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ratio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 of Mixed Cultivation Using Companion Plant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herry Tomatoes

  • Lee, Byoung-Kwon;Yun, Hyung Kwon;Hong, In-Kyoung;Jung, Young-Bin;Lee, Sa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2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Recent urban agriculture meets the needs of urban residents that safety and avoids using chemical pestici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of companion planting affecting the growth of cherry tomatoes, which will promoting urban agriculture by improving socioeconomic satisfaction with gardening activities through quality. Methods: Four types of companion plants such as marigold, zinnia, spearmint and basil, that have a companion effect with growth, sugar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We obtain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ested the significance at a 95% confidence level (p < .05)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fter one way ANOVA and MANOVA. Results: Compared to monoculture of cherry tomatoes, the plant growth in the treatment plots with companion plant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all(p < .05), but there wasn't interaction effect among companion plants, planting ratio and type. As for the absorption of inorganic components, the companion planting showed better absorption than monoculture of cherry tomatoes, as favorable growth,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sugar content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sugar content of 5.8 brix in both the treatment plots at the control, and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t 26.27mg/100g in all treatment plots, but ther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oil pH in the cultivation plot ranges from 5.5 to 9.0 and was weakly alkaline in all treatment plots except zinnia, showing low contents of phosphoric acid, excha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growth of cherry tomatoes, contents of inorganic components, sugar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of fruits, and soil analysis according to companion plants, planting type, and planting ratio. We will study sugar content by measuring the change in growth every phase of fruits.

서속병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eosokbyung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 백구슬;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5-268
    • /
    • 2001
  • This study aimed for exploring the best recipe of Seosokbyung with different ingredient ratios of glutinous millet flour, sugar, and water added to rice flour. The most desirable recipe was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test for measuring texture, moisture content and colorimetry. The best score for each sensory item was obtained in the following condition: Color-245g(70%) of glutinous millet flour, 50g of sugar with 10$m\ell$ of water in 105g of rice flour. Flavor-l75g(5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a 80$m\ell$of honey in 175g of rice flour. Graininess and Moistness-245g(7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70$m\ell$ of honey in 105g of rice flour. Chewiness-2I0g(60%)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with 20$m\ell$ of water in 140g of rice flour. Sweetness-l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7g of sugar with 25$m\ell$ of water in 175g of rice flour. As a result of mechanical examination, the best score for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dhesiveness was obtained in the recipe of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80$m\ell$ of sugar in 175g of rice flour, and that for hardness in the one of 245g (7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70$m\ell$ of honey in rice flour As the less amount of glutinous millet flour was added, the scores for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were increased, and the addition of honey gave higher scores than sugar or oligosaccharide(P<0.05) The best recipe of Seosokbyung was 140g of rice flour, 2 l0g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20$m\ell$ of water and 3.5g of salt. The moisture contents of rice flour and glutinous millet flour were 31.6% and 13.3%, respectively. The content of moisture in the best recipe of the Seosokbyung is approximately 36.101%. The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36% gave better sensory scores in chewiness and moistness. As a result of colorimetry, the most bright ‘L’value(Lightness) was obtained from 175g of rice flour mixed with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70g of sugar and 25$m\ell$ of water. The highest ‘a’ value(Redness) was gained from 175g of rice flour mixed with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and 80$m\ell$ of honey. The best ‘b’ value(Yellowness) was obtained from 140g of rice flour, 210g (60% of rice flour)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and 20$m\ell$ of water.

  • PDF

소규모 농가 생산 전통고추장과 시판 고추장의 맛성분에 관한 연구 -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from Gochujang Produced from Korean Small Farms)

  • 손성혜;홍여주;한귀정;유선미;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3-5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s considered as the taste component in Korean Gochujang. Our goal was to search and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Gochujang taste, and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chujang. For the analysis of Gochujang, it is purchased from small farms as well as major food company producing Gochujang. In the case of commercial Gochujang(COM), glucose and maltose were major free sugar, and the ratio of distribution and total amount showed very similar pattern. However, the results of the traditional Gochujang(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sample even they had glucose and maltose as predominant sugar. The content of glucose, maltose, fructose was reduced in order. The other hand, sucrose, rhamnose were not detected or were detected trace amounts in some samples. Even the characteristics were found at each region, it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but each sample was greater variation. Total of 17 amino acids were found from COM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Pro, Glu, Asp, but His, Met were generally detected in small amounts. In the TG, they mainly contained Glu, Asp, Pro as the dominant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Arg, Ala, Cys, respectively. TG had higher amino acid content and fairly various distribution compared to COM. It could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for different traditional tastes because each TG had diverse characteristic taste than COM.

당분과 수화시멘트 분말이 수화열 저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gar and Hydrated Cement Powder on the Reduction in Heat of Hydration)

  • 문훈;김지현;조용훈;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42
    • /
    • 2014
  • 지연제는 수화열 저감에 이용될 수 있다. 대표적 지연제로는 설탕 및 포도당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응결시간의 지연효과가 너무 강해 조심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지연제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지연효과를 상쇄시킬만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촉진제로 물시멘트비 5의 수화시멘트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지연제와 함께 사용하면 시멘트 페이스트의 최고 수화온도를 저감하면서 수화반응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 유전자원 82 계통의 유리당 함량 분석 (Analysis of Sugars Content by Genotypes in 82 Radish (Raphanus sativus L.))

  • 서미숙;정준휘;박범석;김정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3-465
    • /
    • 2018
  • 십자화과 식물에 속하는 무는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중요한 뿌리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질을 가진 무 유전자원 82 계통을 대상으로 총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본, 독일, 그리고 한국에서 보유중인 82 계통의 유전자원은 크게5 아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야생형, 야생 근연종, 재래종 그리고 육성품종으로 구분된다. 포도당, 과당, 자당 그리고 엿당을 분석하여 총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평균 25.33 mg/g, 5.64-46.68 mg/g의 분포도를 나타내어 계통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총 유리당 함량에 대하여 포도당이 56.92%로 가장 높은 유리당 함유율을 보였고, 과당(31.34%), 자당(10.46%), 그리고 엿당(2.25%)의 순으로 높은 함유 율을 보였다. 5 아종에서 유전형에 따른 총 유리당 함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아종에 따른 유리당 함유 율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야생종과 야생 근연종 그리고 재래종 무는 육성 품종과 비교하여 평균 총 유리당 함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의 종류별 함유 율을 비교한 결과 야생종과 재래종에서 높은 함유 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후속 연구를 통한 고품질 무의 개발 및 무의 유리당 생합성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콩나물 당 침지액의 항산화 효능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 김경미;정현정;성혜미;위지향;김태용;김기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87
    • /
    • 2014
  •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50^{\circ}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제외한 모든 실험 결과에서 올리고당이 대조구나 설탕 침지보다 DPPH radical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DH ALDH 효소 활성 실험 결과, 당액 첨가비율 25%에 비해 5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띄었고, 50%와 75%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은 시간 증가에 따른 일정한 증가 추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알코올 분해능 실험에서 1-3시간 추출 시 대부분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콩나물을 올리고당 당액($50^{\circ}Bx$) 50% (w/w) 비율 이상의 수준에서 단시간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콩나물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나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량의 당액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적인 절감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Matur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 이용수;최진상;심기환;조용학;김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5
    • /
    • 1993
  •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brix, 총당, 유기산, 총산, pH 및 유리아미노산 등의 함량변화를 HPLC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숙중 당류는 당이 생성되기 시작한 후 21일 경과할 때까지 급증하였으며, 그 후 증가속도는 둔화되었고, 산류는 이와 반대 현상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성분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brix 16.5~17.9, 총당 14.76~16.40g/100ml, pH 3.24~3.25 및 총산 0.88~0.928/100ml이었다. 성숙중 brix/acid의 비는 점점 증가하여 성숙된 포도에서 Cabernet sauvignon 18.7, Cabernet franc 20.4 및 Malbec 18.1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F/C의 비율은 1.04~1.06으로 3가지 품종에서 비슷하였고, tartaric/malic acid 비율은 0.83~1.00이었다. 성숙중 유리아미노산은 점점 증가하여 품종별 성숙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56.8~290.9mg/100ml의 분포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서 3 품종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proline이었고, 그 다음으로 arginine, alanine 및 glutam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4가지의 아미노산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3.2~77.2% 범위 였다. 특히 Malbec 품종의 경우 다른 두 품종에 비하여 arginine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다.

  • PDF

한국 청소년의 식사의 질 평가에 적절한 식품군의 조성 -Kant의 최소량에 기초하여- (Composition of Food Groups Appropriate for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ant's Minimum Amount-)

  • 엄지숙;박민영;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60-5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mposition of food groups appropriate for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otal diet or food guide, using the data from the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wenty-four-hour-dietary recalls of total 1,110 Korean adolescents aged 13 - 19 years (male 543, female 567) were analyzed for food group consumed (Dietary Diversity Score, DDS), intake patterns of food group, mean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mINQ) and nutrient adequacy ratio (NAR). Considering Korean food pattern different from the Americans, this study is to check if Korean 5 food groups with both of oil & sugar group and vegetable & fruit group, and a minimum amount of 30 g in grain group and 15 g in meat group modified from Kant's minimum amount, 15 g in grain and 30 g in meat, could also be appropriate for the diet evaluation of Korean adolescents. Combination of food group and minimum food intake per each food group used in the first trial were categorized into 6 kinds of types: 1) American 5 food groups with Kant's minimum amount as control or 2) American 5 food groups with modified Kant's minimum amount 3) Korean 5 food groups excluded by sugar with the modified amount 4) Korean 5 food groups with modified amount 5) American food groups added oil group with the modified amount 6) American food groups added oil & sugar group with the modified amount. In case of oil group or oil and sugar group, 5 g was quoted for the minimum amount. Correlation between DDS and indices of other diet quality in each type of food group composition were analyzed and the best food group composition was traced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DS and mINQ or MARs at ${\alpha}\;<\;0.01$.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weight length index of the subjects of eating or not-eating oil or oil & sugar, while the values of mINQ showed higher in the subjects eating oil but no difference in the subjects eating oil & sugar, compared to the group not-eating, respectively. In comparison of type 1 and type 2, correlation between DDS and indices of other diet quality showed higher in type 1 using Kant's amount. And comparing the type of a combined group of fruit & vegetable (type 3 and 4) and the type of separated group of fruit and vegetable (type 5 and 6). six groups of separated vegetable and fruit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of DDSs and indices of diet quality. In case of being classified into six groups with oil, DDS showed correlation of r = 0.293 with INQ. While, being classified into six groups with oil & sugar instead of oil only, DDS showed correlation of r = 0.249 with INQ. Accordingly the type 5 with oil is regarded as the better food group type than the type 6 with oil & sugar. Since better result was shown in the composition of six groups with Kant's minimum amount, the comparative analysis on both of type1 with oil and oil & sugar was finally performed. Then oil added type 1 showed higher correlation of DDS and indices of diet quality. These result indicated tha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use six food groups with separate vegetable and fruit including oil group (oil-added type 1) rather than oil & sugar group for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using DDS.

한국산(韓國産) 감귤류(柑橘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주요품종별(主要品種別) 당(糖) 및 산조성(酸組成)의 시기별(時期別)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fruits in Korea(II) -Changes of acid and sugar components with growth-)

  • 박훈;김영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41-57
    • /
    • 1968
  • 제주산(濟州産) 감귤(柑橘) 14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과실(果實) 부위별(部位別) 산(酸) 및 당조성(糖組成)의 추이(推移)를 조사(調査)하고 거제산감귤(巨濟産柑橘)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으며 혈연(血緣)이 먼 타과실(他果實)의 부위별(部位別) 산조성(酸組成)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율(果皮率)이 생육(生育) 초기(初期)에 크고 그후 완숙(完熟)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減少)하며 이는 동화(同化) 산물(産物)의 전류(轉流)가 초기(初期)에는 과피(果皮)로 후기(後期)에는 과육(果肉)으로 더많이 전류(轉流)하거나아니면 과피(果皮)에서 과육(果肉)으로 전류(轉流)될 가능성을 보인다. 2) 과중(果重)이 클수록 과피율(果皮率)이 큰 경향을 나타내며 과실중(果實重)이 200이상(以上)의 것은 과피율(果皮率)이 30이상의 품종(品種)은 종실수(種實數)가 15개(個) 이상(以上)이다. 3) 과중(果重)이 최고점(最高點)에 이를때 과육(果肉) 전산함량(全酸含量)이 최고(最高)에 이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는것이 대부분이나 최고전산(最高全酸) 함량(含量)이 20me/100g 이하로 가장 낮은 품종(品種)들은 수확기(收穫期)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4) 생육각시기(生育各時期)의 과육중(果肉中) 전산(全酸)과 적정산간(滴定酸間)에 r=0.933, 과피중(果皮中) 전산(全酸)과 결합산간(結合酸間)에 r=0.970으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과육(果肉)에서는 대부분 적정산(滴定酸)(73%)인 반면 과피(果皮)에서는 대부분이 결합산(結合酸)(88%)이다. 5) 결합산(結合酸)은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과육(果肉)에서 증가(增加)하고 과피(果皮)에서 감소(減少)하므로 과피(果皮)로부터 과육(果肉)으로의 염류(鹽類)의 전류(轉流)가 예상된다. 6) 산(酸)과 당조성(糖組成)의 부위별(部位別) 차(差)에 의(依)한 과실(果實)의 유형적분류방법(類型的分類方法)은 혈연(血緣)이 먼 수박과 도마도등(等에)도 적용(適用)될 수 있다. 7)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은 계속 증가(增加)하며 전당(全糖)과 환원당(還元糖)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49^{**}$ ,$0.732^{**}$ $0.583^*$으로 감소(減少)하고 환원당비율(還元糖比率)도 감소(減少)한다.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5%$) 8) 과육당(果肉糖)은 주로 비환원당(非還元糖)(61%)인 반면 과피당(果皮糖)은 주로 환원당(還元糖)(88%)이며 수확기(收穫期)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간(非還元糖間)에 r=0.861, 과피중(果皮中) 전당(全糖)과 환원당간(還元糖間)에 r=0.972로 모두 1%(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다. 9) 과피율(果皮率)이 36% 이하(以下)의 품종(品種)은 과피당비(果皮糖比) (과육전당(果肉全糖)/과피전당(果皮全糖))가 1보다 크고 과피율(果皮率)이 36% 이상(以上)인 품종(品種)은 1이하(以下)로 당함량(糖含量)과 부위별(部位別) 생장속도(生長速度)에 관련성(關聯性)이 있는 것 같다. 10) 거제군(巨濟郡) 온주(溫州)는 제주산(濟州産)에 비(比)해 과피율(果皮率)이 적고 산(酸)과 당함량(糖含量)이 낮으나 감미비(甘味比)가 높았다.

  • PDF

자색고구마 잼의 설탕 함량에 따른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Jam with Varying Sugar Contents)

  • 김예림;심기연;윤지현;최수연;고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0-666
    • /
    • 2015
  • 과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반적인 잼과 달리 전분질 식품인 자색고구마와 펙틴 공급원으로 사과를 이용하여 자색 고구마 잼을 제조하였다. 자색고구마, 물, 사과주스, 레몬주스를 합한 중량 대비 설탕을 0, 20, 30, 40, 50%씩 각각 첨가하여 잼을 제조한 후 색도와 조직감을 관찰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이것은 가열 과정에서 자색고구마의 주요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파괴된 반면에, 갈색색소는 오히려 생성되었음을 시사한다. 관능적 특성에서 설탕을 50% 첨가한 자색고구마 잼의 부드러운 정도와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기호도 평가에서 설탕이 40% 첨가된 잼이 다른 시료에 비해 색, 단맛, 부드러운 정도, 퍼짐성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부착성은 가장 낮았으며, 그에 따른 종합적인 기호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색고구마 잼의 제조 시 설탕 첨가량은 40%가 가장 적합함을 보여준다. 전분질 식품인 자색고구마는 열 안정성이 비교적 높은 천연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착색제(colorant)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