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oxide radical

검색결과 1,185건 처리시간 0.038초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 홍주연;남학식;이양숙;윤경영;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3-419
    • /
    • 2006
  •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대장균에서 Superoxide 라디칼에 의하여 유도되는 프로모터의 탐색 및 특성 분석 (The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romoters Inducible by Superoxide Radical in Escherichia coli)

  • 고영상;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7-273
    • /
    • 1993
  • Escherichia coli 의 superoxide 라디칼 유도발현성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먼저 superoxide 라디칼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프로모터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햐여, 프로모터 탐색벡터인 pJAC4 를 이용하여 E. coli MG1655 균주로부터 프로모터 library 를 구성하였다. Ampicillin 농도구 배정판법을 이용하여 프로모터 세기가 다른 클론들을 구별하여 프로모터 세기가 약한 것부터 중간정도까지 383개의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프로모터 클론들의 superoxide 라디칼 유도발현성을 paraquat 를 첨가한 ampicilin 농도구배평판에서 조사하였다. 이중 3개의 클론이 paraquat 에 의하여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유도배율은 1.4-4배 정도이었다. 이들 프로모터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기종의 database 에 등록되어 있는 E. coli 염기서열들과는 다른 새로운 유전자임을 알았다. 이들 프로모터에 대하여 primer 연장법과 SS1 뉴클리아제 분석을 총하여 전사개시 자리를 결정하였고, paraquat 처리시 mRNA 의 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특히 클론5의 경우는 두개의 전사개시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paraquat 처리시 상위 부분의 전사개시자리가 성택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프로모터 서열을 검색한 결과, RNA 중합효소($E\sigma^{70}$)에 의햐여 인지되는 -10과 -35부위를 가진 클론은 클론 5 뿐이었고, 나머지는 보존된 염기서열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이들 프로모터들이 독특한 부류에 속하는 종류들로서, 새로운 전사조절인자를 요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오공(蜈蚣)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s of Scolopendra subspinipes)

  • 최용건;이동웅;김근우;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9-142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Scolopendra subspinipes which has been used mainly for detoxication in the oriental medicine and reported to have sedative action, antiinflammatory effect, antihypertensive property and immunity enhancing activity. Method: Inhibitory activities on oxygen radical generating enzymes (aldehyde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d increasing activities on oxygen radical scavenging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S-transferase)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content of glutathione in the mouse bra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lso anti-lipid peroxidative effects in vivo and in vitro were estimated. Results: The extract showed weak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aldehyde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which are oxygen radical generating enzymes. The extract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with 26.1% against control group at 500 mg/kg in vivo and with 11.2% against control group at 10 mg/kg in vitro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means this drug may protect radical-induced cell damages. The extract showed dose-dependently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with 24.8% activity at 10 mg/ml in vitro. The extract enhance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which are oxygen radical scavenging enzymes, with 28.9%, 22.3% and 23.1%, respectively at 500mg/kg in vivo. Finally, this extract strongly increased the glutathione content in the mouse barin. Conclusion: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Scolopendra subspinipes can be useful for the protection or treatment of some disease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PDF

염산 가수분해 추출법으로 조제된 자하거 약침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Hominis Placenta Herbal Acupuncture prepared by Hydrochloric Acid Hydrolysis)

  • 서근영;이성원;박성주;김성철;손인철;황성연;안성훈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하거약침액의 항산화기능에 관련한 생리활성을 보기 위하여 대한약침학회에서 제공받은 자하거 약침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자하거 약침액 원액에서 24.641 mg/L로 이는 산수유 등과 같은 약용식물과 비슷한 수준의 함량이다. 자하거약침액원액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은 각각 49.4%, 50.87%였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능과 Nitrite radical 소거능(pH1.5)에서는 각각 50.01%, 52.8%로 ABTS radical과 Nitrite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본 실험결과로볼 때, 자하거 약침액은 항산화능력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현재 자하거 약침액과 관련된 실험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관련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흰쥐 해마 절편에서 저산소증에 의한 [$^3H$-5-Hydroxytrytamine의 유리 변동에 미치는 superoxide dismutase/catalase의 영향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on the Release of [$^3H$]-5-Hydroxytrytamine after Hypoxia from Rat Hippocampal Slices)

  • 이경은;박월미;배영숙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59-365
    • /
    • 1997
  • Many factors are known to be responsible for cerebral ischemic injury, such as excitatory neurotransmitters, increased intraneuronal calcium, or disturbance of cellular energy metabolism. Recently, oxygen free radicals, formed during ischemia/reperfusion, have been propos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role of oxygen free radical during ischemia/reperf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ndogenous oxygen free radical scavenger, superoxide dismutase / catalase(SOD / catalase) on the release of [$^3$H]-5-hydroxytryptamine([$^3$H]-5-HT) during hypoxia/reoxygenation in rat hippocampal slices was measured. The hippocampus was obtained from the rat brain and sliced 400 gm thickness with manual chopper. After 30 min's preincubation in the normal buffer, the slices were incubated for 20 min in a buffer containing [$^3$H]-5-HT(0.1 $\mu$M, 74 $\mu$Ci) for uptake, and washed. To measure the release of [$^3$H]-5-HT into the buffer, the incubation medium was drained off and refilled every ten minutes through a sequence of 14 tubes. Induction of hypoxia for 20 min (gassing it with 95% N$_2$/5% CO$_2$) was done in the 6th and 7th tube, and oxygen free radical scavenger, SOD / catalase was added 10 minutes prior to induction of hypoxia. The radioactivity in each buffer and the tissue were counted using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nd the results wer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activity. When slices were exposed to hypoxia for 20 min, [$^3$H]-5-HT release was markedly decreased and a rebound release of [$^3$H]-5-HT was observed on the post-hypoxic reoxygenation period. SOD / catalase did not changed the release of [$^3$H]-5-HT in control group, but inhibited the decrease of [$^3$H]-5-HT release in hypoxic period and rebound increase of [$^3$H]-5-HT in reoxygenation period. This result suggest that superoxide anion may play a role in the hypoxic-, and reoxygenation-induced change of [$^3$H]-5-HT release in rat hippocampal slices.

  • PDF

상황버섯(Phellinus pini)의 라디칼 소거작용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llinus pini)

  • 남병혁;조월순;최영;최유진;이재동;정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26-335
    • /
    • 2010
  • Phellinus pini (CY001) 추출물에서의 페놀류성분의 농도는 P. pini (CY001)분획 g 당 GAEs mg으로 나타내었고, P. pini의 EtOAc 분획 (436.5 mg GAEs/g)이 다른 분획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screening 하기 위해 몇 가지 생화학적 시험이 수행되었고, 그것은 2, 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작용, NBT/XO superoxide system, DCF/AAPH peroxyl radicals 저해능 등이다. 여섯 개의 버섯추출물 분획 중에서 EtOAc 분획이 DPPH, superoxide 라디칼, peroxyl 라디칼 소거작용이 뛰어났고, $IC_{50}$ values는 각각 $11.49\;{\mu}g/ml$, $8.32\;{\mu}g/ml$, and $1.91\;{\mu}g/ml$이었다. P. pini (CY001)의 EtOAc 분획은 중요한 효소적 지질과산화 저해와 cytotoxicity 없이 RAW 264.7 macrophages의 LPS 유도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EtOAc 분획이 HepG2 cell의 타크린 유도 cytotoxicity에서 간 보호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 pini (CY001)가 라디칼 소거작용을 하는 성분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ricarboxylic acid회로를 차단한 흰쥐의 조직에서 Superoxide Dismutas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peroxide Dismutase from various Tissue of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blocked Rat)

  • 김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6
    • /
    • 1985
  • $\beta$-fluoroethylacetate를 흰쥐의 복강에 투여하여 krebs cycle이 blocking된 것을 확인하고 이보 인해 각 조직 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radical과 SOD의 할성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beta$-fluoroethylacetate을 투여한지 1- 3 시간 사이에 모든 장기에서 citrate의 축적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heart외 spleen에서 12배 빛 20배로 가장 높았고, aconltase의 환성도는 한시간 후에 30-35%까지 억제되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혈중 glucose의 함량은 계속증가되어 5 시간 후에 612mg/dl로 정상에 비해 1.6배 증가되었다. $\beta$-fluoroe thylacetate을 투여하고 1-2시간 후에 모든 장기에서 superoxide radical이 생성되었고 heart에서는 O. 26$\mu$mole/g호 가장 높았고, SOD의 총활성도는 1-3시간후에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heart에 있는 이 효소가 한 시간후 에 약 4 배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Mn-SOD는 한시간 후에 모든 조직 에서 증가되였고 Kidney 가 가장 높은 활성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에서 Krebs cycle 이 차단되면 거의 모든 장기에서 superoxide radioal이 생성되며 Cu, Zn 및 Mn- SOD의 활성도가 모두 증가되고 특히 heart에시 가장 큰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공용 감귤 신품종 하밀감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New Citrus Hybrid 'Hamilgam' Peel Extracts)

  • 안현주;박경진;김상숙;현주미;박재호;박석만;윤수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42-448
    • /
    • 2014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as cultivar for processing of new Citrus hybrid 'Hamilgam'. We investigate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ABTS radical,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effect, along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Citrus hybrid 'Hamilgam', C. unshiu, C. natsudaidai.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Hamilgam. The major flavonoids of Hamilgam and Natsudaidai were naringin and neohesperidin, and those of Unshu were narirutin and hesperidin, as determined by HPLC. Especially, the neohesperidin content of Hamilgam showed much higher (100 times over) than that of Unshu. However, the aglycone form was not fou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Hamilgam peels.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in the order of Unshu, Hamilgam and Natsudaidai.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of 3 cultivars peels displayed low activities compared to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Based on these results, Hamilgam peel extracts posses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thus serve as potential sources of functional food, cosmetic product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