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ive intera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음악치료 전공생의 동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Music Therapy Students' Experience as a Supervisee in Peer Supervision)

  • 이연미;서은실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57
    • /
    • 2014
  • 본 연구는 동료 수퍼비전에서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소재 음악치료 대학원 전공생 17명이었으며, 연구자가 제공한 구조에 따라 2회에 걸쳐 일대일 형식으로 수퍼비전을 시행하였다. 수퍼비전 진행 후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가 이루어졌고 내용을 전사한 후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를 하였는데 수퍼바이지의 관점에서 내용을 분석했을 때 동료 수퍼비전 안에서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은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하고 전문적 역량의 성장을 촉진한다. 동료 수퍼비전에서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동료의 역량부족과 부적 감정 경험이 있는데 이는 동료의 역량부족으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답답함, 불안감과 같은 부적 감정과 관련이 있다. 동료 수퍼비전 내 구조는 진행을 용이하게 하고 수퍼비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상호과정 촉진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전문가로 성장을 하기 위해 동료 수퍼비전을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실제적인 내용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 유병예;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9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 (Occupational Health Nurses' Role Experiences)

  • 전경자;주혜주;김영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0-26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ole experience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daily experiences in practic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ocus-group interviews with nine occupational health nurses and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8). Results: The core category on occupational health nurse role experience was named as "struggling alone with the dual role". The causal conditions included 'unfamiliar area' and 'new work'.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overload of work, 'tasks beyond OHN job' and 'disharmony with colleagu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analyzed as supportive factors and discouraging factors. There wer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getting information about tasks', 'working as a professional', 'establish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seeking help' by trying to regulate the phenomenon. Finally they succeed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feeling proud', but sometimes they could be 'suffering from low morale', or 'considering turnover'. Conclusion: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explained that occupational health nurses have been exerting themselves to establish their role with various situation through the conflicted contex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developing the divers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be tailored for OHN's needs and reinforcing th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under the legal and political support.

In Silico Screening for Angiogenesis-Related Genes in Rat Astrocytes

  • Kim, Soo-Young;Lee, Sae-Won;You, Sung Yong;Rha, Sun Young;Kim, Kyu-Wo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권1호
    • /
    • pp.36-44
    • /
    • 2004
  • Astrocytes play supportive roles for neurons in the brain. Recently, they have been accepted to have various functions in the vascular system as well as in the nervous system.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rat astrocytes according to the oxygen tension, which is a crucial factor for angiogenesis. A cDNA microarray was performed to find the genes whose expression was sensitive to oxygen tension. We found 26 genes in the astrocyte were found and classified into 4 groups. In order to show the genes' relevancy to angiogenesis, seven of the 26 genes were investigated to see whether they have capabilities of interaction with angiogenesis­related factors in AngioDB.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found interactions of three proteins with angiogenesis-related factors. These genes were further investigated with a new focus on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in an astrocyte based on our hypothesis that astrocytes can have effects on endothelial angiogenesis via the release of VEGF. Collectively, we identified several genes whose expressions were dependent on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astrocyte. Furthermore, the relevancy of astrocytes to angiogenesis was investigated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of AngioDB, and suggested a possible signaling pathway for VEGF expression in the aspects of brain endothelial angiogenesis by astrocytes.

청소년 운동선수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지각된 코칭행동과 사회적 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Adolescent Athletes' Perceived Autonomy-Support Coaching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by Gender and Sport Career)

  • 이경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18-428
    • /
    • 2013
  • 이 연구는 고교 운동선수의 성별과 운동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차이와 이들 변인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고교 선수 740명(남자선수=516명, 여자선수=224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2(성별)${\times}3$(운동경력) 다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운동경력이 낮은 여자선수가 상대팀 선수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코치의 행동을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고, 팀동료와 상대팀 선수에 대해 더 높은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경력이 3년 이하인 선수가 운동경력이 높은 선수들보다 팀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 수준이 더 높았다. 자율성 지지 코칭행동은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으로 반사회적 행동과는 부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통제적 코칭행동은 반사회적 행동과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그리고 정신건강 (A Study on the Poor Residing in the Deprived Areas : Double Poverty, Neighborship, and Mental Health)

  • 탁장한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43-69
    • /
    • 2016
  • 본 연구는 유사한 소득수준을 가진 빈곤층이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생활실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특히 빈곤한 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중첩된 빈곤상태에 처하였을 때 이들의 이웃관계와 정신건강수준이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94개 시 군 구, N=1,396) 자료를 활용하였고, 지역빈곤과 개인빈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이 부유지역의 빈곤층보다 이웃 간의 유대에 있어 더욱 높은 수준의 이웃관계를 보고하였다. 나아가 중첩된 빈곤상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또한 높이는 기제로서, 빈곤한 지역사회가 빈곤층의 취약한 정신건강을 완충하는 지지기반이 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빈곤지역에서 빈곤한 주민들이 지니는 관계성의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종양내과 퇴원 환자의 다제병용 분석 (Polypharmacy in Patients Discharged from Oncology Department)

  • 배현진;한지민;이용화;김향숙;이혜숙;이세훈;허대석;이주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2-48
    • /
    • 2013
  • Background: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tend to have multiple risk factors for drug related problems such as old age, comorbid conditions, self-medication, additional medications for supportive therapy, and the cancer treatment itself.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table polypharmacy and related problems in oncology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or following clinic visit. Metho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oncology divis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from June $1^{st}$ to June $30^{th}$, 201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 total of 334 discharg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m, 221 patients had pre-admission medications. Forty percent of the patients, including 60.3% of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were prescribed more than 5 kinds of medications. Twenty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prescribed to take medications more than 7 times a day. Medication duplications were observed in 2.4% of patients. In 10.5% of the reviewed patients, 47 cases of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 including 3 cases of contraindication and 17 cases of major clinical implication according to Micromedex were detected. Medication changes were made in 88% of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and in 94.7% of patients at their first visit after discharge. Antidiarrheal agent (loperamide) was prescribed along with laxatives in 18.5% of the prescriptions and inadequate instructions on how to take it were observed in 63% of the prescription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related problems in cancer patients, which presents the need for an active role of pharmacists in pharmaceutical care in oncology wards.

암세포주와 공동 배양된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의 유전자 발현 분석 (Analysis of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 of Human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d with Cancer Cells)

  • 김종명;유지민;배용찬;정진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1-646
    • /
    • 2011
  • 중간엽 줄기 세포는 다분화능을 가지고 있으며 골수, 지방, 태반, 치아속질, 윤활막, 편도 및 가슴샘 등 인체의 다양한 조직에서 분리된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직의 항상성을 조절하며 다분화능, 분리와 조작의 용이함, 암세포로의 화학주성 및 면역 반응 조절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재생 의학, 암 치료 및 식대주 질환(GVHD)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주위 세포와 조직을 지지하고 조절하는 특징과 관련하여 중간엽 줄기세포가 혈관 생성을 촉진하고 성장인자를 분비하며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암의 진행을 촉진시킨다는 사실 또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 인해 중간엽 줄기세포의 임상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기전을 통해서 중간엽 줄기세포가 암의 진행을 촉진하는 지지 세포로 기능하는지를 밝히기 위해서 인체 지방 조직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두 개의 암세포주(H460, U87MG)와 각각 공동 배양하고 microarray를 이용해서 암세포와 공동 배양되지 않은 중간엽 줄기세포와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두 암세포주와 공동배양에서 공통적으로 2배 이상 차이 나는 유전자를 DAVID (Database for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Integrated Discovery)와 PANTHER (Protein ANalysis THrough Evolutionary Relationships)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생물학적 과정, 분자적 기능, 세포의 구성 성분, 단백질의 종류, 질병과 인체 조직 그리고 신호전달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서 암세포는 중간엽 줄기세의 분화, 증식, 에너지 대사, 세포의 구조 및 분비기능을 조절하여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암 연관 섬유모세포(cancer associated fibroblast)와 유사한 세포로 변형 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 치료제의 효과와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협업성 강화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Enhancing Collaboration)

  • 박병준;백영태;박승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1-10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기존의 증강현실 교육 시스템이 협업성보다는 시스템과 학습자 간의 상호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들 간의 협력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협업적 교육은 학습자들이 해답을 찾기 위해 비판적인 사고와 협동의 작업을 통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교육 방식으로 학습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적극적인 상호작용, 개인 및 그룹의 책임감, 팀워크 발달 등이 필요하다. 협업적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수자는 학습활동 초기에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학습자 그룹을 형성하며, 그룹의 프로젝트에 대한 활동 평가 기준을 제공하여야 한다. 시스템은 상호작용 측면을 지원하고, 학습 활동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활동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협업적 교육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적용된 증강 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NICU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Mother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태임
    • 혜화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65-878
    • /
    • 1999
  • With advances in neonatal medicine, smaller and sicker infants are surviving premature birth. As these tiny patients battle for their lives, their parents also struggle with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an unexpected role. The birth of a sick infants has long been documented as stressful events for the parents. High stress levels may alter parents' interaction with their baby and impair their communication with health professionals, which can in turn affect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Nursing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the parental stress and anxiety levels during this crisi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ability to form an attatchment to their baby and make prudent decisions about his care. The planning of such interventions would be inhanced if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factors to increased parental stress levels were identified.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degree of parental stress in the NICU during their premature's hospitalization, and to give a baseline data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ubjects were the 60 mother of hospitalized newborn in NICU of 2 University Hospital in Taejon City from April 1st, 1999 to June 30th, 1999,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Stressor Scales:NICU(PSS:NICU) developed by Miles et al.. and validated by 3 NICU practitioners and 3 child health nursing faculties. The questionnaire has 4 dimensions and 45 items; sight and sounds of NICU(5 items), babies' appearance and behavior nursing intervention(19 items), parental role alter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ir baby(10 items), health team communication(11 items). The questionnaire asks parents to rate each item on a five-point Likert type scale that ranges from "not stressful" (1) to "extremely stressfu1"(5). Total scores representing overall stress from the NICU environment are calculated by summing response to each item. A high score indicates high stress. A subscale scor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responses to each item in the subscal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93. The data was analyzed as average,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e of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otal perceived stress level score of mothers of premature baby was slightly high($3.66{\pm}1.1$). The highest scored dimension was 'relationship with their baby and parental role change'($4.21{\pm}0.9$), and next were 'appearance and behavior of the baby'($3.92{\pm}1.1$), 'communication with health team'($3.32{\pm}1.3$), 'sight and sounds of NICU'($3.30{\pm}1.1$).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noted ; mother's perceived severity of the baby's condition(F=8.0012, P= .0125) and baby's gestational age(r = -.4724, P = .0500). In summary, informa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of NICU, the mother's perceived severity of premature baby's state, maternal role change related variables and the knowledge of characteristics of premature baby must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f mother's of premature baby in reducing the parental stress and anxiety level. It is suggested that each NICU needs to develop a nurse managed supportive care program for parents of premature bab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 to investigate the coping mechanism of mother of premature bab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