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color

검색결과 2,281건 처리시간 0.031초

안료 원료인 뇌성산 산출 뇌록의 소성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 (Mineralogical Characteristic Changes of Noerok Occurred from Noeseong Mountain, a Raw Material for Pigment, Depending on its Firing Process)

  • 이장존;김재환;한민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32
    • /
    • 2018
  • 뇌록은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된 녹색 안료이며, 불국사 대웅전 등 주요 건축물의 단청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 원료인 뇌록을 이용하여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포항 뇌성산 일대에 국부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뇌록은 주구성 광물이 셀라도나이트(celadonite)이며, 주요 구성 원소는 Fe, Si, K, Mg 등으로 주로 Fe가 풍부한 운모류임을 알 수 있다. $105^{\circ}C{\sim}1000^{\circ}C$까지 단계적 소성실험 결과, 색상이 녹색 ${\rightarrow}$ 담녹색 ${\rightarrow}$ 갈색 ${\rightarrow}$ 적색으로 변하였으며, 열분석에서는 $616^{\circ}C$ 부근에서 결정수의 탈수작용에 의한 흡열반응이 확인되었다. 광물의 변화는 $600^{\circ}C$ 이상에서 결정면[($11{\bar{1}}$), ($02{\bar{1}}$)]이 붕괴되고, $1000^{\circ}C$ 이상에서 철산화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뇌록의 정출 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며, 셀라도나이트만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Stage I 단계만의 변질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가열처리에 따른 인삼의 이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unds with Heating Treatment of Ginseng)

  • 윤성란;이명희;박정현;이인선;권중호;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72-1578
    • /
    • 2005
  • 인삼을 세절하여 동결건조 시킨 후 가열에 따른 성분변화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가열온도(130, 145, 160, 175, 190$^{\circ}C$) 및 가열시간(10, 15, 20, 23, 30 min)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가열처리 하여 반응표면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도는 가별온도 및 가열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성 다당체 함량, 총 폐놀성 화합물 함량도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가열온도 146.05$^{\circ}C$ 및 가열시간 18.16 min일 때 최대값 58$\%$로 예측되었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160.00$^{\circ}C$ 및 가열시간 20.00 min일 때 64.40 mg/g의 최대값으로 예측되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가열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 산성다당체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가열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를 이용한 계란에서의 Salmonella enteritidis 오염 연구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 장금일;박종현;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1-777
    • /
    • 1999
  • CSLM 기술을 이용하여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한 계란 오염 과정을 관찰하여 난막의 3중막 구조, cuticle 층 그리고 5가지 필름 피복의 침투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난막을 구성하는 fiber의 지름은 각각 outer membrane $1.5{\sim}7.2\;{\mu}m$, inner membrane $0.8{\sim}2.0\;{\mu}m$이었고, limiting membrane을 구성하는 입자의 지름은 $0.1{\sim}1.4\;{\mu}m$이었으며, 두께는 각각 평균 10.0, 3.5, $3.6\;{\mu}m$이었다. 난각과 접해 있는 outer membrane은 다음 층인 inner membrane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있고, limiting membrane의 입자들은 매우 밀집되어 inner membrane과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Cuticle층은 전체 계란 표면적 중 $40{\sim}80%$ 를 덮고 있었으며, 두께는 평균 $6.0\;{\mu}m$이었고 피복 필름들의 평균 두께는 자각 mineral oil $5.0\;{\mu}m$, dextrin $3.6\;{\mu}m$, gelatin $3.9\;{\mu}m$, starch $2.5\;{\mu}m$, chitosan $2.2\;{\mu}m$이었다. 필름 피복에 의한 Salmonella enteritidis 생육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chitos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trisodium phosphate (TSP),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처리, 5종의 필름 피복 처리와 무처리한 계란표면에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후 내부 전이 과정을 CSLM을 이용하여 다색영상화(multi-color imaging)와 시간당 투과 균수에 대한 plate count로 비교한 결과, 난각이나 3중막 구조의 난막보다는 cuticle 층이 Salmonella균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피복이 cuticle 층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피복 필름중에서 chitosan이 최외부 방어막인 cuticle층이 결손된 난각 부위를 피복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with Added Spinach Powder)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7-7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였고, Design Expert7(State-easy co., Minneapolis)을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화하였다.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최대 및 최소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시금치 가루는 1~5 g, 설탕은 20~50 g, 버터는 40~60 g으로 하여 발아현미쿠키를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는 시금치 가루 1 g과 설탕 20 g, 버터 60 g에서 가장 높았고,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퍼짐성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첨가량이 많을수록 퍼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퍼짐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루 첨가가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경도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색,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금치 가루의 양이 많아질수록 기호도는 일정수준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의 관능은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 향은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 조직감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의 교호작용,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이 더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의 모든 항목에서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 g, 버터 50 g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실험을 중 발아현미와 통밀가루를 이용한 쿠키베이스에 시금치를 첨가한 것이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아현미 쿠키베이스를 이용한 시금치첨가 쿠키의 결과에서는 최적 배합비를 예측한 최적값은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5 g, 버터 54.4 g이었으며, 본 시금치를 첨가한 발아현미 쿠키는 기능성 및 품질과 기도적 측면에서 상품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M23 균주를 이용한 Tyrosinase 저해 활성 발효유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the Fermented Milk by Lactobacillus plantarum M23)

  • 임상동;김기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78-684
    • /
    • 2012
  • 본 연구는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가 있는 젖산균인 L plantarum M23 균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최적 발효유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수준 4인자 중심합성 계획법을 통해 실험설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yeast extract 농도(%, $X_1$), 포도첨가량(%, $X_2$), 배양온도($^{\circ}C$, $X_3$), 배양시간(h, $X_4$)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pH(pH, $Y_1$), 종합적 기호도(score, $Y_2$)와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Y_3$)를 설정하였으며,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가 가장 높고 pH는 4.4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화를 실시한 결과 yeast extract 농도는 0.13%, 포도 첨가량은 2.95%, 배양 온도는 $37.1^{\circ}C$, 배양 시간은 14.8 h일 때 예상되는 pH는 4.42, 기호도는 7.06,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은 86.65%이었으며, 실제 실험 결과 pH는 4.35, 기호도는 6.86,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은 84.05%로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melanin 생합성과정의 key enzyme인 tyrosinase을 활성억제하는 L. plantarum M23을 이용한 발효유는 피부의 미백 작용과 노화 억제 작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개에서 땀샘 암종, 유선종양 및 방광 이행상피암종의 동시 발생 (Concurrence of Apocrine Carcinoma, Mammary Gland Tumors and Bladder Transitional Cell Carcinoma in a Dog)

  • 정연철;우계형;윤영민;김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4-79
    • /
    • 2016
  • A 7-year-old female Pointer dog with multiple masses in the axilla, mammary gland, and bladder was submitted to the Pathology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n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Grossly, mass between right axilla and 1st mammary gland, $15{\times}10cm$ in size, was well delineated and firm, slightly soft center, oval shape. And masses in right 1st, 3rd and 5th mammary gland were well delineated and sulphur yellow in color on the cut-surface. Numerous round to oval shaped masses, 0.3 to 2 cm in diameter were existed in the lung. Urinary bladder mucosa had rough and thick and round to oval papillary masses, 0.1 to 2 cm in diameter, on surface. Microscopically, masses in right axilla, 1st mammary gland, lung and axillary lymph node were composed of poorly differentiated tubules originated from apocrine gland. Lining neoplastic epithelium showed high mitotic figures, typical apical secretory blebs, and PAS-positive diastase-resistant cytoplasmic granules. Masses in 3rd and 5th mammary gland were confirmed as mammary complex adenoma and simple adenoma respectively. The masses in the urinary bladder were covered with stratified transitional epithelium with marked cellular atypia and high mitotic figures. Some neoplastic cells showed focal invasion into substantia propria of bladder. Immunohistochemaically, neoplastic transitional epithelium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for cytokeratin 7, AE1/AE3, and MNF116. Based on the gross,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this dog was diagnosed as apocrine carcinoma, mammary gland tumor including simple adenoma and complex adenoma and bladder transitional cell carcinoma. And distant metastases of apocrine carcinoma in right axilla were observed in axillary lymph node and lung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concurrent occurrence of apocrine carcinoma, mammary gland tumor, and transitional cell carcinoma in a same dog.

2016년 춘계 울릉도-독도주변해역에서 동해 연안 용승과 시간차에 의한 일차생산력 영향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and Time Lag on Primary Production in Offshore Waters of Ulleungdo-Dokdo during Spring 2016)

  • 백승호;김윤배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56-1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강풍에 의한 연안 용승 및 섬효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춘계 강한 저기압 통과 전후를 대상으로 위성자료, 해양환경 및 물리적인 수직 구조와 함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였다. 5월 3일 강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남풍계열의 바람이 우점하였고, 10일 정도의 시간차를 둔 5월 12일에는 동한난류가 이동한 경로주변해역에서 높은 엽록소값이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 수평적 군집조성은 동한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울진 연안과 울릉도 사이의 정점에서는 규조류가 극히 높은 밀도로 우점하였고, 상대적으로 외양인 울릉도와 독도 섬주변에서는 섬효과에 의하여 침편조류 H. akashiwo가 높은 개체수를 유지하였다. 엽록소의 수직적 분포는 울진에서 울릉도로 이어지는 정점에서 엽록소 아표층극대 (Sub-surface Chl-a Maximum)가 20 m 층에서 관찰되었고, 울릉도와 독도 섬주변의 대부분 정점에서는 30~40 m 층까지 전 수층에 걸쳐 균일하게 높은 엽록소 형광값이 관찰되었다. 이는 섬효과에 의하여, 강한 수층혼합이 일어난 것을 의미하고, 그 결과 유광층 상부에 공급된 영양염류에 의하여 식물플랑톤이 대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춘계 한반도 남동해역(울진-울릉도-독도)에서는 남풍계열의 바람이 우점하면, 연안 용승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동해 연안해역에서 기인된 식물플랑크톤은 동해 중앙 및 남서해역으로 공간이동하면서 울릉도-독도의 섬효과와 함께 동한난류의 사행, 소용돌이의 발달 등에 따라서 종조성이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투습발수직물과 축열보온섬유를 이용한 스키웨어의 쾌적감 (Comfort Properties of Ski Wear Using Vapor-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s and Thermal Insulation Battings)

  • 조길수;최종명;이정주;이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5-25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cal thermal resistances and comfort properties of ski wear made with vapor-permeable water repellent (VPWR) fabrics and thermal insulation battings. Four types of experimental clothing were made with the combination of two VPWR fabrics (Hipora-$TM^{\circledR}$, Hipora-$CR^{\circledR}$) and two thermal insulation battings ($Viwarm^{\circledR},\;Airseal^{\circledR}$). Thermal resistances of ski wear were objectly evaluated by thermal manikin experiment ($21{\pm}\;2^{\circ}C,\;50{\pm}5\%$ R.H.,0.25 m/sec air velocity) and thermographic accessment ($2{\pm}2^{\circ}C,\;0\%$ R.H.,0.25 m/sec air velocity, and emissivity level : 1). Garment wear tests of ski wear included the measurement of the microclimate (inner temp.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experimental clothing by digital thermohygrometer and subject wear sensation using McNall's thermal comfort ratings. CBo values of experimental clothing 4 (Hipora-$CR^{\circledR}+Airseal^{\circledR}$) and 1 (Hipora-$TM^{\circledR}+Viwarm^{\circled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2 (Hipora-$TM^{\circledR}+Airseal^{\circledR}$) and 3 (Hipora-$CR^{\circledR}+Viwarm^{\circledR}$). Thermal resistances in the points of breast, back, belly, and lo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pper am, fore arm, and shank of measuring points on the thermal manikin. According to the color map of the thermogram, the experimental clothing 4 indicated higher surface temperatures than the others showing more yellowish spots on the surface of clothing. Inner temperature of experimental cloth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types of ski wear, but relative humidities of experimental cloth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of experimental clothing 1 and 3 showed higher than those of 2 and 4. Relative humidity of experimantal clothing was affected largely by the thermal resis- tance of thermal insulation batting materials. The subject wear sensation of experimental clothing 2 and 4 showed lower humidity than the others. Subject wear sensation was affected more by humidity sensation than by thermal sensation.

  • PDF

오미자 추출을 위한 전처리로서의 볶음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Roasting Process as Pre-treatment for Extraction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목철균;송기태;이상기;나영진;박종현;권영안;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3-337
    • /
    • 2001
  • 오미자차 또는 음료 가공을 위한 오미자 볶음공정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볶음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오미자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고 볶음공정 변수가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표면기법으로 분석하여 볶음공정을 최적화 하였다. 온화한 볶음조건에서는 추출액의 산도, 고형분, 환원당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과도한 볶음조건에서는 이들 함량이 감소하였다. 오미자 추출액의 색도는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추출액의 L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온도에 따라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b값은 볶음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과도한 볶음 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액의 색깔에 대한 관능적 품질특성은 $180^{\circ}C$, 10분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반응표면으로 나타낸 결과 볶음에 의해 색깔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액의 향도 볶음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180^{\circ}C$, 10분 이상에서는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맛에 대한 반응표면은 $180^{\circ}C$에서 10분간 볶은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경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오미자 추출액의 종합적 기호도 역시 볶음에 의해 향상되었으며 온도 $180^{\circ}C$에서 10분간 볶은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오미자 볶음의 적정 조건은 $180^{\circ}C$, 10분으로 결정되었다. 오미자 추출액의 관능특성은 볶음에 의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 PDF

조기 위암의 내시경 영상 분석 시스템 (Analysis System of Endoscopic Image of Early Gastric Cancer)

  • 김광백;임은경;김광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73-478
    • /
    • 2005
  • 위암은 국내 암발생 및 사망률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기 위암의 발견은 치료 및 예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기 위암의 진단을 위해 위 내시경 영상에서 색상 변화를 이용해 이상 부위를 검출하여 검사자에게 조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어느 정도의 진행이 이루어진 염증과 암은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조기의 염증이나 암의 경우에는 주의 깊게 보지 않는 경우에는 병변의 진단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위 내시경 영상을 IHb 채널로 변환시키고 조명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며 자동으로 암 의심 영역을 검출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하거나 검사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대한 조직적인 표면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추출된 이상 부위가 암을 확진할 수 없지만, 인간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이상 부위(암 의심 영역)를 추출하여 검사자에게 주의를 요구함으로써 일 처리를 줄이고 부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검사자가 지정한 영역에 대해서도 조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제안된 위 내시경 영상 분석 방법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내시경 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위 내시경 영상 분석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