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ery

검색결과 35,212건 처리시간 0.072초

인공추간판 슬라이딩 코어의 곡률반경 변화가 종판의 접촉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adius of Curvature on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to the Endplate of the Sliding Core in an Artificial Intervertebral Disc)

  • 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호
    • /
    • pp.29-35
    • /
    • 2012
  • 척추관 협착증은 감압술과 융합술 그리고 인공추간판 치환술 등이 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는 인공추간판 치환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인공추간판의 연구는 추간판의 자유도 및 추체의 굴곡-신전, 측굴전, 축회전에 대한 해석이 핵심기술이지만, 시술 후 수년이 경과하여 발생하는 피로파손이 새롭게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인공추간판 연구는 슬라이딩 코어의 피로특성 및 내구성 향상에 집중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공추간판 제품(SB Charit$\acute{e}$ III)을 기초로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고, 슬라이딩 코어의 곡률반경과 마찰계수의 변화가 von-Mises 응력과 접촉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공추간판 모델들 (Model-I, -II, -III)을 제안하고 일정수명 후 발생할 수 있는 슬라이딩 코어의 피로파손 거동에 대해 SB Charit$\acute{e}$ III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후두 편평상피의 전암성 및 악성병변에서 화상분석기를 이용한 DNA 배수성검사와 Ki-67 항체 양성세포의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DNA Content and Ki-67 Antibody Expression by Means of Image Analyzer for the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Larynx)

  • 주형로;이선희;최종욱;김인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89
    • /
    • 1993
  • 후두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질환중 전암성병변은 이형성(dysplasia)과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등이 있으며, 이들은 진행하게되면 침윤성 악성병변으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전암성 병변의 정도를 정확히 구분 및 파악함으로써 침윤성 암종으로의 전환여부를 미리 예견한다는 것은 악성 후두질환의 병태파악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후두경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26례(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 14례, 상피증식증 5례, 성대결절 7례)를 대상으로, 22례에서는 생검조직을 touch imprint법으로 도말하여 Feulgen염색한 후 CAS 200 화상분석기로 DNA함량분석을 시행하였고, 전례에 대하여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Ki-67 단크론성 항체(M1B1)를 이용하여 면역효소염색을 시행한 후 화상분석기로 양성표현율을 측정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i-67 양성표현율은 침윤성 암종에서 31.65$\pm$11.59%, 상피증식증에서는 20.14$\pm$3.38%, 성대결절에서는 11.66$\pm$3.02%이었다. 2) 핵산지수(DNA index)는 침윤성 암종의 경우 비배수성이 10례 중 7례(70%), 상피증식증에서는 5례중 2례(40%), 성대결절에서는 7례 모두 이배수성을 보였다. 3) DNA함량분석에서 5기와 G2/M기를 합한 증식지수(PI)는 침윤성 암종에서 23.42$\pm$11.33%, 상피증식증에서는 13.09$\pm$10.90%, 성대결절에서는 4.50$\pm$1.19%로 침윤성 암종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성적에서 성대의 생검조직과 같은 미세조직으로부터도 DNA함량검사와 함께 Ki-67 양성표현율을 측정함으로써 전암성병변의 악성화 가능성 정도를 예견할 수 있었으며, 악성종양 환자의 예후판정에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Rapid Response Team)

  • 한미라;강은형;이용숙;장은주;이수정;허윤아;남궁서화;서서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198-206
    • /
    • 2020
  • Purpose: The rapid response team is a patient safety system that detects symptoms and signs of deteriorating inpatients and provides inter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team.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at analyz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The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7. We analyzed 278 pieces of data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for patients aged 16 years or older at C University S Hospital in Seoul. We employed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asons for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were oxygen saturation of less than 90.0%, other causes, and change in consciousnes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activated patients was respiratory failure (32.4%). The average activation time was 153.43±286.05 min. The activation time was shortest during convulsions (13.29±7.32 min). For patients with a history of kidney disease (B=0.58, p=.008), in case of surgery (B=0.55, p<.001), if the first symptom is mediated by the physician (B=0.53, p=.007) the active time is often extended. On the other hand, activation time is reduced when consciousness changes (B=-0.51, p=.002), especially when oxygen saturation is below 90.0% (B=-0.64,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patients deteriorating in the general ward would be recognized early, which will help in the effective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현종(懸鍾)($GB_{39}$).양릉천(陽陵泉)($GB_{34}$)의 전침(電鍼) 및 레이저침이 백서(白鼠)의 신경병리성(神經病理性) 동통(疼痛)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 and Laser Acupuncture Treatment with $GB_{39}$ and $GB_{34}$ on Neuropathic Pain in Rats Induced by Tibial and Sural Nerve Ligation)

  • 김용세;이주희;이상현;나창수;조명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25-134
    • /
    • 2013
  • Objectives : We studied the effects of electro and laser acupuncture treatment with $GB_{39}$ and $GB_{34}$ on neuropathic pain in rats induced by tibial and sural nerve ligation. Methods : To produce the model of neuropathic pain, the tibial and sural nerves of rats were ligated by a 6-0 silk thread. Three days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only electro acupuncture(EA), electro acupuncture and 830 nm laser acupuncture(EA-LA-1), and electro acupuncture and 904 nm laser acupuncture(EA-LA-2) were treated with $GB_{39}$ and $GB_{34}$ twice a week for 8 weeks. We observed the withdrawa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by von Frey filament and acetone stimulation. We also observed c-fos and nocieptin on the central gray area in the midbrain of neuropathic rats. Results : As we observed the effect of mechanical allodynia, the EA and EA-LA-1 groups in 5 and 6 weeks and the EA-LA-2 group in 6 week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for the effect of c-fos activity in the central gray region, the EA, EA-LA-1, and EA-LA-2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A-LA-2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regards the effect of nociceptin activity in the central gray region. Conclusions : We noticed the synergic effect of electro and laser acupuncture treatment because the EA-LA-1 and EA-LA-2 groups had more controllable effec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can be used in clinical therapy for neuropathic pain.

의정부지역의 악안면 골절에 대한 임상 통계적 연구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OF MAXILLOFACIAL FRACTURE IN THE UIJUNGBU AREA)

  • 김현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63-68
    • /
    • 1991
  • 경기도 북부 지역의 중심인 의정부소재 종합병원인 의정부성모병원과 신천병원에 1988년 3월에서 1990년 8월까지 내원한 총 282명의 악안면 골절 환자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견해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악안면 골절 환자의 성별 발생빈도는 남자에서 4.6:1로 호발하였고 연령별로는 20대(40.4%)가 가장 많고 10대, 30대의 순이었다. 2. 부위별 발생빈도는 하악골이 40.2%로 가장 많았고 관골, 비골, 상악골의 순이었다. 3. 부위에 따른 성별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하악골에서 남녀비율이 6.2:1이며 관골, 상악골, 비골의 순으로 남자에 호발함을 알 수 있다. 4. 골절의 원인은 교통사고가 42.8%로 가장 많았고 폭력사고, 산재, 낙상 등의 순이었다. 5. 타부위 손상과의 관련성은 두경부(79.0%), 복${\cdot}$흉부, 상하지 순이었다. 6. 하악골 골절에서는 정중부가 33.9%로 가장 많았고 우각부, 과두, 골체부 순이었다. 7. 상악골 골절은 LeFortII type의 골절이 41.2%를 차지했다. 8. 관골부위의 골절은 관골궁을 포함한 골절이 72.5%를 차지했다.

  • PDF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병실 낙하균 및 산모감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r Counts and the Infection of Maternity in n General Hospital)

  • 이남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26
    • /
    • 1979
  • This research is to prevent the infection of maternity in the hospital by examining the microbes contaminations in maternity through airbone microbe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ward of O.B. & G.Y. and to furnish the basic data available to hospital management. The bacterial growth of airbone microbes contaminations in nosocomial air and who thor the nasal cavity of passers by (doctors, nurses, parturient women) who went to the ward of O.B. & G.Y. contaminated or not were examined in“E”Univ. Hospital from July to August, 1979 by using thioglycollate broths and agar plat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verage colony number of airborne microbes revealed as follows the pediatric ward (36 colonies), the internal ward (33 colonies), the ward of O.B. & G.Y. (30 colonies), the ward of surgery (24 colonies), delivery-waiting room (11 colonies), and the delivery room (3 colonies). 2. The bacterial growth beforenoon differed from that of afternoon. Namely, the latter (24 colonies) was higher than the former (21 colonies). 3. The type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revealed staphylococci (82%), Gram negative bacilli (18%), fungi (17%), Gram positive diplococci (13%), and Bacillus subtilis (2.8%). 4. The strains isolated in the delivery-waiting room revealed staphylococci (66.7%), Gram negative bacilli (33.6%), and revealed staphylococci (75%), Gram positive diplococci (8.3%), and fungi (8.3%), in delivery room. 5. Most of strains isolated in the ward of O.B. & G.Y. revealed staphylococci (100.0%), Gram positive diplococci (8.3%), and Gram negative bacilli (6.7%). 6. The strain isolated in the surgical ward revealed staphylococci (91.7%), fungi (33.3%), Gram positive diplococci (25%), Gram negative bacilli (25%) and Bacillus subtilis (8.3%). 7. The strain isolated in the pediatric ward revealed staphylococci (75%), fungi (25%), Gram positive diplococci (8.3%), Bacillus subtilis (8.3%), and Gram negative bacilli (8.3%). 8. The strain isolated in the internal ward revealed staphylococci (91.7%), fungi (33.3%), Gram positive diplococci (25%), and negative bacilli (16.7%).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nasal cavity of those doctors and nurses who and enaged in the ward of O.B. & G.Y. revealed staphylococci (80%), Bacillus subtilis (1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from doctors and Gram positive diplococci (10%), instead of Gram negative bacilli (10%), from nurses. 10. The strain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parturient women on admission revealed staphylococci (9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but after admission revealed staphylococci (70%), Gram positive diplococci (1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11. Of the total 91 staphylococci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the Coagulase pastive was 36 (39.6%), and the negative 55 (60.4%), As a result of the coagulase experiment of th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the nasal cavity of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ward of O.B. & G.Y. all were revealed as negative that belonged to non-pathogenic. 12. Consequence of the biochemic examination of the gram negative bacilli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the aerobacter aerogens revealed was (16.7%) E-coli 5% in the nasal cavity of those came and went to the of O.B. & G.Y. and Aerobacter aerogens 7.5%.

  • PDF

전치부 개교합을 보이는 퇴행성 관절질환에서 골스캔을 이용한 중심위교합장치의 효과 평가에 대한 임상례 (A Clinical Report on the Effect of CRS Usage in Degenerative Temporomanibular Joint Disease with Anterior Open Bite Applying Bone Scan)

  • 박상배;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3호
    • /
    • pp.289-294
    • /
    • 1998
  • 본 증례는 측두하악관절의 퇘행성 변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의 시행 전에 중심위교합장치를 통해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유도하고, 또한 골스캔을 이용하여 장치의 치료효과를 평가한 임상증례이다. 환자는 24세의 여성으로 5년 전부터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고형식 저작시 좌측 전이부에 간헐적인 통증이 발생한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상 촉진시 양측 관절낭 후방부에 압통을 호소하였으며, 각각 50, 45mm의 최대개구량 및 최대무통성 개구량을 보였다. 좌측 악관절부에서 단순 관절 잡음, 우측 악관절부에서 염발음이 청취되었으며, 저항검사 및 부하 검사에서는 특기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약 7mm의 전치부 개교합의 소견을 보였으며, 파노라마 사진과 횡두개 방사선 사진 소견상 양측 과두의 크기 및 하악지의 높이가 다소 작은 소견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 1997년 10월 27일 첫 번째 골스캔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위가 관찰되엇다. 골스캔의 전방 사진에서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좌, 우측 과두부위와 상악 골부위의 가장 어두운 부분의 흑화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3회씩 구하여 평균을 구하고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첫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과두, 상악골이 각각 0.88, 0.81, 1.32 였다. 1997년 11월 4일 중심위교합장치를 장착하였고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1997년 12월 10일 두 번째 골 스캔을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33, 0.37, 088 이었다. 1998년 1월 30일 세 번째 골스캔 소견상 두 번째 골스캔과 비교하여 활성도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임상검사시 무통이었다. 1998년 2월 25일 술 전 교정 위해 중심위교합장치의 장작을 중지시켰다. 1998년 6월 5일 네 번째 골스캔 소견상 이전 검사들과 비교시 흡수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네 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24, 0.19, 0.85 였다. 현재 지속적인 관찰 중이며 본원 교정과에서 악교정수술 위한 술 전 교장을 시행중이다. 결국 첫 번째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은 우측과 좌측이 각각 0.66, 0.61이었고 두 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37, 0.42였고, 네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28, 0.23 이었다. 각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Standard t-test 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골스캔으로 갈수록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어 악교정수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위해 중심위교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고, 퇴행성 관절질환의 활성도에 대한 평가시 골스캔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 PDF

광두근(廣豆根)의 Gerbil 전뇌(全腦)허혈에 대한 신경손상방어효능 연구 (Neuroprotecticve Effect of Sophora Subprostrata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

  • 민홍규;강호창;이현삼;김선여;손영주;정혁상;손낙원;김윤범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
    • /
    • 2008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rotective effect of Sophora Subprostrata against transient global ischemic damage after 5-min two vessel occlusion. Methods : Gerbi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group, 5-min two vessel occlusion (2VO) group, Sophora Subprostrata administrated group after 2VO. The CCAs were occluded by microclip for 5min. Sophora Subprostrata was administrated orally(12mg/ml) for 7 days after 2VO. The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st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t 72 hours and 7 days after the surgery each. For histological analysis, the brain tissue was stained with 1% cresyl violet solu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BAX and Bcl-2 was carried out to examine effect of Sophora Subprostrata on ischemic brain tissue.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1) Sophora Subprostrata ha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ischemia in CA1 area of the gerbil hippocampus 7 days after 5-minute occlusion, (2) the treatment of Sophora Subprostrata inhibits the expression of Bax relatively after 2VO-induced ischemia. That protective effect of the Sophora Subprostrata seems to be performed by regulating the proportion of Bax and Bcl-2 protein, (3) in hypoxia/reperfusion model using PC12 cell, the Sophora Subprostrata extract ha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ischemia in the dose of $2{\mu}/m{\ell}$ and $20{\mu}/m{\ell}$.This study suggests that Sophora Subprostrata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damage following cerebral ischemia in vivo with a widely used experimental model of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and that Sophora Subprostrata regulates the proportion of Bax and Bcl-2 protein following ischemia. And, Sophora Subprostrata extract has protective effects also on a hypoxia/reperfusion cell culture model using PC12 cell. Conclusions : Sophora Subprostrata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ischemic brain damage at the early stage of ischemia.

  • PDF

MC3T3 preosteoblast cell line의 5-(and-6)-carboxy-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uccinimidyl ester mixed에 의한 fluorescent labelling (FLUORESCENT LABELLING OF MC3T3 CELL LINE BY 5-(AND-6)-CARBOXY-2', 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UCCINIMIDYL ESTER MIXED)

  • 국민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6호
    • /
    • pp.461-467
    • /
    • 2005
  • Background. 5-(and-6)-carboxy-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uccinimidyl ester mixed (CFSE) is the fluorescent labelling agent of living cells and used to trace the cells in vivo after transplatnation of various cells. The CFSE labelled cells can maintain fluorescence for up to 7 days after labelling. The MC3T3-E1 cell line (MC3T3) has been used for many studies about osteoblast, which is well known as a mouse preosteoblast. So the CFSE would be used to trace the transplanted MC3T3.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about CFSE labelling of MC3T3. This study is aimed to know about adequate concenturation and incubation time of CFSE to MC3T3. Materials and methods. The MC3T3 was incubat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95% air with 5% $CO_2$ at $37^{\circ}C$ using ${\alpha}$-minimal essential medium (${alpha}$-MEM) containing10% FBS and gentamycin. Ten mM CFSE solution in dimethylsulphoxide (DMSO: 1%) was dilut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final concentration of culture medium was, respectively, 5, 10, 15, 20, 25 and 30 ${{\mu}M$. Then the MC3T3 was incubated with CFSE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95% air with 5% $CO_2$ at $37^{\circ}C$ for 5, 10, 15, 20, 25, 30, 35, 40 and 45 minutes in each concentration. The fluorescence of CFSE labelled cells was analysed with a inverted fluorescence microscope. The duration of cell labelling was also studied. Trypan blue dye exclusion test was done for cell viability. Results. For concentration between 5 and 10 ${\mu}M$, CFSE did not significantly label the MC3T3 in vitro. The destruction of MC3T3 was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20 ${\mu}M$. In the concentration of 15 ${\mu}M$, the best labelling was obtained at an incubation period between 15 and 30 minutes. The MC3T3 labelled with an incubation period of 15 minutes at 15 ${\mu}M$ was still fluorescent 7 days after CFSE labelling. The mean cell viability was 95.93%.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s an incubation period of 15 minutes at 15 ${\mu}M$ of CFSE provides best labelling of MC3T3 in vi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