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scree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4초

기능성 화장품 쇼핑성향이 상표전환 동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hopping Orientation of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on Motivation for Brand-Switching in Purchasing Cosmeceuticals -Focusing on Whitening, Sunscreen, and Anti-Aging Treatments-)

  • 김명희;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4-347
    • /
    • 2013
  • This study obtains information required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rand-switching behavior by cosmetics consumer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strategies to make customers more loyal to the company.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 shopping orientation and brand switching motives with respect to cosmeceuticals.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he sample consisted of 1,258 females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resid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who use whitening products, sunscreen, or other anti-aging cosmetics. The results showed that shopping orientation influenced brand-switching motives in regards to purchasing cosmeceuticals. The orientation of depending on information and seeking fashion trend were the major factors to induce brand-switching behavior in purchasing whitening products, sunscreen, and anti-aging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in their intensity of affecting brand-switching motives depending on the specific cosmeceutica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nscreen, as compared to other products, the customer shopping ori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in order to formulat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brand switching. In light of these results, customer shopping orientation with respect to cosmeceuticals is a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cause brand switching. Therefore,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that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hopping orientation according to each item of cosmeceuticals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panies' target market. Current consumer needs for practical benefits and for new products should be simultaneously reflected in the plan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of each type of cosmeceutical.

STUDIES ON THE IN VITRO SPF TEST METHOD OF SUNSCREEN PRODUCTS

  • K. H. Son;Kim, Y. O.;Lee, J. P.;S. J. Yang;Kim, W. H.;Kim, C. K.;M. Y. Heo;S. J. Jang;Park, S. 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528-528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SPF) test method having good correlation with in vivo method using human. 8% homomentyl salicylate, P3 reference standard and commercially available sunscreen products were measured by the in vitro method using SPF 290S analyzer, and the SPFs were compared with the SPFs measured by in vivo test method. In vitro SPFs of 8% HMS and P3 reference standard were 4.59 $\pm$ 0.12 and 14.94 $\pm$ 0.83. There are good correspondenc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506 and 0.9769 respectively, between the in vitro and in vivo SPFs for the sunscreen creams and loti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akeup base/liquid foundation, lotion labled with "shake before use" and compact powder were 0.8812, 0.8632 and 0.5984 respectively.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compact powder and cream base represents 1:0.8.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 vitro SPF test method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in vivo SPF in case of lotion and cream.

  • PDF

Correlation study of in vitro and in vivo test for SPF (Sun Protection Factor)

  • Jihyun, Jihyun-Bae;Sungyeon Ahn;Lee, Haekwang;Seongjoon Moon;Ihseo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407-416
    • /
    • 2003
  •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determination of SPF of sunscreen products containing various ingredients depending on emulsification system. For in vitro approach, we determined SPF by the method of Diffey and Robson using an TransporeTM tape(3M Health care, USA) and SPF 290-analyzer(Optometrics Co. USA). SPF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after completion of the run. In vivo SPF valu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KFDA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thod in panels of Fitzpatrick's skin type II or III.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SPF data of sunscreen ingredient according to emulsification system. The in vivo SPF data is high in water-in oil(W/O) emulsion than in oil-in water(O/W) emulsion samples. The difference may be due to the particular behavior in each vehicles and its presence on skin surface may produce a different sunscreen film. We obtained the corrlation coefficient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SPF data for O/W (R-squre=0.72 )and W/O emulsion(R-squre=0.77).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rovement of methodology using Transpore$^{TM}$ tape as substrate to increase the predictability of in vitro method.d.

  • PDF

Photoprotection effect of Pu'er tea and Curcuma longa L. extracts against UV and blue lights

  • Doyeong Son;Ji-Su Jun;KwangWon H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06-113
    • /
    • 2023
  • Plant extracts have been studied due to their potential as photoprotective agents against UV and blue light exposur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several plant extracts have photoprotection capacities and synergistic effects with synthetic products. However, such results for pu'er tea and Curcuma longa L. have not been reported yet for a cosmetic formulatio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hotoprotection capacities of pu'er tea and C. longa L. extracts for a sunscreen compound. The pu'er tea extract improved sun protection factor value of 2-ethyl-hexyl methoxycinnamate (a synthetic sunscreen compound) by 46% and showed a high antioxidant capability that could help skin recover from photo-induced damage. C. longa L. extract also showed a potential to protect skin from blue light-induced damage because it not only had a maximum absorption peak at the blue light range, but also protected human fibroblasts from blue light-induced damage. The addition of both extracts shifted the critical wavelength of 2-ethyl-hexyl methoxycinnamate from 350 nm to 386 nm, giving it a broad-spectrum feature. Thus, pu'er tea and C. longa L. extracts may enhance the photoprotection ability of synthetic sunscreen products.

자외선 차단제의 블루라이트 차단효과에 관한 연구 (The Blocking Effect of Sunscreen Materials on Blue Light)

  • 정상욱;이시은;최선영;문권기;임소라;김해경;박종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3-189
    • /
    • 2018
  •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파장으로 피부노화 유발 및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유해 기작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블루라이트 차단소재 연구 및 관련 제형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측정과 관련된 시험법 또한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블루라이트 차단 효능 평가 시험법은 해외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방법을 참고하여 확립하였다. 국내에 고시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제 원료 27종 중 17종에 대하여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징크옥사이드가 14.97%,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16.32%,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이 35.47%, 티타늄디옥사이드가 65.9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함량의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확인한 결과 Nano-티타늄디옥사이드 보다 Micro-티타늄디옥사이드가 두 배 이상의 차단효과가 높게 나타냈다. 제시된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시험법은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탐색 및 화장품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평가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 오인영;김소영;석장미;정상욱;박진오;유광호;이갑석;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1-148
    • /
    • 2013
  •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한 자외선의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화장품 업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거나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 제품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차단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는 각각 $34.52{\pm}2.13$, $32.67{\pm}1.44$였다. 두 제품 간의 자외선차단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천연물 자외선차단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였고 제품도포로 인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 차단지수(PFA) 평가 (Evalu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 (PFA) of the Sunscreen Containing Microalgal Extracts and MAAs)

  • 모상현;서승석;조문진;송미영;황진익;박미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12-3318
    • /
    • 2014
  • 천연물 유래 자외선차단제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 추출물 및 mycosporine-like amino acids(MAAs)의 활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Chlamycomonas hedleyi 추출물과 추출물 분획물인 MAAs가 각각 7% 포함된 자외선차단크림을 제조하고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차단지수(PFA)를 평가하였다. Ch. hedleyi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각각 9.07 및 9.4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A차단지수는 각각 2.43과 2.41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A차단지수가 모두 2 상으로 측정되어 두가지 자외선 차단크림의 자외선 A차단등급은 [PA+]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지만, 무기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되면 만족할만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차단제 유형에 따른 사용 인식 요인과 재구매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unscreen Use Patterns and Awareness by Type on Product Satisfaction)

  • 이나영;유선희;리순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3-37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유형, 사용 실태에 따른 사용인식이 제품 사용만족도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사용인식을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내 활동 빈도가 야외활동 보다 높게 나타났고 피부톤 보정을 위해 단순 및 복합 자외선 차단제를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 자외선 차단제 중 선크림을, 복합 자외선 차단제 중 에어쿠션을 많이 사용하였다. 제품 사용감, 자외선 차단 지수가 구매의 중요한 요인이었고 제품 사용만족도 및 재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지만 30%가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이 복합 자외선 차단 제품보다 안전성, 유효성, 편리성, 사용성, 만족도, 재구매에 대한 인식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제품 사용인식 하위요인 중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 순으로 만족도와 재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제품 사용 시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편리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의 특성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의 응용 (Characteristics of Non-nano Needle Type Zinc Oxide and Its Application in Sunscreen Cosmetics)

  • 정겨운;현송화;윤여민;김상욱;최부건;이성호;박수남;이종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무기 자외선 차단제 개발에 대한 연구도 활기를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슈화된 나노물질규제에 대응 가능한 나노 사이즈가 아닌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을 합성하였고, 이를 세틸알코올로 표면처리한 막대형 산화아연분체를 개발하여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non-nano인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를 적용한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 효능과 백탁 정도는 40 nm 크기의 산화아연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막대형 산화아연 분산액을 사용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효능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는 non-nano (200 nm)임에도 불구하고 투명성(백탁 개선), 자외선 차단 효능 그리고 사용감 측면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피부미용 관련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Natural UV Protection Materials Related to Skin Beauty)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1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소재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피부미용 관련 자외선 차단제의 국내외 산업 현황과 천연 소재 연구 동향, 그리고 특허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외선 차단제는 미국 시장이 전 세계의 약 21%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며 중국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 주요 4종의 국내 생산실적 1위는 복합기능제품이며, 주름개선과 자외선 차단제, 미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계시장 및 국내시장 모두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황금, 홉, 감초, 핑거루트, 녹차, 야관문 추출물 등이 효능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광노화, 항산화, 항염, 항균,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등록 현황은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식물이나 해조류에서 성분을 확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향후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안전하고 효능이 증명된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들을 개발해 간다면 다기능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