 효과를 보였다 특히 DE값이 높은 M75및 HL이 G4보다 노화억제에 더욱 기여하였으며 isomaltose 및 panose의 함량이 높은 HL이 maltose가 주성분인 M75보다 노화억제효과가 더 높았다. 호화된 전분젤을 $4^{\circ}C$에서 7일간 저장한 후 DSC를 이용하여 전분의 노화현상을 측정한 결과, 올리고당을 첨가했을 때 호화개시온도가 처음보다 낮아졌으며, 올리고당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재결정도는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올리고당의 종류중 maltotetraose가 주성분인 G4보다 이당류, 삼당류가 주성분인 M75와 HL의 노화지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HL은 5%첨가로도 약 15%의 높은 전분 재결정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조직감 측정 결과와 비교적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 PDF

시판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Korean commercial yogurt)

  • 노영희;장아순;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3-118
    • /
    • 2020
  • 국내에서 시판되는 20종의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은 pH 4.05-4.51, 적정산도 0.80-1.45%, 생균수 6.65-9.39 log CFU/g 으로 측정되어 일반적인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생크림 요거트(D-2)가 0.71 mg GAE/g으로 가장 낮은 반면, 블루베리(E-2)와 딸기 시럽(A-2, C-1, B-1)이 첨가된 요구르트(2.30-2.92 mg GAE/g)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시판 호상 요구르트에 함유된 lactic acid의 함량은 20.38-54.42 mg으로 측정되었으며, 총 유기산 함량의 82.9%를 차지하여 주요 유기산 성분으로 나타났다. 생균수와 젖산 및 총 유기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시료는 그릭 요거트(G-1)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활성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시료는 딸기시럽이 첨가된 A-2와 B-1이었으며, 가장 낮은 시료는 플레인 소프트 요거트 F-1이었다. 이들 항산화 측정법과 시료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과의 상관관계는 평균 r=0.4574로 나타나, 호상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은 자체 내 함유된 총 페놀성분의 농도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측면에서 항산화 활성과 probiotics의 효능을 동시에 지향하는 요구르트 제품을 선택하고자 할 때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약식의 제조방법과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조직감의 변화 (Effects of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texture of Yaksik(cooked and seasoned glutinous rice))

  • 이혜정;이영근;구성자;홍성희;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91-396
    • /
    • 1988
  • 약식의 유통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품질요소인 조직감의 경화현상을 측정하는 방법을 수집하고 제조방법과 저장조건에 의한 경화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제조방법으로 만든 약식은 실온 $(20{\circ}C)$에서 3일간 저장할 수 있었으며 유통 상한점에서의 경도는 multipuncture시험의 700g 하중 수준이었다. 냉장저장$(5^{\circ}C)$에 의하여 약식의 굳는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Avrami식으로 산출한 속도상수비는 $1.3{\sim}3.3$배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압력솥 처리구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물엿첨가는 약식의 경화속도를 다소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압력솥 처리에 의하여 약식은 너무 무르게 되어 기호도가 다소 떨어지나 냉장보관시에는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전자렌지로 조리한 약식은 대단히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약식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조직감 기호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조직감 기호도는 multipuncture 시험의 최대 하중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multipuncture 시험이 약식의 품질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질소치환포장 및 ${\gamma}-Oryzanol$ 첨가가 유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Gas Packing and ${\gamma}-Oryzanol$ Treatment on the Shelf Life of Yukwa(Korean Traditional Snack))

  • 박윤정;전향숙;김상숙;이종미;김규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7-322
    • /
    • 2000
  • 전통 유과의 저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Al증착필름 질소치환포장(AN포장군), PE필름 함기포장(PE포장군) 및 ${\gamma}-oryzanol$첨가 질소치환포장(ANA포장군)을 적용하여 $60^{\circ}C$에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지방산 함량의 경우, PE포장군과 AN포장군은 저장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세 포장군 가운데 ANA포장군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hexanal 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높았고, 색도에 있어서도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황색도, 적색도가 더 높았다. 유과의 색도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저장 중 수분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유과의 질소치환포장시 완전탈기할 경우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났고 형태를 유지할 경우 잔존 산소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지내 잔존 산소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유과의 경우 질소치환포장의 적용은 완전 탈기가 어려워 일반 유탕스낵에 비해 효과가 낮으며, 유과의 저장성 증진을 위해서는 항산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목이버섯으로부터 추출한 항혈전물질의 제품화와 동물실험을 통한 항혈전활성 검증 (Production of Antithrombotic Material Extracted from Auricularia auricular-judae and the Verification of Its Antithrombotic Activity via Animal Test)

  • 박영서;최혁준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59-366
    • /
    • 2010
  • 목이버섯으로부터 항혈전물질을 추출하여 제품화하기 위한 대량생산공정을 다음과 같이 확립하였다. 즉, 건조된 목이버섯을 분쇄하여 75% ethanol로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침전물에 증류수에 첨가한 후 $76^{\circ}C$에서 2시간 추출한 후 압착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다. 이를 감압농축한 후 여기에 최종 농도가 80%가 되도록 ethanol을 첨가하여 추출한 침전물을 동결건조한다. 제품의 소비지 기호도 조사를 통해 부재료의 종류와 첨가량을 결정하여 배합비를 목이버섯 추출물 90.5%, 고과당 2.0%, $\beta$-cyclodextrin 1.5%, 올리고 당 2.0%, 배 농축액 4.0%로 결정하였다. 제품을 포장하여 25, 37, $45^{\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 8주에서도 수분활성도, 수분함량, pH, 산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생균수는 $25^{\circ}C$$37^{\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증가한 반면, $45^{\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에는 저장 2개월 후에는 대부분 사멸하였다. 제품을 쥐에 정맥투여하였을 경우 1,000 mg/kg 투여 시 APTT 활성, TT 활성, PT 활성, FIB 활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500 mg/kg을 경구투여하였을 경우 항혈소판활성이 아스피린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맥아 첨가비율을 달리한 표고당화액의 세포독성, 항염증효과 및 아미노산 함량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ntinula edodes Syrup by Different Malt Concentrations)

  • 하늘이;박옥란;김경제;진성우;고영우;임승빈;정희경;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19
  • 표고(Lentinula edodes)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면역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 특유의 향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상이하여, 표고를 맥아로 당화하여 소비자들의 섭취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아미노산을 포함한 당화액을 제조하여 면역효과가 증강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버섯류를 비롯한 담자균류에는 다양한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도 자주 사용된 기록이 있다. 최근 고등담자균류인 버섯의 성분 및 유용성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식품학적 및 약리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고(L.edodes)와 당화효소로 사용한 맥아의 비율에 따라 A (표고 1 kg : 맥아 50 g), B (표고 1 kg : 맥아 100 g), C (표고 1 kg : 맥아 200 g), D (표고 1 kg : 맥아 300 g), E (표고 1 kg : 맥아 300 g) 5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표고당화액을 농축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로 분쇄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고당화액의 면역효과를 검증하고자, Raw 264.7에 표고당화추출분말 A, B, C, D, E를 각각 10, 50, 1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과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시험결과, E 시험구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75.3%, $500{\mu}g/mL$의 농도에서 66.3%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을 보였다. 또한 A, B, D를 각각 $500{\mu}g/mL$의 농도로 처리 했을 때, 94.1%, 83.1%, 80.2%의 NO 생성율을 나타내어 E 시험구를 제외하고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고당화추출분말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C 시험구에서 19,699.01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시험구에서 17,231.14 mg%, B 시험구에서 17,152.38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E 시험구에서 13,367.98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표고당화추출분말에서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 이 검출 되었으며, C 시험구에서 2,562.0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 시험구에서 2,243.16 mg%, D 시험구에서 1,895.29 mg%, A 시험구에서 1,672.82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블루베리를 첨가한 딸기잼의 품질 특성 (Effects of Blueberr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 한복경;강창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15-2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블루베리를 활용하여 딸기잼의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딸기잼의 배합비는 딸기 중량 대비 설탕 50%, 포도당 10%을 기준으로 하여 딸기 중량의 5, 10, 20%를 블루베리로 대체하여 제조하여 실험군으로 평가하였으며, 딸기잼의 수분, 환원당, 총산도, pH, 당도, 펙틴,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칼소거능, 물성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함량, pH, 펙틴의 함량은 딸기가 블루베리 보다 다소 높았고, 환원당, 총산도, 당도, 안토시아닌 함량은 블루베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제조한 잼의 품질비교의 경우 대조군 잼에 비해 블루베리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총산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경우 블루베리 첨가군의 L값은 블루베리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값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다소 증가된 값을 나타내었으며, b값 또한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된 값을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은 블루베리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블루베리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소거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의 측정 결과는 블루베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부착성, 점착성, 회복력은 대조군에 대비하여 점차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나 블루베리의 첨가는 잼의 경도, 부착성, 점착성, 회복력을 증가시켰다. 이는 블루베리가 딸기보다 총산함량이 높기 때문에 펙틴, 유기산, 당에 의해 형성되는 잼의 gel화에 블루베리 유기산들이 기인하여 잼의 물성이 양호해지는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블루베리의 첨가량에 따른 잼의 색, 점도, 단맛, 향,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는 블루베리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모든 항목에서 관능검사 점수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20% 첨가군의 경우 향 항목을 제외하고 더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10% 블루베리가 첨가된 딸기잼은 블루베리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니면서도 우수한 관능적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안토시 아닌 색소의 기능성을 부여한 잼 제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국내산 블루베리의 수요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밤(Castanea pubinervis schneid) 가공(加工)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 밤의 가공(加工) 적성(適性) 및 유색(有色) 가공품(加工品) 개발(開發)을 중심(中心)으로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hestnut (Castanea pubinervis Schneid) Part 1. Trials on the Raw Material Adaptability for Processing and Colored Products Development)

  • 서기봉;한판주;이성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8-108
    • /
    • 1974
  • 밤가공품(加工品)의 개발(開發) 및 이의 공업화(工業化) 가능성(可能性)을 연구(硏究)하기 위(爲)하여 밤의 품종(品種) "단택", "축파"를 포함(包含)한 14개종(個種)과 장기저장(長期貯藏)밤에 대(對)한 가공적성(加工適性)을 검토(檢討)하는 한편 실용적(實用的)인 유색가공품(有色加工品)의 가공방법(加工方法)에 대(對)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원료(原料)밤의 개체종(個體種)의 범위(範圍)는 $11{\sim}18g$로서 일본(日本)밤의 $15{\sim}37g$에 비(比)하면 적은 편이며 밤의 크기가 $25{\sim}30g$가 좋은 것으로 되어있는 Marronglaces의 제조(製造)에는 적합(適合)치 못하였다. 과육변색(果肉變色)의 주요소(主要素)인 tannin에 의(依)한 발색현상(發色現象)은 품종별(品種別)로 다르며 "축파", "유마" 등(等)이 가장 심(甚)하고 "다압B"같은 품종(品種)은 거의 발색(發色)치 않아 감로자(甘露煮) 등(等)의 가공(加工)에 적합(適合)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나) 밤전분(澱粉)의 성상(性狀)도 품종별(品種別)로 약간씩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감자전분(澱粉)에 비(比)하면 입자(粒子)의 크기가 $1/4{\sim}1/9$정도(程度)이고 호화온도(糊化溫度)는 감자전분(澱粉) $67^{\circ}C$에 비(比)하여 밤전분(澱粉)은 $73^{\circ}C$로서 높은 편(便)이었다. 밤과육(果肉)의 외곽(外郭)에는 무전분층(無澱粉層)이 있으며 이것이 가공도중(加工途中) 층리현상(層離現象)을 가져와 외관(外觀)을 손상(損傷)케 하고 설탕 syrup통조림의 경우 즙액(汁液)을 혼탁(混濁)케 할 우려(憂慮)가 있다. 한편 장기저장(長期貯藏)밤은 무전분층(無澱粉層)이 중앙(中央)에 형성(形成)되고 외곽(外郭)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하게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전술(前述)한 층리현상(層離現象)은 심(甚)하지 않았다. 다) 유색제품(有色製品)을 위(爲)한 박피방법(剝皮方法)으로서는 열(熱)에 의(依)한 배초방식(焙焦方式)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batch 처리(處理)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은 밤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밤의 개체종(個體種) 평균(平均) 11.7g 및 23.3g의 것으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배초소요시간(焙焦所要時間)이 각각(各各) 1분(分) 50초(秒) 및 3분(分) 10초(秒)가 소요(所要)되었다. 박피가능률(剝皮可能率)은 적은 것이 100%, 큰 것이 98.5%였으며 저장(貯藏)밤과 수확후(收穫後)의 밤의 박피능률(剝皮能率)에는 약(約) 20%의 차(差)가 있었으며 저장(貯藏)밤의 경우가 어려웠다. 라) 단위시간당(單位時間當) 배초처리능력(焙焦處理能力)은 배초처리진동식(焙焦處理振動飾)의 반경(半徑)의 자승(自乘)에 비례(比例)하며 그 처리능력(處理能力) y와 진동식(振動飾)의 반경(半徑) x와의 사이에는 $y=2.45(x-4)^2$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며 동일기계(同一機械)로서 진동식(振動飾)의 반경(半徑)만 조절(調節)하면 그 능력(能力)의 신축성(伸縮性)이 비교적(比較的)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