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 contents

검색결과 2,917건 처리시간 0.09초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 Service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Business Validity of Business Start-Up Items)

  • 홍대웅;이일한;손종서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4호
    • /
    • pp.47-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의 창업보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보육 서비스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창업보육 서비스는 전통적인 물리적 서비스에서 비물리적 서비스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창업보육 서비스 유형들 중에서 실제 창업보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관련된 연구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창업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창업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2016년 10월 14일부터 31일까지 18일 동안에 총 180부를 배포하여 178부 중 30부를 제외하고, 14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표본의 특성을 파악한 후,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PLS(Partial Least Square)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e-Learning 콘텐츠의 남북한 표준언어 지원시스템 연구 (A study on Support System for Standard Korean Language of e-Learning Contents)

  • 최성;정지문;유갑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25-36
    • /
    • 2007
  •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effective structure of an e-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for foreigner based on computer systems which is to obey the rules of IMS/AICC International Standard regulations based on LCMS and SCORM. The most important task on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function of self-study module through the review of the analysis and results of Korean learning and learning customs. We studied the effective PMS detail modules as well as the Standard Competency Module Management System, which related to LMS/LCMS, Learning an Individual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Competency Registry/Repository System,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unity Competency Module, Education e-survey System and Module learning Support Service System. We suggested one of standard Effective Model of 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which is adopted in a various techniques for foreigner.

  • PDF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운영개선과 발전방안 정책연구 (A Study on Management and Promotion Policy of Broadcasting Contents Production Suppor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1-30
    • /
    • 2011
  • 최근 스마트 TV 의 출현으로 인해 방송프로그램 콘텐츠 사장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방송콘텐츠 산업의 전망과 정부의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방송콘텐츠 제작 산업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방향의 정책제안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의 활성화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강인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on Subjective Happiness)

  • 정은선;이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04-215
    • /
    • 2013
  •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5.0과 Amos 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부모 양육태도와 강인성을 그리고 강인성은 사회적 지지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 양육태도는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한 강인성을 통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 백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6-475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들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3부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성인애착에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가 애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회피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 지원 시스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ounseling Support System Model for improving Student's Internet Addiction Problem)

  • 임진숙;박종오;김성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23-53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상담 비전문가인 교사에게 상담 내용과 방법을 제공하여 인터넷 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을 상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모형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상담 내용과 방법을 제공하는 상담 컨텐츠, 학생 정보와 상담 결과를 기록하고 조회할 수 있는 상담 지원, 인터넷 중독 진단 및 설문 평가를 위한 평가 지원의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개발된 시스템을 초.중등학교 교사 30명에게 실험 운영하여 인터넷 중독 문제가 있는 학생을 상담하여, 개발된 시스템 모형의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상담에 참여한 교사들이 제기한 문제와 개선안을 토대로 시스템 모형을 수정하였다.

  • PDF

BIM 설계지원 기술콘텐츠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Contents for BIM Design Support)

  • 조현정;장진석;김연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4-123
    • /
    • 2015
  • The BIM libraries and technical contents in order to develop common technical standards that reflect the contents for a BIM design support should be based. It is essential to redress the technological burden on design office requirements. The technical contents consisted of Material Information, Standard Details and Cost Information are made by system of standard classification. By connecting BIM libraries with each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s, it derives the consistent BIM data application through the integrated model. In addition, we look forward to introducing and applying BIM more easily through securing common technical contents which remove the pressure of engineering developments of each individual architectural design office and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s.

한국 여성 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 (The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Women Immigrants)

  • 서리나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4호
    • /
    • pp.87-107
    • /
    • 2006
  • A study of 117 Korean immigrant women who had husband and(or) children in Hawaii foun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networks composed supporters,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 contents. Psychological well-being examined family life satisfaction, family life stability, and women's psychological health. Results showed as followed. First, the choice of immigration place among Korean immigrant women and her family based on other family members and friends lived in there. Second, her supporters were family and relatives, Korean friends, foreign friends, religions, belonged organizations and groups, public agencies in Hawaii, and mass-media. The best supporters of them was family and relatives and they mostly provided mental health to Korean immigrant women. Family, Korean friends, foreign friends, and religions tended to support emotional assistance. Third,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Her level of psychological health was higher than the others. Fourth, the bes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child existence, occupation, and immigration duration. Fifth, psychological well-being significantly distinguished different relations of supporters from support structure of social network. The number and support duration with foreign friends supporter and the support duration and the level of perceived useful support content high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 PDF

호텔기업 조직공정성과 종사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수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Hotel Firms)

  • 하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68-377
    • /
    • 2010
  •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사회적지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원이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혀내고자 서울지역에 소재한 특등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조직공정성이 사회적지원과 혁신행동에 영향력이 있고, 사회적지원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사회적지원이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호텔기업의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공정성, 사회적지원의 중요성과 혁신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취약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캐나다와의 비교 (Study of Improvement Plan fo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Promote Self-Reliance of the Disadvantaged Youth: Compared to Canada Case)

  • 이송희;김린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69-277
    • /
    • 2017
  • 본 논문은 국가차원에서 취약청소년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개입전략 및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면서 사업을 효과적으로 장기간 수행해왔던 캐나다 고용 및 사회개발부 'Skills Link'와 우리나라 여성가족부 꿈드림센터의 '두드림' 사업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취약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방안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각 국의 취약청소년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사업배경 및 목표, 참여대상 및 선정기준, 사업내용, 지원기간 및 지원 비용, 사업 효과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대상 선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대상이 매우 제한적이며, 둘째, 운영방식과 관련하여 지원 기간 및 비용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한 제언으로는 자립전환기 청소년에 대한 체계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실시해야 하며, 취약청소년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대상자 선정이 필요하겠다. 또한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지원기간의 확대가 필요하며, 자립지원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 청소년의 동기부여와 기업의 참여 유도 방안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