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bol energ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8초

Symbol of Death in Lessing's "To Room Nineteen" and in Morrison's Sula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rchetypal Psychology

  • Son, Ki Pyo
    • 영어영문학
    • /
    • 제55권6호
    • /
    • pp.1221-1244
    • /
    • 2009
  • The death scenes are the culmination of both Doris Lessing's "To Room Nineteen" and Toni Morrison's Sula. Lessing's Susan, an intelligent white English woman, gradually loses the meaning of life as awealthy housewife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commits suicide as her solution in Room Nineteen of Fred's Hotel. Morrison's Sula, an African-American woman, grows up without having the normal ego under Eva's matriarchy in a black community named the Bottom. Sula, after Nel's marriage, becomes a symbol of evil to her community and drifts down to death in Eva's bed. Reading these two death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archetypal psychology, Susan is not able to continue to live a meaningful life because her life energy is cut off from its source which is in the unconscious. According to Jung, the symbol is the medium of the psychic energy from the unconscious to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which is represented by intelligence, the religious and mythical symbols are removed by rationalism, which means disconnection of the flow of life energy from the unconscious. Susan's death can be read as a kind of creating symbol to connect the modern people to the source of life energy. Sula's case is the opposite of Susan's. She remains in the unconscious world without having the proper ego in the absurd reality of racial and sexual problems. Sula finally rises again in Nel's awareness, becoming a symbol of the feminine goddess like goddess Inanna.

Performance and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802.11 with FEC Codes over Wireless Sensor Networks

  • Ahn, Jong-Suk;Yoon, Jong-Hyuk;Lee, Kang-Wo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9권3호
    • /
    • pp.265-273
    • /
    • 2007
  • This paper expands an analytical performance model of 802.11 to accurately estimate throughput and energy demand of 802.11-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when sensor nodes employ Reed-Solomon (RS) codes, one of block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techniques. This model evaluates these two metrics as a function of the channel bit error rate (BER) and the RS symbol size. Since the basic recovery unit of RS codes is a symbol not a bit, the symbol size affects the WSN performance even if each packet carries the same amount of FEC check bits. The larger size is more effective to recover long-lasting error bursts although it increas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encoding and decoding RS codes. For applying the extended model to WSNs, this paper collects traffic traces from a WSN consisting of two TIP50CM sensor nodes and measures its energy consumption for processing RS codes. Based on traces, it approximates WSN channels with Gilbert models. The computational analyses confirm that the adoption of RS codes in 802.11 significantly improves its throughput and energy efficiency of WSNs with a high BER. They also predict that the choice of an appropriate RS symbol size causes a lot of difference in throughput and power waste over short-term durations while the symbol size rarely affects the long-term average of these metrics.

Signal Space Representation of Half-Symbol-Rate-Carrier PSK Modulations

  • Yeo, Hyeop-G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3호
    • /
    • pp.304-308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a signal constellation of the recently introduced half-symbol-rate-carrier phase-shift keying (HSRC-PSK) modulations for bandwidth-efficient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Since the HSRC-PSK modulations contain different symbol energies representing the same bit sequences due to the loss of orthogonality of their HSRC signals, it is very hard to represent the symbol using the conventional signal constellation. To resolve the problem, two different energies are assigned to represent one symbol for the HSRC offset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OQPSK) modulation. Similarly, the different energies exist to display the different symbol for HSRC minimum shift keying (MSK) modulation. With the proposed signal space representation, HSRC-PSK symbol can easily be shown with a two-dimensional scatter plot which provides helpful information of evaluating HSRC-PSK signal's quality.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 효율과 에너지 소비에 대한 블록 FEC 심볼 크기 영향 분석 (Analysis of Block FEC Symbol Size's Effect On Transmission Efficiency and Energy Consumption over Wireless Sensor Networks)

  • 안종석;윤종혁;이영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7호
    • /
    • pp.803-81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저속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에서 블록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알고리즘의 심볼 크기의 변화에 따른 802.11 MAC 프로토콜의 전송 효율과 전송 에너지를 해석적으로 분석한다. 블록 FEC 알고리즘은 심볼(symbol) 단위로 오류를 복원하므로, 주어진 무선 센서 채널에서 같은 FEC 체크 비트(check bit) 량을 사용하더라도 블록 FEC 알고리즘의 오류 패킷 복원률은 블록 FEC 심볼 크기에 의존적이다. 즉, 같은 양의 FEC 체크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속된 군집 오류 길이는 작으면서 군집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채널에서는 작은 FEC 심볼이, 이에 반해 군집 오류의 길이는 크고 군집 오류 개수가 작은 군집적 분포를 보이는 채널에서 큰 FEC 심볼이 효율적이다. 심볼 크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 TIP50CM을 사용하는 WSN에서 수집한 패킷 트레이스를 기반으로 WSN 채널을 Gilbert 모델로 모델링하고, 심볼 크기가 다른 RS(Reed-Solomon) 코드를 생성하고 해석하기 위한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모델링된 채널과 각 RS 코드 생성과 해석 에너지를 이용하여 FEC 심볼 크기에 따른 RS FEC 코드를 채택한 802.11 MAC 프로토콜의 전송 효율과 전송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실제 측정 데이터와 해석적으로 계산한 데이터를 결합한 계산에 의하면 비슷한 FEC 체크 비트 량을 사용하더라도 FEC 심볼 크기에 따라 전송 효율은 최대 4.2%, 그리고 소요 에너지는 최대 35%의 차이가 발생한다.

OFDM 기반 무선 LAN에서의 개선된 심볼옵셋 추정기법 (An Improved Symbol Offset Estimation Technique in OFDM-based Wireless LANs)

  • 전원기;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B호
    • /
    • pp.66-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무선 LAN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심볼 옵셋 추정기법을 제안한다. OFDM 심볼에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과 채널간 간섭(Inter-Channel Interference: ICI)이 없는 경우 추정된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심볼 옵셋만큼 순환 이동한다. 전형적인 다중경로 무선채널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은 지수적 감소 함수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에너지가 임펄스 응답의 앞부분에 주로 집중된다. 제안된 기법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먼저 심볼 옵셋만큼 순환 이동된 다중 경로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한 후 유한 길이의 이동 윈도우를 사용하여 임펄스 응답의 부분 평균 전력을 구한다. 그리고, 부분 평균 전력 중에서 최대값을 갖는 이동 윈도우의 인덱스로부터 심볼 옵셋을 추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임펄스 응답의 추정 과정에서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ISI와 ICI를 제거시키며 최소의 오버헤드를 얻기 위해 반복적 구조의 훈련 신호를 사용한다. 실내 무선 채널 모델에서의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Bit Decision 윈도우를 이용한 Noncoherent IR-UWB 수신기의 심벌 동기에 관한 연구 (Symbol Synchronization Technique using Bit Decision Window for Non-Coherent IR-UWB Systems)

  • 이순우;박영진;김관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2호
    • /
    • pp.15-2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mpulse-radio-based Ultra Wideband (IR-UWB)를 이용한 에너지 검출 기반의 비동기 수신기에서 저사양의 ADC와 간단한 디지털 회로 만으로 이루어진 심벌 동기 획득(acquisition) 및 심벌 동기 추적(tracking)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심벌 동기 방식이 정확한 심벌 동기 '시점을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제안하는 방식은 심벌 동기 '구간'을 찾아 그 구간 내에서 데이터를 판단함으로써 하드웨어 복잡성을 낮추었고, 전력 소모를 줄였다. 이를 위해 심벌 동기 구간에 해당하는 BDW (Bit Decision Window)를 정의하고 SNR(Signal to Noise Ratio), 하드웨어 자원 및 BDW의 크기와 BER (Bit Error Rate)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어진 SNR과 하드웨어 자원으로 BER을 최소화하기 위한 BDW의 크기를 구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실제 임펄스 채널 특성을 고려하여 모의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IR-UWB 시스템을 위한 선택적 가중치 결합 에너지 검출기(S-WED)와 동기 알고리즘 (Selective-Weighted Energy Detector(S-WED) and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IR-UWB systems)

  • 지신애;김재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7호
    • /
    • pp.3-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IR-UWB (Ultra Wideband-Impulse Radio) 시스템을 위한 선택적 가중치를 적용한 에너지 검출기와 이에 적합한 동기 방법이 제안되었다. 구현이 용이한 에너지 검출기(ED)는 IR-UWB 시스템의 수신기로 많이 사용되나, 심볼 주기로 샘플링 된 에너지를 데이터 검출에 이용하기 때문에 수신 성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순한 에너지 검출기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가중치를 적용한 에너지 검출기가 제안 되었다. 가중치를 적용한 에너지 검출기는 데이터 검출 이전에 동기 획득과 함께 가중치의 결정이 요구된다. 한편, 에너지를 이용한 검출 방법에서 최적의 가중치는 에너지 값이 되기 때문에 동기 획득과 가중치 획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와 가중치 획득을 동시에 얻는 간단한 동기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잡음 레벨 이하의 구간은 에너지 누적에서 제외함으로써 기존의 WED 보다 간단하지만 낮은 SNR에서 좀 더 향상된 성능을 가진 수신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IEEE 802.15.4a의 프리앰블 심볼과 채널 모델을 이용해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동시 무선 정보 및 전력 전송을 위한 통합된 수신기 구조 기반의 새로운 검출 기법 (Novel Detection Schemes Based on the Unified Receiver Architecture for SWIPT)

  • 강진호;김영빈;신대규;최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268-27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동시 무선 정보 및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률-에너지 영역 관점에서의 근본적인 트레이드오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되었던 새로운 수신기 구조를 기반으로 복잡도가 낮은 새로운 검출 기법들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정류된 신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진폭 정보를 통해 유클리드 거리 기반으로 부호의 진폭을 먼저 검출한 후 기존의 정보 복호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위상 정보를 통해 유클리드 거리를 기반으로 최종 부호를 검출하는 이단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기존의 정보 복호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진폭과 위상 정보를 포함한 유클리드 거리와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정류된 신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진폭정보를 포함한 유클리드 거리를 결합하여 부호를 검출 할 수 있는 유클리드 거리 결합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부호 에러율과 부호 성공률-에너지 영역, 달성 가능한 전송률-에너지 영역 측면에서 기존의 정보 복호화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얻음을 확인하였다.

블럭부호변조 기반의 Transmitted Reference 광대역 통신 시스템 (Transmitted Reference UWB Systems Based on Block-Coded Modulation)

  • 민승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3호
    • /
    • pp.289-293
    • /
    • 2013
  • 광대역 통신을 위한 비동기 (noncoherent) 수신기인 CMSA (codeword matching and signal aggregation) 방식을 이용한 BCM (block coded modulation) 방식은 TR (transmitted reference) 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레임간 간섭/심볼간 간섭 (IFI/ISI : interframe interference/inter symbol interference)가 존재하는 채널 환경에서는 신호대 잡음비 (SNR : signal to noise ratio)가 증가하더라도, 수신 신호의 전력이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인접한 코드간의 간섭의 증가로 인하여 비트오율 (BER : bit error rate) 등과 같은 성능향상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방식은 BCM의 부호 정합 (code matching) 대신에 TR 신호를 기반으로 블록 부호화된 기준틀 (block coded template)을 구성한 후, 수신신호에 상관기 (correlator)를 통과하여 송신신호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식이 BCM보다 우수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고속 동작을 위한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기 설계 (Design of 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ler for the High-speed Processing)

  • 이봉근;이영호;강봉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71-7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고속 무선 LAN의 표준안의 IEEE 802.11a-1999 를 위한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기를 제언한다. 송수신간의 동기화를 위한 신호인 training symbol을 이용하여 수신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측정한다. 측정된 이득을 이상적인 이득과 비교하여 갱신할 이득을 구한다. 갱신 이득은 신호를 증폭하는 GCA(Gain Controlled Amplifer)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되어 신호의 증폭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분 선형 근사방법을 이용하여 갱신 이득을 본 논문에서 제안한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기는 VHDL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Xilinx cAD tool을 이용하여 timing verification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