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imming exercis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5초

단기(短期) 파극(巴戟) 투여(投與)가 생쥐의 근피로(筋疲勞) 및 혈액(血液) 성분(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orindae officinalis Radix extract on muscle fatigue and blood component)

  • 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김상록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3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uscle anti-fatigue effects of Morindae officinalis Radix liquid extract. Methods: 4-6 weeks old ICR rats are used in the study, and we administered the extracts powder of Morinda officinalis concentration of 1, 10, 100mg/0.3 ml to each to rats(MO group) once a day for each 30 and 60 days. After 30 and 60 days, we examined the plasma concentraion of lactate dehydrogenase, glucose. And we measured the persistent time of swimming exercise test and conducted grip strength test Results: We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activity level of lactate dehydrogenase. And we found that in 30days group,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is significant. In swimming exercise test, as administration time and concetration growed up, swimming time is increased. And in grip strength test, as concentraion is growed up, grip strength is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how that Morinda officinalis is effective against muscle fatigue.

  • PDF

운동(수영)여부에 따른 중년여성의 체지방 대사비교 (Commarison of Body Fat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Depending Upon Swimming Practice)

  • 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5호
    • /
    • pp.397-405
    • /
    • 1995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wimming on some plasma parameters of lipid metabolism in the middle-aged women. The control group(C) was the women who lived without any intentional physical exercise, and the first experimental group(S I)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S II) had gone swimming everyday at least one hour for 3-6 months, and more than one year,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nergy and nutrient intake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but the body fat(%) of two experimental groups(S I, S I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2)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in plasm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swimming and swimming period. However, total lipids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han in control. 3) The level of plasma triglycerides of SI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but SII showed significantly lower triglycerides. 4) Acid-soluble acylcarnitine and $\beta$-hydroxybutyrate concentration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SII than in control. There results suggest that regular swimming in a longer period might help to protect the risk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by modulating lipid metabolism.

  • PDF

24주간의 수영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건강체력,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4-week Swimming Program on the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Stress Hormones and Immune Function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박찬호;배혜영;천지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51-563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영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건강관련 지표들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39세 사이의 성인 지적장애인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영프로그램에 참여한 운동군 10명과 동일한 기간 특별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일상적인 생활을 해 온 통제군 10명의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들의 건강체력,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대응 t-test, 독립 t-test 및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군에서 근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01), 심폐지구력(p<.01)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p<.01)은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면역글로블린인 IgA(p<.05), IgG(p<.001), IgM(p<.05)은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규칙적인 수영프로그램은 성인 지적장애인의 건강체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건강유지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Effects of Fermented Ssanghwatang on Swimming Capacity in Mice

  • You, Yang-Hee;Koh, Jong-Ho;Chung, Sung-Oh;Jun, Woo-Jin;Kim, Kyung-M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275-277
    • /
    • 2009
  • Swimming enhancing effects of ssanghwatang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ae in mice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fatigue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wimming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ermented ssanghwatang (FST) group from day 4 ($29.27{\pm}4.73$ vs. $50.27{\pm}9.05\;min$, p<0.05). The lactate level, an important indicator of fatigue, was drastically lower in FS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2.13{\pm}0.13$ vs. $1.40{\pm}0.12\;mmole/L$,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FST possesses stimulatory effects which can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and reduce fatigue.

자양강장용 기능성 식품이 흰쥐의 강제수영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wo Tonic Formula on the Forced-Swimming Capacity of Rats)

  • 송태철;한대석;이창호;김영언;정경아;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48-655
    • /
    • 2005
  • 본 연구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자양강장용 식품(formula A와 formula B)을 배합하고 복합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EC군에 비하여 EFA군과 EFB군의 강제 수영능력시간이 각각 평균 42%와 38% 증가되는 유의적으로 높은 수영능력을 보였으며(p<0,05), 90분간 수영을 한 군(90-min subgroups)에서 EC군에 비하여 EFA군 및 EFB군의 혈청 유리지방산과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EFB군의 혈청 암모니아의 농도가 E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또한, EFB군의 근육 글리코겐 농도가 EC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복합물 2종은 실험동물의 체내 중성지방으로부터 유리지방산으로의 전환을 촉진하여 단백질과 포도당을 절약하고, 에너지 생성 및 공급 효율 증가, 운동으로 야기되는 체조직 손상 억제 그리고 피로물질 축적 지연 등의 효과를 가져와 강제수영능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폐경여성의 동물모델에서 비만개선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농도 의존적인 영향 (Dose-dependent effects of genistein on the improvement of obesity in a mouse model of postmenopausal women)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53-1163
    • /
    • 2019
  • 폐경은 여성비만의 중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폐경여성의 동물모델인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몸무게와 혈청 속 지질 성분의 조절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농도 의존적 영향을 수영운동과 비교함으로써, 비만조절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효과적인 농도를 조사하였다. 난소절제 암컷 쥐는 대조군, 수영 운동군, 제니스테인 농도별(0.005%, 0.05%, 0.1% wt/wt) 처리군으로 나누고, 모든 쥐는 고지방식 사료를 8주 동안 섭취하였다. 고지방식 사료를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수영운동을 실시한 군과 제니스테인이 농도별로 처리된 군 모두 몸무게, 백색지방조직의 무게, 혈청 속 지질 성분 농도 및 간조직의 지질 성분 축적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몸무게, 백색지방조직의 무게, 혈청 속 지질 성분 농도 및 간조직의 지질 성분 축적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감소효과는 제니스테인 처리농도에 의존적이었고 제니스테인 농도 0.1%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1시간 수영운동을 실시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들은 난소가 절제된 암컷 쥐에서 적정농도의 제니스테인 처리는 비만개선에 대해 수영운동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제시한다. 제니스테인 보충제 식이의 섭취는 페경기 여성의 비만예방에 도움을 줄 것이다.

Gait Pattern of Hemiplegic Patients with Swimming Aqua-noodles

  • Kim, Suk-Bum;O'Sullivan, David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qua-noodles on the practice of underwater walking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 After an oral explanation and signing an IRB approved consent form 10 participants ($66.8{\pm}10.75yr$, $165.3{\pm}8.79cm$, $73.6{\pm}46kg$)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was required to walk with the aqua noodles and without the aqua-noodles in a swimming pool.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walk a distance of 5 m a total of 10 times, 5 with and 5 without the aqua-noodles. The depth of the swimming pool was at 1.3 m, approximately chest height.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calculated for analysis; height of the knee (m), knee joint ROM ($^{\circ}$), ankle joint ROM ($^{\circ}$), knee joint maximum angular velocity ($^{\circ}/sec$), and ankle joint maximum angular velocity ($^{\circ}/sec$).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ime (s) for the maximum knee height to reach as well as the maximum knee height (m) increased when the participant used the aqua-noodle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tride length when the aqua-noodles were used. Conclusion: This study helps to verify that the effect of underwater walking exercise can provide a suitable walking exercis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ystematic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how walking in water can be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and the elderly.

부하유무에 따른 수영운동이 중추신경계 손상 흰쥐의 혈청 BDNF 농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wimming Exercise by Load on Concentration of BDNF in Serum and Behavioral Change of CNS Injury in the Rats)

  • 하미숙;형인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91-39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손상의 쥐에 운동강도에 따른 신경계 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부하수영과 무부하수영이 혈청 BDNF 농도와 행동학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Ketamine을 복강 내에 주사하여 마취한 뒤 제 1-2요추의 척수에 6-OHDA를 $100{\mu}{\ell}$ 주입하여 척수손상을 유발시켰다. 척수 손상으로 유발된 행동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BB와 경사판 검사를 기록하였다. 혈청 BDNF는 수술 후 14일에 혈액을 채취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척수 손상 후 무부하군에서는 행동변화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청 BDNF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해 무부하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저강도 수영운동을 중추신경 손상 후 초기에 적용하면 신경조직의 회복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된다.

상대적 수영운동 강도가 흰쥐 갈색지방조직의 UCP-1과 UCP-3 mRNA 발현, 혈중 인슐린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lative Swimming Exercise Intensity on mRNA Expression of UCP-1, UCP-3 Brown Adipose Tissue and Blood Insulin, and Glucose in Rat)

  • 윤진환;오명진;서태범;김종오;장문녀;박성태;김영표;유재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3-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F344계 흰쥐를 대상으로 8주간 저강도 운동군과 고강도 운동군으로 나누어 수영운동을 실시하여, 갈색지방조직 내 UCP-1과 UCP-3mRNA 발현을 관찰하고 혈당 및 인슐린 수준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저강도 수영을 실시한 그룹이 대조군과 고강도 운동그룹보다 갈색지방조직 내 UCP-1과 UCP-3 mRNA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고강도 수영군에서 대조군 보다 인슐린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나 혈당에서는 유의한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저강도 수영군에서 대조군보다 혈당 및 인슐린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강도 수영운동이 갈색지방조직 내 UCP-1과 UCP-3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당대사를 활성화하여 인슐린민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