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bolic culture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25초

자녀와 부모의 소비문화와 결혼식인식이 작은 결혼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Culture and Awareness on Wedding Ceremon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n the Preference of a Simple Wedding)

  • 주영애;홍영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253-263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er culture and awareness of wedding ceremoni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s well as preference for a simple wedding in order to develop a simple wedding concept. The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came from 375 of children 216 and parents 159. Data was analyzed with t -test, analysis of varia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ver. 18.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had a higher symbolic consumption than parents and parents had a higher functional consumption than children. Second, children prefer a discriminate and characteristic small wedding, while parents prefer an economical, meaningful and nonconforming simple wedding. The variables that effect parents simple wedding preferences were consumer culture, awareness of wedding ceremony, gender, and education; those of children were, consumer culture, awareness on wedding ceremony, gender, and age. Children had a functional and economical consumption focused on meaningfulness and rationale of the wedding, they prefer an economical meaningful small wedding. Children had functional consumption that prefers a discriminate characteristic small wedding and a nonconforming small wedding compared to men. Parents did not have symbolic consumption and focused on the meaningfulness and rationale of the wedding, they prefer an economical meaningful small wedding. Parents focused on the meaningfulness and rationale of the wedding; in addition women prefer a discriminate characteristic small wedding compared to men. Parents had functional consumption and focused on the meaningfulness and rationale of the wedding with a preference for a nonconforming small wedding.

골프장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하우스 캐디유니폼 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House Caddie Uniforms Design to Enhance a Golf Course Image)

  • 박우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3-5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ouse caddie uniforms design which reflects the CI and image of 'Golfzon County Sunwoon', a representative golf course in the Honam circle, to enhance a positive image of a golf course and improve house caddies' service quality and their working efficiency. Study methods were as follows. In literature review, the domestic golf industry, golf culture, and house caddie uniforms as one of golf course CI elements were investigated. In empirical study, the formativeness of domestic golf course CI and house caddie uniforms was analyzed. Then, house caddie uniforms were developed using CI which is the symbolic element of a golf course. A concept for uniforms design development was 'Golf & Culture Communication' to symbolically represent an image of IT-based total golf culture club. It was limited to female uniforms design for spring or autumn that is high in application. A symbol and a logo which are symbolic elements of a golf course were freely worn in the form of a brooch. Symbolism and practicality were reinforced using PB(v), R(v), YR(v), and Y(vp) colors only for a golf course. Functionality was improved by using UV protection materials and aesthetics was expressed by reflecting 2014-15 F/W trends.

한·중 양국 동물의 상징적 의미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symbolic meaning of animals between Korea and China)

  • 박민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21권
    • /
    • pp.271-288
    • /
    • 2010
  • In their everyday life, people form social phenomena and relations through the shapes and habits of animals. Therefore, animals contain the idea of the way of life of certain nations, spiritual and cultural feelings, and the symbolic meaning which can be recognized between the members of the unique nation. The symbolism of animals varies depending on different nations, because the adages are the essence of the language including their culture, thought, custom, and life. Examining their own adages can be one of the ways to find out what the animals symbolize in different nations. Another reason is that they are the dictionaries, reflecting their own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values, so to speak. The research shows that,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ages, it is in a similar frequency, using materials such as mammals, birds, fishes, reptiles, and insects. The adages are focused on the 12 animals which is familiar to both nations, a rat, an ox, a tiger, a rabbit, a dragon, a snake, a horse, a lamb, a monkey, a rooster, a dog and a boar. We compared the symbolism, the surface meanings in adages, and the figurative meanings of these animals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ome are almost the same in usage. However, some are totally different such as expressions related to the animals,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clear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do comparative researches in a detailed and various way by studying the issues derived from verbalism.

대중문화 속 종교유사성에 관한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다빈치 코드>를 사례로 한 '상징교수법' 교수학습 모형 개발- (An Application Plan for Religious 'Symbolic Didactics' in Religious Media Pedagogic and Popular Culture -Development of a Teaching & Learning Example Focusing on "The Da Vinci Code"-)

  • 문혜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7-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종교미디어교육의 관점에서 다중문화 속에 나타나는 종교적 상징과 종교유사성에 대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오늘날에는 종교의 기본이념이나 종교문화적 가치관이 대중문화를 통해 왜곡되어 전달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 및 미디어 관련 교육문화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실제적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써 '상징교수법'을 소개하였고, 이 이론을 토대로 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써 '행동과 발달지향 미디어교육'의 교수설계 모형에 상징교수법의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통합하였다. 이 모형을 토대로 <다빈치 코드>를 사례로 하는 교수학습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사례를 위해 <다빈치 코드>에 나타난 종교유사성 관련 요인들을 도입하였고, 총 8차시의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징교수법의 활용방안은 <다빈치 코드> 외 여러 프로그램을 대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이 교육에 대한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교육을 진행할 교사교육도 필요하다. 이 상징교수법 교육사례는 종교교육에서 뿐 아니라 문화, 언어 등 다른 교육주제와의 연계도 가능하다.

  • PDF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 김도경;임창빈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일상체험의 장인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대상지역 가로경관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제고한 상징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과 미래지향적 가로의 이미지를 가로환경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개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시켜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상징가로 환경조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특성화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는데도 그 목적 이 있다. 상징가로의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역사적 요소가 상실되고 도시화(신도시)가 이루어진 가로를 대상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현재의 지역이미지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추출하였다. 이미지 평가실험을 통해 추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가로의 상징도구로 가로환경시설물을 이용하여 지역의 가로를 특성화하였다.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에 상징이미지를 적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가로를 형성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함으로써 지역민의 소속감, 자부심과 애향심을 심어주는데 도움을 주고, 공공기관에서 지금까지의 연구내용과 연관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상징성 추출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

  • PDF

미술품 내 상징적 사물이 경매 가격에 미치는 영향: H-T-P 모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ymbolic Objectives upon the Artwork Price: Focusing on House-Tree-Person Model)

  • 황보여주;신형덕;정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03-5410
    • /
    • 2013
  • 본 연구는 미술경매시장에서 미술품 거래 시 미술품의 소재로 사용된 상징적 사물이 미술품의 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Buck(1948)의 집-나무-사람(H-T-P) 모델을 적용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의 기간 동안 서울옥션에서 낙찰된 402개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미술품 내에 집과 사람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경매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낙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품 가격 연구에서 발견한 요소들 이외에도 소재로 이용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사물도 미술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Buck(1948)의 모델이 미술품 가격결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harles Dickens 소설에 나타난 복식 상징성 연구 -기분 및 감정을 중심을- (An Analysis of Clothing Symbolism on Mood and Emotion Described in Charles Dickens' Novels)

  • 이유경;김진구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1호
    • /
    • pp.39-53
    • /
    • 1994
  • This paper analyzes clothing symbolism of mood and emotion described in master pieces of Charles dickens(2812∼1870), who is a well-known writer of England, and thus tries to clarify symbolic characteristics of clothing woven into all human lives.. The result show that clothing symbolizes in various ways such mood and emotion as bless, wrath, friendliness, respect, surprise, excitement, embarrassment, uneasiness, sadness, melancholy, anxiety, hostility, unpleasantness, deliveration, shyness, blessing, gratitude, despair, shame, sympathy, boasting, etc.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체 게바라(Che Guevara)의 아이콘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conization of Che Guevara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 김혜정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1-11
    • /
    • 2006
  • Che Guevara spearheading the Cuban Revolution was not only the icon as the revolutionary to the New-leftists of the 1960s advocating the ideology of Marxism but, as the cultural revolutionary,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the digital age Che Guevara take on a figure of both the symbol of the Leftist but the romantic revolutionary because he had the external features such as black beret, red stars, military upper jackets and trousers, beard and pipe tobacco. In fact, the symbolic image of Che Guevara was made as the popular image by the avantgarde artists and political vanguard forces of the times under the necessity of Cuban government. Afterwards, the image of Che Guevara has been patronized in making people of aware of the resistant and revolutionary image to capital, power and the power of the media and symbolized as the resistant image to the American capital as well as the revolutionary guerrilla. And his image has continued to be reproduced and symbolized for the commercial and political purposes and as the enthusiastic image of youth culture. This can be seen as having been created as a new image by the popular culture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the cyber culture and mass media in the cyberspace shaped by contemporary 'N' generations. The use of Che Guevara's symbolic image was made in the fashion field as well a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The borrowing of the icon of Che Guevara represented in a fashion field is attributed to his free spirit, and it can be seen that fashion exists as the vehicle for representing both the symbol system and the sign system containing ideologies and texts as the communicator of resistance to the regime and to social issu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mmercial iconization of Che Guevara in the 1990s by comparing the ideology of the symbol in the 1960s and the 1990s and inquire into the borrowing of his image by the fashion domain as well as the fashion worn by him by reference to domestic books and materials on the fashion site. Thereby,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clear that the borrowing of Che Guevara in the realm of fashion since the 1990s not only contained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as the symbolic code in the culture of young people living in a digital era but fashion performs an intervening role in the cultural phenomenon.

우리나라 구곡시가에서 나타난 조경 식물종의 상징적 의미 (The Meaning of Plant Species in Korean Gugok Poems(九曲詩歌))

  • 오창송;박상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7-94
    • /
    • 2020
  • 구곡시가는 구곡원림을 연구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특히 시가에서 출현하는 경물은 그 장소성과 원림의식을 표출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인식 태도나 미적 형상화 과정을 탐구할 수 있는 식물 소재에 대하여 다수학문들은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곡원림문화의 연구 소재를 확장하기 위해 구곡시가에 출현한 식물에 관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발굴하고 그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나는 총 18구곡처 25개의 관련 시가를 수집하였고 총 20종의 식물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구곡 시가와 그 해설문을 R-program을 사용하여 수목의 의미를 도출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수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20종의 식물은 신선계, 청빈, 향수, 군자의 품격, 진락, 절개, 강학, 태평성대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였다. 다수의 종은 '신선계'에 상징성을 집중하였고 다음으로 '군자의 품격'에 대한 싱징 빈도가 높았다. 복사나무, 느티나무, 떡갈나무 등을 제외한 다수의 수종이 다중적 의미를 갖추고 있었다. 그 중 소나무와 연꽃이 상징적 의미의 폭이 넓었고 주변 경관의 특성에 따라 의미도 달랐다. 일반적으로 구곡문화는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하지만 용산, 퇴계, 덕산, 주산구곡은 인위적인 배식 및 정원 행위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강화 또는 재생산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우리 구곡시가는 무릉도원을 상징하는 복사나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단풍나무와 갈대를 대체 수종으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맥락에 따라, 구곡시가에 출현하는 수목은 전통적인 의미를 고집하기보다는 해당 구곡의 경물, 행위 그리고 의도에 따라 그 상징적 의미를 다르게 표출하였다.

정신장애인에 대한 실질적 위협감 및 상징적 위협감: 접촉경험 및 공동체의식과의 관계 (The realistic threat and symbolic threat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effect of contact and sense of community)

  • 류승아;김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2호
    • /
    • pp.119-135
    • /
    • 2019
  • 기존의 연구들은 비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위협감이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및 차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한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위협감(실질적 위협감/상징적 위협감)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접촉경험과 공동체의식을 선정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465명(평균 22.87세)을 대상으로 접촉경험 유무, 접촉대상, 경험을 통해 받은 인상(경험의 질), 공동체의식, 그리고 위협감을 질문하였다. 분석결과, 실질적 위협감은 접촉경험 여부나 대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징적 위협의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낮게 나타났다. 접촉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해당 경험의 질을 살펴본 결과,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경험의 질이 실질적 위협감 및 상징적 위협감 모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접촉경험 유무는 상징적 위협감만 설명하였지만, 공동체의식은 실질적 위협과 상징적 위협 모두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접촉과 공동체의식이 위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